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

색인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

보물 제1호 흥인지문 대한민국의 보물(大韓民國 寶物)은 목조 건축물, 석조 건축물, 전적류, 서적류, 고문서, 회화, 조각류, 공예품, 고고자료, 무구(巫具) 등 대한민국의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을 국가에서 지정한 것이.

109 처지: 능엄경, 목우자수심결 및 사법어(언해), 문경 대승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 (보물 제961-2호), 배자예부운략 목판,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 강화 백련사 철조아미타여래좌상, 경주 마동 삼층석탑,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경주 남사리 삼층석탑,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 경주 석굴암 삼층석탑, 범망경 및 금강반야바라밀경,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보성 우천리 삼층석탑,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 공주 서혈사지 석조여래좌상,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 권벌 종가 고문서, 권벌 종가 유묵,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보물 제920호), 기사계첩, 금동관음보살입상 (보물 제927호), 금강반야바라밀경, 김성일 종가 고문서, 김성일 종가 전적,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대한민국, 대한민국 문화재청, 대한민국의 국보, 구례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군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이광악 선무공신교서,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조선 태조 어진, 진실주집,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933호), ...,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966호),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보물 제903호), 청주 용화사 석조불상군, 청양 운장암 금동보살좌상,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상설고문진보대전전집 권7~8,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순천 금둔사지 석조불비상, 순천 선암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수월관음보살도,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 영동 신항리 석조여래삼존입상, 영조어진, 예념미타도량참법,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양산 미타암 석조아미타여래입상, 선조국문유서, 선조어서사 송언신 밀찰첩, 서울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 송언신 초상,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해남 미황사 대웅전,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 하동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하남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 월인석보 권11, 12,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0월 25일, 11월 13일, 11월 29일, 11월 4일, 12월 26일, 12월 28일,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월 17일, 1월 20일, 2004년, 2006년, 2010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3월 7일, 3월 9일, 4월 10일, 4월 1일, 4월 22일, 5월 7일, 6월 16일, 6월 29일, 7월 16일, 7월 2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9 더) »

능엄경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K.0426, T.0945),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 또는 《수능엄경》 또는 《능엄경》(楞嚴經)은 선(禪)을 닦아 인간의 감각작용에서 유발되기 쉬운 온갖 번뇌로부터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요의(要義)를 설한 대승불교의 불경으로, 당나라 때 반랄밀제(般剌蜜帝)가 한역(漢譯)하였.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능엄경 · 더보기 »

목우자수심결 및 사법어(언해)

목우자수심결 및 사법어(언해)(牧牛子修心訣 및 四法語(諺解))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목우자수심결 및 사법어(언해) · 더보기 »

문경 대승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문경 대승사 금동관음보살좌상(聞慶 大乘寺 金銅觀音菩薩坐像)은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대승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문경 대승사 금동관음보살좌상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묘법연화경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보물 제961-2호)

묘법연화경 권4~7(妙法蓮華經 卷四~七)은 불교의 대표적인 대승경전으로 조선 태종 5년(1405)에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安心社)에서 성달생(成達生, 1376~1444년)과 성개(成槪, ?~1440) 형제가 필사한 것을 새긴 목판본 전 7권 가운데 권4~7의 1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묘법연화경 (보물 제961-2호) · 더보기 »

배자예부운략 목판

배자예부운략 목판(排字禮部韻略 木板)은 경상북도 안동시, 한국국학진흥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배자예부운략 목판 · 더보기 »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白紙墨書地藏菩薩本願經)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 · 더보기 »

강화 백련사 철조아미타여래좌상

강화 백련사 철조아미타여래좌상(江華 白蓮寺 鐵造阿彌陀如來坐像)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백련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강화 백련사 철조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경주 마동 삼층석탑

경주 마동 삼층석탑(慶州 馬洞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마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중기의 3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경주 마동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慶州 普門寺址 蓮華文 幢竿支柱)는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보문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 · 더보기 »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慶州 祇林寺 塑造毘盧舍那佛 腹藏典籍)은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에 있는 사경(寫經)과 목판본(木版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 더보기 »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慶州 祇林寺 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은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기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 더보기 »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慶州 南澗寺址 幢竿支柱)는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 남간사지에 있는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 더보기 »

경주 남사리 삼층석탑

경주 남사리 삼층석탑(慶州 南莎里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에 있는 통일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경주 남사리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慶州 南山 茸長寺址 磨崖如來坐像)은 경주시 남산 용장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마애불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 더보기 »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慶州 龍明里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에 있는 통일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 석굴암 삼층석탑

경주 석굴암 삼층석탑(慶州 石窟庵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석굴암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경주 석굴암 삼층석탑 · 더보기 »

범망경 및 금강반야바라밀경

범망경 및 금강반야바라밀경(梵網經 및 金剛般若波羅蜜經)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이다. 1987년 7월 1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919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범망경 및 금강반야바라밀경 · 더보기 »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리스 청동 투구(古代 그리스 靑銅冑)는 손기정이 1936년 베를린 올림픽 경기대회 마라톤 경주에서 우승한 기념으로 받은 것으로, 청동으로 만든 높이 21.5cm의 투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 더보기 »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谷城 泰安寺 靑銅 大鈸鑼)는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태안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교 공예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 더보기 »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報恩 法住寺 大雄寶殿)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 더보기 »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報恩 法住寺 圓通寶殿)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 더보기 »

보성 우천리 삼층석탑

보성 우천리 삼층석탑(寶城 牛川里 三層石塔)은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에 있는 통일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보성 우천리 삼층석탑 · 더보기 »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寶城 柳新里 磨崖如來坐像)은 전라남도 보성군 율어면 유신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불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 · 더보기 »

공주 서혈사지 석조여래좌상

공주 서혈사지 석조여래좌상(公州 西穴寺址 石造如來坐像)은 충청남도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공주 서혈사지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

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南楊州 奉印寺 浮圖庵址 舍利塔 및 舍利莊嚴具)는 조선시대에 세운 사리탑과 그 안에 봉안되었던 금동 사리장엄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 · 더보기 »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奉化 北枝里 石造半跏像)은 대구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박물관 (산격동,경북대학교)에 있는 삼국시대의 석조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 · 더보기 »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奉化 鷲棲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및 木造光背)는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축서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 · 더보기 »

권벌 종가 고문서

벌 종가 고문서(權橃 宗家 古文書)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조선 중종 때 명신이며, 학자인 권벌(1478∼1548)의 종손가에 소장 되어온 고문서와 일괄 유물들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권벌 종가 고문서 · 더보기 »

권벌 종가 유묵

벌 종가 유묵(權橃 宗家 遺墨)은 경상북도 봉화군 충재박물관에 있는, 조선 중종때의 명신이며 학자였던 권벌 선생이 살았을 적에 써 둔 필적들을 모아놓은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권벌 종가 유묵 · 더보기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보물 제920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다. 1987년 7월 1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920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보물 제920호) · 더보기 »

기사계첩

사계첩(耆社契帖)은 조선 숙종 45년에 열렸던 기로회의 행사장면과 임방의 서문, 왕의 시문, 전체 내용을 요약한 김유의 발문과 참석명단과 참석한 노신들의 초상 등으로 꾸민 화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기사계첩 · 더보기 »

금동관음보살입상 (보물 제927호)

동관음보살입상(金銅觀音菩薩立像)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통일신라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금동관음보살입상 (보물 제927호) · 더보기 »

금강반야바라밀경

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은 한국의 대표 불교 종단인 조계종의 소의 경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금강반야바라밀경 · 더보기 »

김성일 종가 고문서

성일 종가 고문서(金誠一 宗家 古文書)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고려시대의 문서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김성일 종가 고문서 · 더보기 »

김성일 종가 전적

성일 종가 전적(金誠一 宗家 典籍)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전적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김성일 종가 전적 · 더보기 »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大邱 把溪寺 乾漆觀音菩薩坐像 및 腹藏遺物)은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문화재청

문화재청(文化財廳,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약칭: CHA)은 문화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대한민국 문화재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보

숭례문(국보 제1호) 대한민국의 국보(大韓民國 國寶)는 대한민국에서, 건축물이나 유물 등의 유형 문화재 가운데에 중요한 가치를 가져 보물로 지정될 만한 문화재 가운데 인류문화적으로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독특하고 희귀한 것 등으로 인정되어 따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말. 국보와 보물을 나눈 기준은 특별히 엄격하지 않으며 다만 제작 연도가 오래되었고 그 시대의 표준이 될 수 있는 것이나 제작 기술이 특별히 우수한 것 등을 국보로 지정하였.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대한민국의 국보 · 더보기 »

구례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求禮 泉隱寺 極樂殿 阿彌陀後佛幀畵)는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천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구례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 더보기 »

군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

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軍威 大栗里 石造如來立像)은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대율사 용화전 안에 모셔진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군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唐津 申庵寺 金銅如來坐像)은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신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 더보기 »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 더보기 »

이광악 선무공신교서

이광악 선무공신교서(李光岳 宣武功臣敎書)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왕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이광악 선무공신교서 · 더보기 »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利川 長岩里 磨崖菩薩半跏像)은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장암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 · 더보기 »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井邑普化里石造二佛立像)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정읍시 소성면 보화리에 있는 2기의 백제 석불입상으로, 보물 제914호로 지정되어 있. 오른쪽 어깨에 법의를 걸치지 않고 맨살을 내놓은 우견편단(右肩偏袒)의 모습인데 신라 통일 이전에는 금동불이나 마애불에는 이 같은 수법의 사용이 있었으나 화강암의 완전한 입상석불에 사용된 것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 더보기 »

조선 태조 어진

조선태조어진(朝鮮太祖御眞)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317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조선 태조 어진 · 더보기 »

진실주집

실주집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진실주집 · 더보기 »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933호)

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933호) · 더보기 »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966호)

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구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966호) · 더보기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보물 제903호)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靑磁 象嵌梅鳥竹文 梅甁)은 매화와 대나무, 학 무늬를 상감기법으로 새겨 넣은 고려청자 매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보물 제903호) · 더보기 »

청주 용화사 석조불상군

청주 용화사 석조불상군(淸州 龍華寺 石造佛像群)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 용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청주 용화사 석조불상군 · 더보기 »

청양 운장암 금동보살좌상

청양 운장암 금동보살좌상(靑陽 雲藏庵 金銅菩薩坐像)은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장곡사 하대웅전에 있는 고려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청양 운장암 금동보살좌상 · 더보기 »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尙州 南長寺 普光殿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각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 더보기 »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尙州 南長寺 觀音禪院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목각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 더보기 »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尙州 南長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상설고문진보대전전집 권7~8

상설고문진보대전전집 권7~8≫은 송(宋)의 황견(黃堅)이 편찬한 것으로, 조선조 서당에서 고문의 연변(演變)과 체법(體法)을 익히기 위하여 교재로 쓰던 시문선집 20 권10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상설고문진보대전전집 권7~8 · 더보기 »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順天 金芚寺址 三層石塔)은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순천 금둔사지 석조불비상

순천 금둔사지 석조불비상(順天 金芚寺址 石造佛碑像)은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금둔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 모양 석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순천 금둔사지 석조불비상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순천 선암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順天 仙巖寺 三層石塔 舍利莊嚴具)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교공예품으로, 순천 선암사 동·서 삼층석탑(보물 제395호)을 해체 수리할 때 발견된 유물 3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순천 선암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더보기 »

수월관음보살도

수월관음보살도(水月觀音菩薩圖)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수월관음보살도 · 더보기 »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盈德 莊陸寺 乾漆觀音菩薩坐像)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 장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 · 더보기 »

영동 신항리 석조여래삼존입상

영동 신항리 석조여래삼존입상 (永同 新項里 石造如來三尊立像)은 충청북도 영동군 옛 석은사 터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불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영동 신항리 석조여래삼존입상 · 더보기 »

영조어진

영조어진(英祖御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영조어진 · 더보기 »

예념미타도량참법

예념미타도량참법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예념미타도량참법 · 더보기 »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醴泉 龍門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각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 더보기 »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醴泉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양산 미타암 석조아미타여래입상

양산 미타암 석조아미타여래입상(梁山 彌陀庵 石造阿彌陀如來立像)은 경상남도 양산시 미타암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조 아미타불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양산 미타암 석조아미타여래입상 · 더보기 »

선조국문유서

선조국문유서(宣祖國文諭書)는 부산광역시 남구, 부산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왕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선조국문유서 · 더보기 »

선조어서사 송언신 밀찰첩

선조어서사 송언신 밀찰첩(宣祖御書賜宋言愼密札帖)은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간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선조어서사 송언신 밀찰첩 · 더보기 »

서울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

서울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 僧伽寺 石造僧伽大師坐像)은 북한산 승가사의 석굴에 있는 승가대사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서울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 · 더보기 »

송언신 초상

송언신 초상(宋言愼 肖像)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송언신 초상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陜川 海印寺 乾漆希朗大師坐像)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 조사였던 고려시대 희랑대사의 진영상(眞影像)으로, 해인사에 모셔져 있. 1989년 4월 10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999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 더보기 »

해남 미황사 대웅전

미황사 대웅전(海南 美黃寺 大雄殿)은 전라남도 해남군, 미황사에 있는 불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해남 미황사 대웅전 · 더보기 »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安城 奉業寺址 石造如來立像)은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사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하동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동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河東 雙磎寺 八相殿 靈山會相圖)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석가가 영취산에서 설법한 내용을 묘사한 영산회상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하동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 더보기 »

하남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

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河南 校山洞 磨崖藥師如來坐像)은 경기도 하남시 교산동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 약사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하남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 · 더보기 »

월인석보 권11, 12

월인석보 권11, 12(月印釋譜 卷十一, 十二)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세조 5년(1459)에 편찬한 불경언해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월인석보 권11, 12 · 더보기 »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華城 鳳林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경기도 화성시 봉림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10월 25일

10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8번째(윤년일 경우 29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10월 25일 · 더보기 »

11월 13일

11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7번째(윤년일 경우 3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11월 13일 · 더보기 »

11월 29일

11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3번째(윤년일 경우 3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11월 29일 · 더보기 »

11월 4일

11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8번째(윤년일 경우 30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11월 4일 · 더보기 »

12월 26일

12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0번째(윤년일 경우 3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12월 26일 · 더보기 »

12월 28일

12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2번째(윤년일 경우 3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12월 28일 · 더보기 »

1986년

19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1986년 · 더보기 »

1987년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1987년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1988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1989년 · 더보기 »

1월 17일

1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번째(윤년일 경우도 1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1월 17일 · 더보기 »

1월 20일

1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번째(윤년일 경우도 2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1월 20일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2004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2006년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2010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2012년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2013년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2014년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2015년 · 더보기 »

3월 7일

3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6번째(윤년일 경우 6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3월 7일 · 더보기 »

3월 9일

3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8번째(윤년일 경우 6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3월 9일 · 더보기 »

4월 10일

4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0번째(윤년일 경우 10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4월 10일 · 더보기 »

4월 1일

4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1번째(윤년일 경우 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4월 1일 · 더보기 »

4월 22일

4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2번째(윤년일 경우 11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4월 22일 · 더보기 »

5월 7일

5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7번째(윤년일 경우 128번째), 뒤에서부터는 2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5월 7일 · 더보기 »

6월 16일

6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7번째(윤년일 경우 16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6월 16일 · 더보기 »

6월 29일

6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0번째(윤년일 경우 18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6월 29일 · 더보기 »

7월 16일

7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7번째(윤년일 경우 19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7월 16일 · 더보기 »

7월 29일

7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0번째(윤년일 경우 2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 ~ 제1000호)와 7월 29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