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5 처지: C, D, 라틴어, 로마 제국, 로마자, 르네상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밀레니엄, 고대 로마, 분배법칙, 기수법, 대소문자, 대한민국, 달마티아, I, 이베리아반도, 이집트 숫자, 정수, 카로슈티 문자, 유니코드, 위치 기수법, 숫자, 수 (수학), 에트루리아 문자, 에트루리아인, 연산, 알안달루스, 아라비아 숫자, KS X 1001, L, M, V, X, 0, 1, 10, 100, 1000, 11세기, 12월, 14세기, 4, 5, 50, 500.
- 기수법
- 로마 수학
- 로마 제국의 유산
- 로마자
- 숫자
C
C, c는 로마자의 세(3) 번째 글자이.
보다 로마 숫자와 C
D
D, d(디)는 로마자의 네 번째 글자이.
보다 로마 숫자와 D
라틴어
어(Lingua Latīna)는 이탈리아 반도의 중부에 있는 고대 로마와 그 주변 지역 라티움(Latium)에 정착하여 살던 라티움 사람들이 쓰던 언어이.
보다 로마 숫자와 라틴어
로마 제국
마 제국은 아우구스투스가 황제 지배 체제 혹은 원수정(principatus)을 사실상 시작한 기원전 27년부터 몰락까지의 로마를 일컫.
보다 로마 숫자와 로마 제국
로마자
문자() 또는 로마자()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문자이며, 음소 문자 체계이.
보다 로마 숫자와 로마자
르네상스
르네상스() 또는 문예 부흥(文藝復興), 학예 부흥(學藝復興)은 유럽 문명사에서 14세기부터 16세기 사이 일어난 문예 부흥 또는 문화 혁신 운동을 말. 과학 혁명의 토대가 만들어져 중세를 근세와 이어주는 시기가 되었.
보다 로마 숫자와 르네상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마이크로소프트 윈도스)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컴퓨터 운영 체제이.
밀레니엄
밀레니엄(millennium)은 1000년 단위로 연도를 끊은 것을 말. 첫 번째 밀레니엄은 1년부터 1000년까지를, 두 번째 밀레니엄은 1001년부터 2000년까지를 뜻.
보다 로마 숫자와 밀레니엄
고대 로마
마(古代 -)는 기원전 8세기경 이탈리아 중부의 작은 마을에서 시작해 지중해를 아우르는 거대한 제국을 이룬 고대 문명으로 고대 그리스, 오리엔트, 셈족, 서유럽 켈트, 게르만 등 문화의 용광로였.
보다 로마 숫자와 고대 로마
분배법칙
분배법칙(分配法則)이란 수학에서, 상세히 말하자면 추상대수학에서, 이항연산에 대한 성질로 다음과 같은 곱셈과 덧셈에 대한 초등대수에서의 분배법칙 을 일반화 시킨 것이.
보다 로마 숫자와 분배법칙
기수법
수법(記數法, numeral system)은 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기수법을 통해서 나타나는 각각의 숫자는 다른 수들과 구별되는 표기 방식을.
보다 로마 숫자와 기수법
대소문자
영어 알파벳의 첫 번째 문자에서 소문자 "a"와 대문자 "A"를 겹쳐놓은 모습. 맞춤법과 타이포그래피에서 대문자(大文字)와 소문자(小文字)는 큰 글자와 작은 글자의 구별이.
보다 로마 숫자와 대소문자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보다 로마 숫자와 대한민국
달마티아
아티아의 지도; 강조된 부분이 달마티아 로마 제국 시절의 달마티아 달마티아()는 아드리아 해 동부 연안에 면한 크로아티아의 지역이.
보다 로마 숫자와 달마티아
I
I, i(아이)는 로마 문자의 아홉 번째 글자이.
보다 로마 숫자와 I
이베리아반도
이베리아 반도 이베리아 반도()는 유럽의 남서쪽 끝에 있는 반도이.
이집트 숫자
이집트 숫자는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전 3000년 무렵부터 쓰인 상형 문자로 표기된 숫자이.
정수
정수들의 집합은 순서에 따라 직선 위에 나타낼 수 있다. 수학에서, 정수(整數)는 양의 정수(1, 2, 3,...) 및 음의 정수(-1, -2, -3,...) 및 0으로 이루어진 수 체계이.
보다 로마 숫자와 정수
카로슈티 문자
슈티 문자는 고대의 남아시아 서북부 및 중앙아시아에서 사용된 문자이.
유니코드
유니코드 로고. 유니코드(Unicode)는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컴퓨터에서 일관되게 표현하고 다룰 수 있도록 설계된 산업 표준이며, 유니코드 협회(Unicode Consortium)가 제정.
보다 로마 숫자와 유니코드
위치 기수법
위치 기수법(位置記數法)은 기수법의 하나이.
숫자
아라비아 숫자 10개. 숫자(數字)는 기수법에서 수를 표기하기 위한 기호 또는 문자이.
보다 로마 숫자와 숫자
수 (수학)
복소수와 이의 부분집합들 - 자연수 (ℕ), 정수 (ℤ), 유리수 (ℚ), 실수 (ℝ), 복소수 (ℂ) 수(數)는 양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해 온 추상적인 개념이.
에트루리아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는 이탈리아의 비(非) 인도유럽어 민족에 속하는 에트루리아인이 기원전 8세기경에 그리스 문자(그중에서도 아마 칼키스 형태)를 바탕으로 만든 표기체계이.
에트루리아인
마인보다 앞서 이탈리아 반도에 최초로 독자적인 문화를 남긴 에트루리아 인은, 기원전 8세기경부터 기원전 2세기까지 북쪽은 토스카나 지방부터 남쪽은 로마에 이르는 지중해 연안 지역을 중심으로 한 중부 이탈리아의 거의 전역을 지배한 민족이.
연산
연산은 다음과 같은 뜻을 갖.
보다 로마 숫자와 연산
알안달루스
알만조르 최전성기인 1000년 경 당시의 알안달루스와 기독교 왕국들 알 안달루스(Al-Andalus)는 오늘날 이베리아 반도 (스페인과 포르투갈, 안도라) 를 차지하는 중세 무슬림 국가이자 영토이.
보다 로마 숫자와 알안달루스
아라비아 숫자
산세리프 글꼴로 표시된 아라비아 숫자 아라비아 숫자는 위치 기수법에 따른 십진법으로 수를 표시하는 인도-아라비아 수체계에서 사용되는 열 개의 숫자 (0, 1, 2, 3, 4, 5, 6, 7, 8, 9)이.
KS X 1001
림으로 나타낸 KS X 1001 문자 집합의 구조 KS X 1001은 한국 산업 규격으로 지정된 한국어 문자 집합으로서, 정식 규격명은 ‘정보 교환용 부호계 (한글 및 한자)’이며, 옛 이름인 KS C 5601로도 알려져 있. 1974년에 처음으로 제정되었고, 2004년에 개정된 ‘KS X 1001:2004’가 최신 규격이.
L
L, l(엘)은 로마 문자의 12번째 글자이.
보다 로마 숫자와 L
M
M(엠)은 로마 문자의 13번째 글자이.
보다 로마 숫자와 M
V
V, v(비, 브이)는 로마 문자의 22번째 글자이.
보다 로마 숫자와 V
X
X, x(엑스)는 24 번째 로마 문자이.
보다 로마 숫자와 X
0
0(零, 영)은 -1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정수.
보다 로마 숫자와 0
1
1(일)은 가장 작은 양의 정수로 0과 2 사이의 정수이.
보다 로마 숫자와 1
10
10(십)은 9보다 크고 11보다 작은 자연수이.
보다 로마 숫자와 10
100
100(백)은 99보다 크고 101보다 작은 자연수이.
보다 로마 숫자와 100
1000
1000(천)은 999보다 크고 1001보다 작은 자연수이.
보다 로마 숫자와 1000
11세기
11세기는 1001년부터 1100년까지이.
보다 로마 숫자와 11세기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보다 로마 숫자와 12월
14세기
14세기는 1301년부터 1400년까지이.
보다 로마 숫자와 14세기
4
4(사)는 3보다 크고 5보다 작은 자연수이.
보다 로마 숫자와 4
5
5(오)는 4보다 크고 6보다 작은 자연수이.
보다 로마 숫자와 5
50
50(오십)은 49보다 크고 51보다 작은 자연수이.
보다 로마 숫자와 50
500
500(오백)은 499보다 크고 501보다 작은 자연수이.
보다 로마 숫자와 500
참고하세요
기수법
- 1의 보수
- 3 초과 부호
- SI 접두어
- 계수기
- 굿스타인의 정리
- 균형 3진법
- 그레이 부호
- 그리스 숫자
- 기수법
- 로마 숫자
- 마야 숫자
- 밑 (수학)
- 바빌로니아 숫자
- 선사 숫자
- 셈
- 수 목록
- 순환소수
- 숫자
- 알고리즘 (수학)
- 이진 접두어
- 이진화 십진법
- 이집트 숫자
- 일라이어스 감마 부호
- 일라이어스 델타 부호
- 일라이어스 오메가 부호
- 일진법
- 작은 수의 이름
- 큰 수의 이름
- 힌디-우르두어 수사
로마 수학
- 로마 숫자
- 주판
로마 제국의 유산
- 로마 숫자
- 요일
로마자
숫자
- Zompist.com
- 그리스 숫자
- 로마 숫자
- 마야 숫자
- 바빌로니아 숫자
- 버마어 수사
- 산가지
- 서수 (언어학)
- 수사 (품사)
- 아라비아 숫자
- 이집트 숫자
- 중국어 수사
- 큰 수의 이름
- 키푸
- 힌디-우르두어 수사
또한 로마숫자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