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두막루

색인 두막루

막루(豆莫婁, 서기 410년? ~ 726년)는 부여의 유민들이 나하를 건너가 건국한 나라이.

36 처지: 돌궐, 동명왕, 동부여, 동이, 만주, 모용씨, 몽골족, 문자명왕, 물길, 발해, 발해 무왕, 거란, 고리국, 고구려, 광개토왕, 북위 (북조), 부여, 김정배 (역사학자), 대무신왕, 눈강, 두막루 연구, 낙 (성씨), 논형, 당 현종, 당나라, 흑수말갈, 위서 (역사서), 예맥, 헤이룽장성, 쑨진지, 쑹화강, 선비 (민족), 하얼빈 시, 아무르강, 신당서, 실위.

돌궐

돌궐 제1제국의 강역 서돌궐의 강역 동돌궐 및 이후 돌궐 제2제국 최전성기의 강역 돌궐(突厥,,, 551년-657년) 또는 괵튀르크(𐰜𐰇𐰚 𐱅𐰇𐰼𐰜, Göktürk)는 천산 산맥에서 발원한 철륵의 하위 부족이.

새로운!!: 두막루와 돌궐 · 더보기 »

동명왕

동명왕(東明王, 생몰년 미상)은 부여를 건국한 초대 왕(재위년 미상)이.

새로운!!: 두막루와 동명왕 · 더보기 »

동부여

동부여의 세력권 (3세기경) 동부여(東夫餘)는 부여의 일부 세력이 동쪽으로 이동해 세운 나라이.

새로운!!: 두막루와 동부여 · 더보기 »

동이

사이의 명칭 동이(東夷)는 중국 역사에서 동쪽에 사는 이민족을 일컬어 부르는 말이.

새로운!!: 두막루와 동이 · 더보기 »

만주

붉은색은 둥베이(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지방이고, 조금 연한 부분은 내몽골 자치구 동부 지역, 가장 연한 부분은 외만주이다. 만주()는 동북아시아 압록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두막루와 만주 · 더보기 »

모용씨

모용씨 모용씨()는 삼국 시대와 진나라 시기의 선비족 지파인 모용선비의 성씨로서, 이들은 후에 전연(前燕) · 서연(西燕) · 후연(後燕) · 남연(南燕)을 건립하였.

새로운!!: 두막루와 모용씨 · 더보기 »

몽골족

몽골족()은 몽골, 러시아, 중국(주로 내몽골 자치구)에 거주하는 민족이.

새로운!!: 두막루와 몽골족 · 더보기 »

문자명왕

문자명왕(文咨明王, ? ~ 519년, 재위: 491년 ~ 519년)은 고구려의 제21대 왕이.

새로운!!: 두막루와 문자명왕 · 더보기 »

물길

물길(勿吉)은 쑹화강 유역에 거주하였던 부족이.

새로운!!: 두막루와 물길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두막루와 발해 · 더보기 »

발해 무왕

발해 무왕 대무예(渤海 武王 大武藝, ? ~ 737년, 재위: 719년 6월 ~ 737년)는 발해의 제2대 왕이.

새로운!!: 두막루와 발해 무왕 · 더보기 »

거란

1000년경 거란의 영향권. 유목민의 생활 거란(契丹(글안▽)) 또는 키탄(Khitan)은 4세기 중엽부터 내몽골의 시라무렌 강 유역에 나타나 거주하던 몽골계와 퉁구스계의 혼혈족이.

새로운!!: 두막루와 거란 · 더보기 »

고리국

리국(槀離國, 기원전 5세기~기원전 2세기)은 만주 쑹화 강 북쪽 지역에 있었던 한국의 옛 나라이.

새로운!!: 두막루와 고리국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두막루와 고구려 · 더보기 »

광개토왕

광개토왕(廣開土王, 374년 ~ 412년?, 재위: 391년? ~ 412년?)은 고구려의 제19대 군주이.

새로운!!: 두막루와 광개토왕 · 더보기 »

북위 (북조)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479년 당시의 북위. 북위(北魏, 386년~534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에 선비족 탁발부에 의해 화북에 건국되어 남북조 시대까지 이어진 왕조이.

새로운!!: 두막루와 북위 (북조) · 더보기 »

부여

부여(扶餘, 기원전 2세기 ~ 494년)는 한민족의 고대국가로 여겨지는 초기 국가(연맹 왕국)들 중 하나로, 지금의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지금의 만주 일대(하얼빈, 아청, 위수, 눙안, 창춘, 솽양, 지린, 옌지, 훈춘, 치치하얼, 룽장)를 지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 고구려에 의해 부여는 병합되었.

새로운!!: 두막루와 부여 · 더보기 »

김정배 (역사학자)

정배(金貞培, 1940년 8월 1일 ~)는 서울특별시 출생의 대한민국 역사학자이.

새로운!!: 두막루와 김정배 (역사학자) · 더보기 »

대무신왕

무신왕(大武神王, 4년~44년)은 고구려의 제3대 왕(재위: 18년~44년)이.

새로운!!: 두막루와 대무신왕 · 더보기 »

눈강

강() 혹은 나하(那河)는 중국 북동부의 강이.

새로운!!: 두막루와 눈강 · 더보기 »

두막루 연구

음은 두막루에 대한 역사학계의 연구논문과 서적 및 언론기사 등의 목록이.

새로운!!: 두막루와 두막루 연구 · 더보기 »

낙 (성씨)

낙씨(諾氏)는 한국의 사라진 성씨이.

새로운!!: 두막루와 낙 (성씨) · 더보기 »

논형

《논형(論衡)》은 중국 후한(後漢)의 왕충(王充)이 지은 책으로, 85편으로 구성되어 있. 형(衡)이라 함은 저울에 달아서 공평하게 중량을 재는 것이.

새로운!!: 두막루와 논형 · 더보기 »

당 현종

당 현종 이융기(唐玄宗 李隆基, 685년 9월 8일 ~ 762년 5월 3일)는 중국 당나라의 제6대 황제이.

새로운!!: 두막루와 당 현종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두막루와 당나라 · 더보기 »

흑수말갈

흑수말갈(黑水靺鞨)은 말갈족의 한 부족이.

새로운!!: 두막루와 흑수말갈 · 더보기 »

위서 (역사서)

《위서》(魏書)는 중국 북제의 위수(魏收)가 편찬한 북위의 정사이.

새로운!!: 두막루와 위서 (역사서) · 더보기 »

예맥

예맥(濊貊)은 고대 한민족의 종족명으로, 한반도 북부와 중국의 동북부에 살던 한민족(韓民族)의 근간이 되는 민족 중 하나로 보는 게 일반적이.

새로운!!: 두막루와 예맥 · 더보기 »

헤이룽장성

헤이룽장 성(흑룡강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에 있는 성이.

새로운!!: 두막루와 헤이룽장성 · 더보기 »

쑨진지

쑨진지(孫進己, 손진기, 1931년 5월 ~)는 중국의 역사학자이.

새로운!!: 두막루와 쑨진지 · 더보기 »

쑹화강

쑹화 강 쑹화 강(송화강)은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한 강으로, 아무르 강의 가장 큰 지류이.

새로운!!: 두막루와 쑹화강 · 더보기 »

선비 (민족)

샨베이 벨트 버클 3-4세기 선비(기원전 1세기 ~ 6세기)는 몽골과 중국 화북 지방에서 살았던 유목 민족으로, 튀르크족의 조상 중 하나이.

새로운!!: 두막루와 선비 (민족) · 더보기 »

하얼빈 시

얼빈(합이빈,,, 문화어·중국조선말: 할빈)은 부성급시이자 중국 헤이룽장 성의 성도이.

새로운!!: 두막루와 하얼빈 시 · 더보기 »

아무르강

아무르 강() 또는 헤이룽 강(나나이어: Даи Мангбо (Dai Mangbo), 니브히어: La)은 상류의 실카 강과 오논 강을 포함하면 길이 4,444 km(세계 8위), 면적은 205만 2000 km²(세계 10위).

새로운!!: 두막루와 아무르강 · 더보기 »

신당서

《신당서》(新唐書)는 북송 인종이 《구당서》(舊唐書)의 내용이 왜곡된 것이 많고 너무 부실하다고 하여 구양수 등에 명하여 1044년 ~ 1060년에 걸쳐 완성한 당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책이.

새로운!!: 두막루와 신당서 · 더보기 »

실위

실위(室韋, 병음:Shìwéi)는 6세기에서 10세기까지 중국 동북부의 넌장 강, 아르군 강, 흑룡강 유역에 존재했던 민족이.

새로운!!: 두막루와 실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막로, 대막로국, 대막루, 대막루국, 두막루국, 달말루, 달말루국.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