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

색인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

슬란과 류드밀라(Руслан и Людмила)는 미하일 글린카가 1837~1842년에 작곡한 5막 8장의 오페라이.

25 처지: 론도, 메조소프라노, 미하일 글린카, 반음계, 바리톤, 베이스 (성악),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볼쇼이 극장,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슬라브족, 조아키노 로시니, 상트페테르부르크,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오케스트레이션, 온음음계, 협화음과 불협화음, 피가로의 결혼, 피아노, 설화, 세비야의 이발사, 서곡, 소프라노, 알렉산드르 푸시킨, 하프, 테너.

론도

()는 주제가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반복하여 나타나는 형식으로 되어 있는 곡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론도 · 더보기 »

메조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영어:Mezzo Soprano, 이탈리아어:Mezzo Soprano)는 성악에서 여자의 중간 음역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메조소프라노 · 더보기 »

미하일 글린카

미하일 글린카 미하일 이바노비치 글린카(1804년 6월 1일(신력)/5월 20일(구력) ~ 1857년 2월 15일(신력)/2월 3일(구력))는 러시아의 작곡가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미하일 글린카 · 더보기 »

반음계

반음계(半音階)는 모든 음이 반음간격으로 진행되는 음계로, 12개의 반음정으로 구성되어 있.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반음계 · 더보기 »

바리톤

바리톤(Baritone)은 테너와 베이스 사이의 음역 및 그 음역의 성악가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바리톤 · 더보기 »

베이스 (성악)

베이스(bass)는 성악에서 남자 가수의 가장 낮은 음역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베이스 (성악) · 더보기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모차르트의 친필 사인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1756년 1월 27일 ~ 1791년 12월 5일)는 오스트리아의 서양 고전 음악 작곡가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더보기 »

볼쇼이 극장

러시아 모스크바에 있는 볼쇼이 극장 러시아 국립 아카데미 대극장(), 약칭 볼쇼이 극장('큰 극장', '대극장(大劇場)'의 의미)은 러시아 모스크바에 있는 극장으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오페라 극장 중 하나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볼쇼이 극장 · 더보기 »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이 림스키코르사코프. 발렌틴 세로프 작, (1898년) 니콜라이 안드레예비치 림스키코르사코프(1844년 3월 18일 ~ 1908년 6월 21일)는 러시아의 작곡가이자, 관현악법으로 잘 알려진 음악학자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 더보기 »

슬라브족

슬라브족(-族)은 인도유럽어족의 슬라브어파 언어를 쓰는 인도유럽 민족들 중 하나로, 대부분 동유럽과 중앙아시아에 거주하며 일부는 서반구와 서유럽 등 전 세계로 퍼졌.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슬라브족 · 더보기 »

조아키노 로시니

조아키노 로시니의 초상화 조아키노 안토니오 로시니(Gioacchino Antonio Rossini, 1792년 2월 29일 ~ 1868년 11월 13일)는 가에타노 도니체티, 빈첸초 벨리니와 더불어 19세기 전반의 이탈리아 오페라 무대를 화려하게 장식하며 벨칸토 낭만주의의 빛나는 예술성을 꽃피웠.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조아키노 로시니 · 더보기 »

상트페테르부르크

상트페테르부르크(이수르어: Pietari,, 보트어: Pietari)는 러시아의 북서쪽에 있는 연방시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상트페테르부르크 · 더보기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극장 광장과 음악원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Sankt-Peterburgskaya, 1862년 9월 20일~)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음악 학교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더보기 »

오케스트레이션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은 관현악 연주를 위하여 작곡을 하는 기법을 뜻. 관현악법 또는 기악 편성법이라고도 지칭.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오케스트레이션 · 더보기 »

온음음계

온음음계(─音音階, Whole tone scale), 전음음계(全音音階)는 옥타브에 6개의 온음만으로 되는 음계를 말. 이것은 반음계의 음을 하나 건너씩 둠으로써 이루어지며, 2가지밖에 없. 온음음계를 쓴 작곡가로는 미하일 글린카, 프란츠 리스트 등이 있으며, 특히 클로드 드뷔시가 이것을 주로 썼.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온음음계 · 더보기 »

협화음과 불협화음

협화음(協和音, 어울림음)과 불협화음(不協和音, 안어울림음)은 용어들이 상호 배제에 의해 서로를 정의하는 구조적 이분법을 형성.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협화음과 불협화음 · 더보기 »

피가로의 결혼

《피가로의 결혼()》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보마르셰의 희극 피가로의 결혼(Le mariage de Figaro, 1784년)에 기초한 로렌초 다 폰테의 대본으로 1786년에 작곡한 오페라 부파(희가극)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피가로의 결혼 · 더보기 »

피아노

아노. 피아노(piano)는 대표적인 건반악기로서 피아노포르테(pianoforte)의 준말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피아노 · 더보기 »

설화

설화(說話Traditional stories)는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로 보통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를 말. 『한국설화문학연구』(장덕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0), 『구비문학개설』(한국구비문학회, 일조각, 1971) 참조.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설화 · 더보기 »

세비야의 이발사

세비야의 이발사()는 조아키노 로시니가 작곡한 2막의 희극 오페라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세비야의 이발사 · 더보기 »

서곡

서곡(序曲, overtura(이탈리아어), Ouvertüre(독일어), ov­erture(영어), ouverture(프랑스어))은 오페라나 오라토리오 또는 모음곡과 같은 규모가 큰 악곡의 개시부에 놓여져서 도입적인 역할을 하는 음악을 말. 바로크기에는 느리게-빠르게-느리게의 3부로 된 프랑스풍 서곡과, 빠르게-느리게-빠르게로 된 이탈리아풍 서곡이 있었으나, 고전파 이후의 많은 서곡을 소나타 형식으로 하고 있. 오페라 등에 부속하지 않고 독립하여 작곡된 서곡도 있. 분류:오페라 분류:오라토리오.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서곡 · 더보기 »

소프라노

소프라노(soprano)는 성악에서 여자 가수의 가장 높은 음역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소프라노 · 더보기 »

알렉산드르 푸시킨

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푸시킨(1799년 6월 6일 ~ 1837년 2월 10일)은 러시아의 위대한 시인이자 소설가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알렉산드르 푸시킨 · 더보기 »

하프

리의 하프 연주자.(퀘벡 시) 하프(Harp)는 한국의 공후와 같은 악기로서 많은 수의 현을 가진 발현악기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하프 · 더보기 »

테너

(tenor)는 성악에서 남자 가수의 가장 높은 음역이.

새로운!!: 루슬란과 류드밀라 (오페라)와 테너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