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군

색인 대군

(大君)은 고려 시대 및 조선 시대에 왕자들에게 내려진 작호의 일종이.

27 처지: 경국대전, 고려, 고려 충렬왕, 고려 충혜왕, 고려 태조, 고려 현종, 부원군, 대원군, 군 (작위), 회안대군, 음력 1월, 음력 1월 25일, 의성부원대군, 의안대군 (1348년), 익안대군, 은천옹주, 제안공 (왕숙), 정윤, 조선, 조선 환조, 친왕, 품계, 원윤, 후궁, 왕자, 1401년, 1414년.

경국대전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시대의 최고의 법전이.

새로운!!: 대군와 경국대전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대군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충렬왕

충렬왕(忠烈王, 1236년 4월 3일 (음력 2월 26일) ~ 1308년 7월 30일 (음력 7월 13일))은 고려 제25대 국왕(재위: 1274년 ~ 1298년, 복위:1299년 ~ 1308년)이.

새로운!!: 대군와 고려 충렬왕 · 더보기 »

고려 충혜왕

충혜왕(忠惠王, 1315년 2월 22일 (음력 1월 18일) ~ 1344년 1월 30일 (음력 1월 15일))은 고려 제28대 국왕(재위: 1330년 ~ 1332년, 복위 1339년 ~ 1344년)이.

새로운!!: 대군와 고려 충혜왕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대군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 현종

현종(顯宗, 992년 8월 1일(음력 7월 1일)《고려사》〈세가〉권5 ~ 1031년 6월 17일(음력 5월 25일)은 고려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 1031년)이다. 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이었고, 묘호는 현종, 시호는 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大孝德威達思元文大王)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선재(禪齋)이다. 태조의 아들 안종(安宗)과 헌정왕후 황보씨(皇甫氏)의 아들이다. 안종 왕욱과 경종의 계비 헌정왕후의 사통으로 출생하여 암살 위기를 모면하고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5촌 조카이자 이종사촌 형인 목종이 폐위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후 거란의 두 차례 침입으로 피난을 다녀오기도 했다. 1009년 2월부터 1031년 6월까지 재위하는 동안 1009년 2월부터 이듬해 1010년 11월까지 강조(康兆)가 섭정하였고 1010년 11월부터 1031년 6월 붕어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새로운!!: 대군와 고려 현종 · 더보기 »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새로운!!: 대군와 부원군 · 더보기 »

대원군

원군(大院君)은 조선 시대 적통인 임금의 자손이나 전임 임금의 대가 끊겨 방계(傍系)인 종친 중에서 왕위를 이어받을 때, 그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주는 칭호 및 관직으로서, 군호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대군와 대원군 · 더보기 »

군 (작위)

(君)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왕실의 종실, 외척 또는 공신에게 주었던 작호(爵號)로서 군작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대군와 군 (작위) · 더보기 »

회안대군

회안대군(懷安大君, 1364년 7월 2일 ~ 1421년 4월 10일(음력 3월 9일)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 초기의 왕자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이며, 이름은 방간(芳幹), 시호(諡號)는 양희(良僖), 호(號)는 망우당(忘牛堂)이다.

새로운!!: 대군와 회안대군 · 더보기 »

음력 1월

음력 1월(陰曆一月)은 음력에서 첫 번째 달로, 정월(正月)이.

새로운!!: 대군와 음력 1월 · 더보기 »

음력 1월 25일

음력 1월 25일은 음력 1월의 25번째 날이.

새로운!!: 대군와 음력 1월 25일 · 더보기 »

의성부원대군

의성부원대군(義城府院大君)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의성부원부인(義城府院夫人)의 아들이.

새로운!!: 대군와 의성부원대군 · 더보기 »

의안대군 (1348년)

의안대군 이화(義安大君 李和, 1348년 ~ 1408년 10월 6일)는 고려 말의 선비이며 조선 초의 왕족, 무신, 문신이.

새로운!!: 대군와 의안대군 (1348년) · 더보기 »

익안대군

익안대군(益安大君, 1360년 ~ 1404년 9월 26일)은 고려 말기 사람이자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대군와 익안대군 · 더보기 »

은천옹주

은천옹주 임씨(銀川翁主 林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28대 왕 충혜왕의 후궁(제4비)이.

새로운!!: 대군와 은천옹주 · 더보기 »

제안공 (왕숙)

제안공 왕숙(齊安公 王淑, 1238년 ~ 1312년)는 고려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대군와 제안공 (왕숙) · 더보기 »

정윤

정윤(鄭潤, 1957년 4월 12일 ~, 서울)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대군와 정윤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대군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환조

이자춘(李子春, 1315년 ~ 1361년 6월 3일(음력 4월 30일))은 원의 관료이자 고려의 무신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대군와 조선 환조 · 더보기 »

친왕

동아시아에서, 친왕(親王)은 황태자를 제외한 남자 황족에게 부여되는 칭호이.

새로운!!: 대군와 친왕 · 더보기 »

품계

(品階)는 동양에서 신하들의 계급을 나타내는 급제도이.

새로운!!: 대군와 품계 · 더보기 »

원윤

원윤(袁胤, ? ~ ?)은 중국 후한 말기의 정치가로, 예주(豫州) 여남군(汝南郡)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대군와 원윤 · 더보기 »

후궁

후궁(後宮)은 제왕(帝王)의 측실(側室.

새로운!!: 대군와 후궁 · 더보기 »

왕자

왕자(王子, 프린스)는 서양에서 황족이나 왕족의 남자나 특정의 영역을 지배하는 귀족의 칭호로서 사용되는 영어 단어이.

새로운!!: 대군와 왕자 · 더보기 »

14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대군와 1401년 · 더보기 »

14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대군와 1414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군 (작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