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색인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독립촉성국민회(大韓獨立促成國民會)는 1946년 2월 8일 훗날의 대한민국 지역에서 결성된 우익 계열의 범정당 정치 단체이.

32 처지: 독립촉성중앙협의회, 민족주의, 민주국민당, 보수주의, 김규식, 김구,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목록,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헌 헌법,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의 대통령, 대한국민당 (1948년), 우익, 자유당 (대한민국), 포괄정당, 이승만, 일민구락부, 종로구, 서울특별시, 1946년, 1948년, 1950년, 1952년, 1952년 대한민국 지방선거, 1954년, 1956년, 1956년 대한민국 지방선거, 2월 8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

독립촉성중앙협의회(獨立促成中央協議會)는 1945년 10월 23일에 한국민주당, 한국국민당, 조선공산당, 건국동맹 등 각 대한민국의 정당 단체 200여 명이 모여 조직한 대한민국의 단체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더보기 »

민족주의

민족주의(民族主義) 또는 혈통적 국민주의()는 민족(ethnic group)에 대해 가지는 소속감이나 애착심, 그리고 그것을 강조하려는 생각이나 정치적 운동을 말. 대표적인 예로 1992년 독립을 선포한 압하스인들의 자신들의 민족만의 나라를 건설하고 이민족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압하지야 공화국이나 근대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일어난 통일 국가 수립 운동이 있.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민족주의 · 더보기 »

민주국민당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민주국민당 · 더보기 »

보수주의

보수주의(保守主義, Conservatism)는 관습적인 전통 가치를 옹호하고, 기존 사회 체제의 유지와 안정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정치이념을 말. 상대적으로 급격한 사회 변혁을 추구하는 진보주의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가치로서의 보수는 현상 유지(status quo)를 하거나, 점진적이고 안정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 보수주의는 보수적 가치를 추구하는 수많은 방법 중의 하나일 뿐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보수주의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김규식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김구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회

민국 국회(大韓民國 國會)는 대한민국의 의회이며 대한민국 입법부의 주축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대한민국 국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목록

----.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2대 총선(大韓民國第二代總選)은 4년 임기의 제2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50년 5월 30일에 치러졌.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3대 총선(大韓民國第三代總選)은 4년 임기의 제3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54년 5월 20일에 치러졌.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5월 10일에 실시된 남한 총선거의 벽보용 선거 홍보물. 낱장 칼라본. 전면에 태극기를 가로질러 건 독립문과 당시 군정청 건물로 선거하러 가는 인물들이 그려지고, 상단에 총선거 일시(5월 10일)가 표시됨. 중앙에 ‘총선거로 독립문이 열린다’, ‘중앙정부수립’, 좌우로 ‘기권은 국민의 수치’, ‘투표는 애국민의 의무’라는 표어가 인쇄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또는 9.99 총선거는 1999년 9월 9일에 제헌 국회를 구성할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적 선거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제헌 헌법

전쟁기념관에 전시 중인 제헌 헌법. 사진은 첫 장이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大韓民國制憲憲法)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제헌 국회가 제정하여 1952년 7월 7일 대한민국 헌법 제2호 개정 전까지 존재한 대한민국의 헌법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대한민국 제헌 헌법 · 더보기 »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또는 대한민국 초대 정·부통령 선거는 1948년 7월 20일 제헌국회 국회의원들의 간접선거에 의한 제1대 정·부통령 선거로 이승만 후보를 초대 대통령으로, 이시영 후보를 초대 부통령으로 각각 선. 대통령선거는 오전 10시에 시작되었고, 부통령 선거는 오후 2시에 시작되었.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통령

민국 대통령(大韓民國 大統領)은 대한민국의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으로서 임기는 5년이며 연임과 중임이 불가능.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대한민국의 대통령 · 더보기 »

대한국민당 (1948년)

국민당은 대한민국의 보수 정당으로 1948년 11월 13일 신익희, 윤치영 등에 의해 친이승만계 정당으로 창당되었.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대한국민당 (1948년) · 더보기 »

우익

우파(右派) 또는 우익(右翼)은 정치적 성향의 분포에서 좌파 또는 좌익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회적 안정(보수)화를 바탕으로 온건한 개혁을 주장하는 개인이나 단체를 말. 우파는 주로 보수적인 정치적 성향을.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우익 · 더보기 »

자유당 (대한민국)

자유당(自由黨)은 1951년 12월에 대한민국에서 창당된 보수정당이며 대통령 이승만을 당수로 하였으며, 장택상 · 이범석 · 장면 · 배은희 · 이기붕 · 함태영, 이갑성, 백성욱이 주요 간부였.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자유당 (대한민국) · 더보기 »

포괄정당

정당(包括政黨) 또는 빅텐트()는 특정 계급이나 이념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계층이나 이념을 가진 사람들의 정당을 의미.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포괄정당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이승만 · 더보기 »

일민구락부

일민구락부(一民俱樂部)는 1949년 11월 12일에 창당되었던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이승만의 일민주의를 지지하였.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일민구락부 · 더보기 »

종로구

종로구(鐘路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중북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종로구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1946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1948년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1950년 · 더보기 »

1952년

195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1952년 · 더보기 »

1952년 대한민국 지방선거

1952년 지방 선거(1952年地方選挙)는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시행된 지방선거(地方選擧)로, 시(市),읍(邑),면(面)의회의원선거와 도(道)의회의원선거가 별개로 진행되었.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1952년 대한민국 지방선거 · 더보기 »

1954년

195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1954년 · 더보기 »

1956년

195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1956년 · 더보기 »

1956년 대한민국 지방선거

1956년 지방 선거(1956年 地方選擧)는 1956년 대한민국에서 시행된 지방선거(地方選擧)로, 시(市),읍(邑),면(面)의회의원,시,읍,면장 선거와 특별시(特別市), 도(道)의회의원선거가 별개로 진행되었.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1956년 대한민국 지방선거 · 더보기 »

2월 8일

2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9번째(윤년일 경우도 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2월 8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독립촉성국민회, 독립촉성회, 독촉국민회, 대촉국, 대한독촉국민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