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남한산성 공방전

색인 남한산성 공방전

산성 공방전은 1637년 1월 9일~ 1월 24일 까지 조선군이 청군에 맞서 분전한 전투이.

46 처지: 도르곤, 개성특급시, 강화도, 강화도 방어전, 경기도, 병자호란, 광주광역시, 김류, 김상헌, 구굉, 남한산성, 임경업, 임진왜란, 이민구, 이기축, 음력 1월 19일, 음력 1월 24일, 의병, 정세규, 조선, 조선 인조, 조선의 군사, 청나라, 쌍령 전투, 타타라 잉굴다이, 숭덕제, 수무루 양굴리, 최진립, 험천 전투, 한성부, 압록강, 신경진, 원두표, 홍명구, 12월, 1636년, 1637년, 1월 12일, 1월 13일, 1월 15일, 1월 16일, 1월 21일, 1월 24일, 1월 9일, 2월 24일, 2월 5일.

도르곤

아이신기오로 도르곤(1612년 11월 17일 ~ 1650년 12월 31일)은 청나라 초기의 황족으로, 후금의 초대 한이자 청나라의 초대 황제 누르하치의 열네 번째 아들이며, 누르하치의 네 번째 정실 효열무황후의 소생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도르곤 · 더보기 »

개성특급시

성특급시(開城特級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개성특급시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강화도 · 더보기 »

강화도 방어전

강화도 방어전(江華島防禦戰)은 병자호란 와중인 1637년 2월 16일 인조실록 34권, 15년(1637 정축 / 명 숭정(崇禎) 10년)음력 1월 22일(임술) 8번째기사 청나라의 화석예친왕 아이신기오로 도르곤이 강화도를 공격, 이에 조선군이 응전했으나 패배하고 강화도가 함락된 전투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강화도 방어전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경기도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병자호란 · 더보기 »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남서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광주광역시 · 더보기 »

김류

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김류 · 더보기 »

김상헌

상헌(金尙憲, 1570년 ~ 1652년)은 조선 중·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김상헌 · 더보기 »

구굉

굉(具宏, 1577년 ~ 1642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구굉 · 더보기 »

남한산성

산성(南漢山城)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에 걸쳐 있는 남한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성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남한산성 · 더보기 »

임경업

임경업(林慶業, 1594년 ~ 1646년 8월 1일(음력 6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 무장이었.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임경업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이민구

이민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이민구 · 더보기 »

이기축

이기축(李起築, 1589년 10월 7일 ~ 1645년 6월 6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이기축 · 더보기 »

음력 1월 19일

음력 1월 19일은 음력 1월의 19번째 날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음력 1월 19일 · 더보기 »

음력 1월 24일

음력 1월 24일은 음력 1월의 24번째 날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음력 1월 24일 · 더보기 »

의병

1907년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무장한 의병 의병(義兵)은 주로 한국사에서 정의를 위해 자발적으로 조직된 민병을 뜻하는 말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의병 · 더보기 »

정세규

정세규(鄭世規, 1583년 ~ 166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정세규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의 군사

이 글은 조선의 군사에 대한 문서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조선의 군사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청나라 · 더보기 »

쌍령 전투

쌍령전투(雙嶺戰鬪)는 병자호란이 진행되던 중 1637년 1월 2일에 쌍령에서 벌어진 조선군과 청군의 전투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쌍령 전투 · 더보기 »

타타라 잉굴다이

잉굴다이(1596년 ~ 1648년 2월 24일)는 청나라의 장수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타타라 잉굴다이 · 더보기 »

숭덕제

숭덕제(崇德帝, 1592년 11월 28일 ~ 1643년 9월 21일)는 후금의 제2대 한이자, 청 제국의 개국 황제(재위 1626년 ~ 1643년)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숭덕제 · 더보기 »

수무루 양굴리

수무루 양굴리(1572년 ~ 1637년)는 후금과 청나라의 군인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수무루 양굴리 · 더보기 »

최진립

립(崔震立, 1568년 ~ 1636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최진립 · 더보기 »

험천 전투

전투는 1637년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으로 향했던 충청도 근왕군과 청군이 벌인 전투로, 사기가 낮았던 조선군은 이 전투에서 참패하고 정세규는 퇴각하였.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험천 전투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한성부 · 더보기 »

압록강

'''압록강'''(鴨綠江) 압록강(鴨綠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경을 이루는 한반도 북서부의 강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압록강 · 더보기 »

신경진

신경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신경진 · 더보기 »

원두표

원두표(元斗杓, 1593년 ~ 1664년)는 조선후기의 문신, 공신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원두표 · 더보기 »

홍명구

홍명구(洪命耉, 1596년 ~ 1637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홍명구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12월 · 더보기 »

1636년

163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1636년 · 더보기 »

1637년

163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1637년 · 더보기 »

1월 12일

1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번째(윤년일 경우도 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1월 12일 · 더보기 »

1월 13일

1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번째(윤년일 경우도 1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1월 13일 · 더보기 »

1월 15일

1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번째(윤년일 경우도 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1월 15일 · 더보기 »

1월 16일

1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번째(윤년일 경우도 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1월 16일 · 더보기 »

1월 21일

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번째(윤년일 경우도 2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1월 21일 · 더보기 »

1월 24일

1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번째(윤년일 경우도 2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1월 24일 · 더보기 »

1월 9일

1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번째(윤년일 경우도 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1월 9일 · 더보기 »

2월 24일

2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5번째(윤년일 경우도 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2월 24일 · 더보기 »

2월 5일

2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번째(윤년일 경우도 3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한산성 공방전와 2월 5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남한산성 전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