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남경문 (1796년)

색인 남경문 (1796년)

경문(南景文, 1796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65 처지: 로마 가톨릭교회, 미사, 박해, 고문, 고해성사, 곤장, 보속, 복자,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 기도, 기해박해, 금위영, 김대건, 대주교, 교도소, 교리, 교회, 교수형, 교황, 교황 비오 11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군인, 승정원일기, 장형, 이자, 인식표, 은총, 조선, , 중인, , 체포, 윤리학, 순교, 형벌, 여의도, 푸스투아리움, 사금융, 사제, 선교사, 성 베드로 광장, 성인, 성찬, 성사, 세례, 세례명, 서울특별시,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성부, ..., 하느님, 신부, 시복, 시성, 1796년, 1839년, 1844년, 1845년, 1846년, 1925년, 1984년, 5월, 5월 6일, 7월 5일, 9월 20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5 더)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미사

미사()는 가톨릭에서 하느님을 찬양하는 대표적인 종교 의식이며,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의 일곱 가지 성사 가운데 하나인 성체성사가 중심을 이루는 라틴 전례 양식이 일반적인 미사의 개념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미사 · 더보기 »

박해

박해(迫害)란 개인이나 집단이 개인 또 다른 집단에 의하여 조직적으로 학대받는 것을 의미.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박해 · 더보기 »

고문

양한 고문 도구. 고문(拷問)은 광의로는 피의자에게 정신적 압박이나 육체적 고통을 주어 자백을 얻어내는 행위를 말하고, 협의로는 유형력을 사용하여 육체적 고통을 주어 자백하게 하는 행위를 말. 고문방지운동을 하고 있는 앰네스티에서는 고문을 ' 당사자 또는 제3자로부터 정보나 자백을 얻거나 협박할 목적으로 신체적이든 정신적이든 심대한 고통이나 괴로움을 가한 행위'로 규정.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고문 · 더보기 »

고해성사

주세페 몰테니, 《고해성사》(''La confessione'') 고해성사(告解聖事)는 그리스도인이 자신이 지은 죄를 진심으로 뉘우치면서 사제를 통해 하느님께 죄를 고백하고 용서의 은총을 받는 성사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고해성사 · 더보기 »

곤장

장(棍杖)은 조선시대 때 죄인을 때리던 형구의 하나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곤장 · 더보기 »

보속

피에트로 로타리의 작품 ‘보속’. 보속(補贖)은 넓은 의미로 손해의 배상 및 보환을 뜻하나 기독교 신학에서는 죄인이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의 성사 가운데 하나인 고해성사를 보고나서 실천하는 속죄 행위를 말.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고해성사는 병자성사와 더불어 치유의 성사에 속. 예수 그리스도는 교회가 성령의 힘으로 치유와 구원 활동을 사람들에게 지속적으로 수행하기를 바라였.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보속 · 더보기 »

복자

"비아그라"와 "레비트라"라는 상표명에서 "아"와 "비"가 복자 처리되었다. 복자(伏字)는 조판할 때 해당하는 활자가 없을 때 또는 그 활자를 고의로 빼고자 할 때 임시로 아무 활자나 꽂는 일 또는 그 꽂은 글자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복자 · 더보기 »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

스타브샤를마리 뮈텔(1854년 ~ 1933년)은 조선에 파송되어 일제 강점기까지 활동한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회 선교사로 한국이름은 민덕효(閔德孝)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 · 더보기 »

기도

막달라 마리아 기도(祈禱)는 신 또는 신격화된 대상과 의사소통을 시도하려는 행위, 또는 신에게 무엇인가를 간청하는 행위를 말. 의식 안에서 행하는 기도는 예배.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기도 · 더보기 »

기해박해

박해(己亥迫害)는 조선 후기 1839년(기해년, 헌종 5년)에 발생한 천주교 탄압을 말.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기해박해 · 더보기 »

금위영

위영은 5군영 중 가장 마지막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숙종 때 설치되었.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금위영 · 더보기 »

김대건

(金大建, 1821년 8월 21일 ~ 1846년 9월 16일, 세례명: 안드레아)은 한국인으로서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순교자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김대건 · 더보기 »

대주교

른 대주교 페르디난트 아우구스트 폰 슈피겔. 대주교(大主敎,,, 또는)는 기독교에서 대교구라고 불리는 교구를 관리하는 직위에 있는 고위 성직자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대주교 · 더보기 »

교도소

소(矯導所, (敎化所))는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 징역형이나 금고형 등을 선고받아 복역을 하는 장소를 말. 감옥(監獄)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교도소 · 더보기 »

교리

리(敎理, doctrina)는 체계화된 종교의 본질적인 가르침을 뜻. 대부분의 종교는 각자 독자적인 교리를 채택하고 있. 교리는 그 종교를 믿는 사람들에게 믿음의 근거와 가치 판단의 기준을 제공.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교리 · 더보기 »

교회

회(敎會)는 일반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고백하는 기독교인들의 신앙 공동체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교회 · 더보기 »

교수형

피사넬로가 그린 그림의 일부, 1436-1438 교수형(絞首刑)은 사형수의 목을 졸라서 질식시키는 사형 방법을 말. 교살형(絞殺刑)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교수형 · 더보기 »

교황

황(敎皇)은 《교황청 연감》에 따르면 로마의 주교이자 가톨릭교회 전체의 영적 지도자이며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교황 · 더보기 »

교황 비오 11세

황 비오 11세(라틴어: Pius PP. XI, 이탈리아어: Papa Pio XI)는 제259대 교황(재위: 1922년 2월 6일 ~ 1939년 2월 10일)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교황 비오 11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황 요한 바오로 2세(라틴어: Ioannes Paulus PP. II, 이탈리아어: Papa Giovanni Paolo II)는 제264대 교황(재위: 1978년 10월 16일 ~ 2005년 4월 2일)으로 본명은 카롤 유제프 보이티와(폴란드어: Karol Józef Wojtyła)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더보기 »

군인

인(軍人)은 군대의 구성원으로, 전투에 필요한 장비와 기본 기술을 갖추어 전쟁 또는 유사시에 대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으로서 전환복무 중인 병을 제외한 현역에 복무하는 장교, 준사관, 부사관 및 병을 말.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군인 · 더보기 »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는 조선 및 대한제국의 승정원에서 왕명 출납, 행정 사무 등을 매일 기록한 일기 이. 2001년 9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승정원일기 · 더보기 »

장형

장형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장형 · 더보기 »

이자

이자(利子)는 경제학 및 법률 용어로서 원본인 유동자본(화폐)의 대부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으로서, 원본액과 사용기간에 비례하여 일정한 이율에 따라 지급되는 금전 기타의 대체물을 의미.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이자 · 더보기 »

인식표

인식표 인식표(認識票)는 군인의 이름, 군번 등이 새겨져 있는 얇은 금속판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인식표 · 더보기 »

은총

은총이란 헬라어로 카리스(χάρις) 히브리어로 헨(חֵ֖ן)(恩寵)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은총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조선 · 더보기 »

죄(罪)는 규범이나 윤리에 어긋나거나 반하는 행위를 말. 일반 사전에서는 죄(罪)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 이 정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종교에서는 대체로 '하나님의 계명' 또는 '도리'와 같은 어떤 불변의 법칙, 이치 또는 명령(즉 천명)에 근거하여 그것과 어긋나는 것을 죄로 설정하고, 법률에서는 미리 정해진 조목에 근거하여 그것과 어긋나는 것을 죄로 설정.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죄 · 더보기 »

중인

중인(中人)은 조선 시대에 양반과 양인 사이에 있던 신분계층의 하나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중인 · 더보기 »

첩(妾)은 아내가 있는 남자가 데리고 사는 내연녀(內緣女)를 말. 첩은 첩실(妾室)·소실(小室)·별가(別家)·별방(別房)·측실(側室)·작은집·작은마누라·작은계집이라고도 하였.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첩 · 더보기 »

체포

2007년 이라크 전쟁 당시 어떤 사람을 체포중인 미군 병사 체포(逮捕)는 형법에 의거하여, 사람의 신체에 대하여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구속을 가하여 행동의 자유를 빼앗는 일을 말. 주로 형법에 의거하여 경찰, 군대 등 공권력을 가진 기관에서 현행범을 체포할때 행해지며, 혹은 검사가 체포영장에 의거한 체포나, 긴급 체포를.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체포 · 더보기 »

윤리학

윤리학(倫理學)은 도덕의 원리, 기원, 발달, 본질과 같은 인간의 올바른 행동과 선한 삶을 사회 전반에 걸쳐 근원적이고 총괄적으로 규명하는 철학의 주요 분야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윤리학 · 더보기 »

순교

순교(殉敎)는 어느 종교에서 자신이 믿는 신앙을 지키기 위해서 죽음을 선택하는 것을 말하며, 순교한 사람을 순교자(殉敎者).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순교 · 더보기 »

형벌

형벌(刑罰)은 검사에 의해 형사상 소추를 당한 피고인이 형사법원으로부터 유죄의 확정판결을 받은 경우에 부과되는 법익의 박탈을 말. 줄여서 그냥 형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형벌 · 더보기 »

여의도

여의도(汝矣島)는 서울특별시 한강에 있는 하중도이며, 너섬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여의도 · 더보기 »

푸스투아리움

스투아리움(막대, 가지의 뜻) 또는 장살형(杖殺刑)이란 로마 후기에 로마군에서 집행되었던 처형 방법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푸스투아리움 · 더보기 »

사금융

사금융(私金融)은 금전의 대부 또는 중개를 업으로 행하는 것을 말., 신동아, 2004년 7월 (통권 538호) 금융 기관이 아닌 금전 대여업자에게 돈을 빌리는 일을 말하고 사채업(私債業), 대부업(貸付業)으로 일컬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사금융 · 더보기 »

사제

신부(神父) 또는 사제(司祭)는 흔히 로마 카톨릭교회의 성직자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사제 · 더보기 »

선교사

선교사(宣敎師,missionary)는 기독교에서는 복음을 타국에서 가서 전하는 사역자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선교사 · 더보기 »

성 베드로 광장

성 베드로 광장()은 바티칸 시국에 있는 성 베드로 대성전의 바로 앞에 조성된 광장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성 베드로 광장 · 더보기 »

성인

성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성인 · 더보기 »

성찬

성찬() 또는 성만찬(The Holy Communion), "주님의 만찬"은 기독교의 성례전(Sacrament, 또는 성사)중 하나이며, 최후의 만찬 때 그리스도가 자신의 죽음을 기념하여 빵과 포도주를 나누라고 하셨다는 복음서 말씀을 따르는 성례전 또는 성사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성찬 · 더보기 »

성사

성사() 또는 성례전은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은혜가 눈에 보이는 방법으로 전달되는,쉽게 말해서 하느님의 은혜를 받는 기독교의 예식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성사 · 더보기 »

세례

독교 예술에서의 침례. 대한민국 개신교회에서 이루어진 세례식의 예 세례(洗禮) 또는 세례 성사(洗禮聖事)는 물을 이용하는 정화의식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세례 · 더보기 »

세례명

세례명(洗禮名, Christian name, baptismal name)은 기독교에서 세례성사를 집전하면서 주어지는 이름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세례명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

국에는 로마 가톨릭 성인이 모두 103명 있으며 모두 조선 정부의 박해로 순교한 가톨릭 신자들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한성부 · 더보기 »

하느님

은 한국어에서 절대적인 존재(God)이신 신이 계신 위치, '하늘'과 '신자들 내적 마음' 중 '하늘'을 선택하여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하느님 · 더보기 »

신부

신부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신부 · 더보기 »

시복

시복(諡福, Beatificatio)이란 기독교에서 어떤 사람을 '복자(il beato/the Blessed)'로 인정하는 행위를 말.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시복 · 더보기 »

시성

시성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시성 · 더보기 »

1796년

179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1796년 · 더보기 »

1839년

183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1839년 · 더보기 »

1844년

184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1844년 · 더보기 »

1845년

184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1845년 · 더보기 »

1846년

184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1846년 · 더보기 »

1925년

192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1925년 · 더보기 »

1984년

19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1984년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5월 · 더보기 »

5월 6일

5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6번째(윤년일 경우 127번째), 뒤에서부터는 2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5월 6일 · 더보기 »

7월 5일

7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6번째(윤년일 경우 18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7월 5일 · 더보기 »

9월 20일

9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3번째(윤년일 경우 2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경문 (1796년)와 9월 20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