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

색인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List of unsolved problems in physics)는 물리학 분야의 미해결 문제들로 이론적인 의미로는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특정한 관측 현상 및 실험 결과들을 의미.

154 처지: BSCCO, CP 위반, 끈 이론, 데이비드 도이치, 띠구조, 로저 펜로즈, 루프 양자중력, 맥노트 혜성, 면역계, 모든 것의 이론, 물리학, 물질, 뮤 입자, 미해결 문제 목록, 감마선 폭발, 갈래비, 반물질, 반전성, 강입자, 강착원반, 강한 상호작용, 밀레니엄 문제, 경입자, 벌거숭이 특이점, 게이지 이론, 고온 초전도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계층 문제, 광전 증폭관, 광학 이성질체, 관측 가능한 우주, 불변 질량, 분자, 기본 입자, 기본 전하, 블랙홀, 급팽창 이론, 글루볼, 글루온, 비등방성, 비정질 고체, 빅 프리즈, 대폭발, 대폭발 핵합성, 대통일 이론, 대함몰, 국소성의 원리, 난류 (역학), 뉴욕 타임스, 스윙바이, ..., 스티븐 호킹, 우주 (계통),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우주 검열 가설, 우주의 가속 팽창, 우주의 종말, 우주상수, 슈뢰딩거 방정식, 자기 재결합, 자기 홀극, 재규격화, 페르미-디랙 통계, 페체이-퀸 이론, 펄서, 힉스 메커니즘, 힉스 보손, 큐비트, 흡광, 이론, 인류 원리, 인과관계, 인플라톤, 일반 상대성이론, 제트 (천문학), 전자볼트, 전하 켤레 대칭, 중력, 중력자, 중간자, 중입자, 중입자 비대칭, 중성미자, 중성자, 중성자별, 질량 간극, 진공, 초고에너지 우주선, 초대질량 블랙홀, 초대칭, 초대칭짝, 초전도 현상, 초신성, 카이퍼 대, 켈빈, 콤팩트 공간, 코페르니쿠스 원리, 쿼크, 유리 전이, 유전자 발현, 유카와 상호작용, 율리시스 (우주선), 상 (물리학), 생화학, 색가둠, 수소, 영점 에너지, 오마이갓 입자, 호킹 복사, 현재, 현상 (철학), 양-밀스 이론, 양자 튜링 기계, 양자 중력, 양자 컴퓨터, 양자 색역학, 양자 얽힘, 양자 홀 효과, 양자장론, 양자역학, 양자역학의 해석, 양성자, 양성자 붕괴, 양성자 스핀 위기, 에딩턴 한계, 여차원, 열역학 제2법칙, 엔트로피, 표준 모형, 삼체 문제, 플랑크 길이, 플라스마, 세대 (물리학), 털없음 정리, 토카막, 토성, 액정, 액시온, 항성, 핵력, 핵자, 핵융합 발전, 암흑 에너지, 암흑류, 암흑물질, 신호 대 잡음비, 실험, 시뮬레이션, 시간 여행, 시공간, 원자핵, 퀀텀닷, 활동은하핵, 확률 과정, M-시그마 관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4 더) »

BSCCO

BSCCO(Bismuth Strontium Calcium Copper Oxide)의 분자식은 Bi2Sr2CaCu2O8+δ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BSCCO · 더보기 »

CP 위반

물리학에서 CP 대칭성 깨짐(CP violation)은 물리적 현상이 패리티 대칭(P)과 전하 켤레 대칭(C)을 조합한 CP 대칭을 깨는 것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CP 위반 · 더보기 »

끈 이론

으로 볼 수 있다. 끈 이론()은 1차원의 개체인 끈과 이에 관련된 막(幕, brane)을 다루는 물리학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끈 이론 · 더보기 »

데이비드 도이치

이비드 엘리에저 도이치(FRS, 1953년 이스라엘 하이파 출생)은 이스라엘 태생의 영국인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데이비드 도이치 · 더보기 »

띠구조

doi.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띠구조 · 더보기 »

로저 펜로즈

저 펜로즈 경(FRS, 1931년 8월 8일 ~)은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로저 펜로즈 · 더보기 »

루프 양자중력

격자 루프 양자중력() 또는 고리 양자중력은 중력(Gravity)의 양자적 속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루프 양자중력 · 더보기 »

맥노트 혜성

맥노트 혜성(Comet McNaught, 공식 이름 C/2006 P1)은 2006년 8월 7일 오스트레일리아의 천문학자 로버트 맥노트(Robert H. McNaught)가 뱀주인자리에서 발견한 비주기 혜성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맥노트 혜성 · 더보기 »

면역계

탄저균(그림에서 주황색)을 섭식하고 있는 호중구(그림에서 노란색)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면역계(免疫系)는 생물체 내에서 병원체 등의 비자기 물질(외인성 항원, Exogenous antigen)이나 암세포 등의 비정상적인 세포를 인식하고 살균하여 생체를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생물학적인 구조 및 과정을 의미.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면역계 · 더보기 »

모든 것의 이론

모든 것의 이론(Theory of Everything, ToE) 또는 만물 이론이란, 자연계의 네 가지 힘인 전자기력, 강력, 약력, 중력을 하나로 통합하는 가상의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모든 것의 이론 · 더보기 »

물리학

물리학(物理學)은 물질과,리처드 파인만은 원자론을 다루는 《파이만의 물리학 강의》(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에서 "대격변이 일어나 모든 과학 지식이 없어진다고 해도, 다음의 단 한 문장만 다음 세대에 전달되면 다시 모든 과학 지식이 구축될 수 있다고 믿습.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물리학 · 더보기 »

물질

물질(物質)의 고전적 정의는 물체를 이루는 존재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물질 · 더보기 »

뮤 입자

뮤 입자(muon)는 렙톤의 3 세대중 두 번째 세대의 전하를 띤 기본입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뮤 입자 · 더보기 »

미해결 문제 목록

미해결 문제 목록은 여러 추측이나 다양한 분야의 열린 문제를 참조.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미해결 문제 목록 · 더보기 »

감마선 폭발

량이 큰 항성의 일생. 항성은 가벼운 원소를 무거운 원소로 핵융합 하여 내부 압력을 유지면서 삶을 유지한다 더이상 핵융합이 불가능해지면 압력이 유지되지 않아 자체 중력으로 인해 항성은 급격히 붕괴하여 블랙홀을 형성한다. 이론적으로, 이 붕괴가 일어날 때 항성의 자전축 방향으로 분출되는 에너지가 감마선 폭발을 형성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마선 폭발(gamma ray burst; GRB)이란 멀리 떨어진 은하들에서 관측되는 에너지의 폭발로 인한 감마선의 섬광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감마선 폭발 · 더보기 »

갈래비

비(Branching ratio, Branching fraction)는 입자물리학과 핵물리학에서 방사능 붕괴가 일어나는 비율을 가리.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갈래비 · 더보기 »

반물질

반물질(反物質)은 반입자의 개념을 물질로 확대시킨 것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반물질 · 더보기 »

반전성

물리학에서, 반전성 변환(parity transformation)이란 공간축의 부호를 뒤집는 변환을 말. 예) P: (x,y,z) → (-x,-y,-z) 반전성변환이 입력한 현상의 거울 대칭된 현상을 출력하기 때문에, 물리현상의 비대칭성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된다. 단, 비대칭적이지 않은 현상을 입력할 경우 반전성 변환은 단위 변환, 다시 말해 항등 함수 역할만 한다. 반전성 변환을 3X3 행렬로 표현할 경우, 그 행렬의 행렬식은 -1이다. 때문에, 행렬식이 1이어야만 하는 회전 변환 행렬의 구실을 하지 못한다. 반전성 변환과 일치하는 수학 용어로는 점대칭이 있다. 2차원 평면의 경우, 반전성 변환은 절대 두 축의 방향을 모두 반대로 바꾸는 경우가 없다. 오직 둘 중 하나의 축만 방향을 반대로 바꾼다. 역시 행렬로 표현할 경우 행렬식의 값은 -1이다. 분류:물리학의 기본 개념 분류:보존 법칙.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반전성 · 더보기 »

강입자

강입자(強粒子) 또는 하드론()은 입자물리학에서 쿼크와 글루온으로 만들어지고 색전하가 중성인 합성 소립자.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강입자 · 더보기 »

강착원반

예술가가 상상하여 표현한 주계열성과 블랙홀의 쌍성계. 주계열성에서 흘러나온 물질이 블랙홀의 주위에 강착원반을 형성하고 있다. 강착원반(降着圓盤, 어크리션 디스크)은 중심물체의 주위로 궤도 운동하는 확산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강착원반 · 더보기 »

강한 상호작용

강한 상호작용(強한相互作用, strong interaction)은 물리학에서 다루는 개념으로 원자핵이나 중간자들을 결합하고 상호작용하게 하는 힘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강한 상호작용 · 더보기 »

밀레니엄 문제

밀레니엄 문제()는 2000년 5월 24일에 클레이 수학연구소(CMI)가 정한, 21세기 사회에 가장 크게 공헌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풀리지 않은 미해결 문제 7가지를 말. "오랫동안 풀리지 않은 중요한 기본 문제"로 여겨지고 있. CMI는 각 문제를 처음으로 해결하는 사람에게는 100만 달러씩을 수여한다고 하였.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밀레니엄 문제 · 더보기 »

경입자

경입자(輕粒子, 렙톤)는 물리학에서 스핀이 ½이고 (페르미온) 강한 핵력에 영향을 받지않는 기본 입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경입자 · 더보기 »

벌거숭이 특이점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벌거숭이 특이점(-特異點)은 사건 지평선으로 둘러싸이지 않은 특이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벌거숭이 특이점 · 더보기 »

게이지 이론

양자장론에서, 게이지 이론()이란 그 라그랑지언이 국소적으로 대칭인 장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게이지 이론 · 더보기 »

고온 초전도체

온 초전도체는 전통적인 초전도체 이론인 BCS이론을 따르지 않는 흔히 30 K 이상의 온도에서도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체를 말. 최초의 고온 초전도체는 구리산화물계열이었고 2008년에는 철산화물계열의 고온초전도체가 발견되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고온 초전도체 · 더보기 »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보손 입자들이 절대 영도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되었을 때 나타나는 물질의 상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 더보기 »

계층 문제

물리학에서 계층 문제(階層問題, hierarchy problem) 또는 자연스러움의 문제(naturalness problem)는 어떤 물리량이 자연스럽게 작은 것을 설명해야 하는 문제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계층 문제 · 더보기 »

광전 증폭관

광전 증폭관 (Photo Multiplier Tube: PMT) 는 빛을 측정하는 검출기의 한 종류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광전 증폭관 · 더보기 »

광학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光學異性質體, enantiomer)는 광학 활성을 갖는 두 분자가 거울 대칭인 관계를 이루는 경우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광학 이성질체 · 더보기 »

관측 가능한 우주

측 가능한 우주()는 현재 지구에서 관측될 수 있는 모든 물질로 이루어진, 우주 속의 구형 공간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관측 가능한 우주 · 더보기 »

불변 질량

상대성 이론에서, 물체의 불변 질량(不變質量, invariant mass) 또는 정지 질량(靜止質量, rest mass)은 그 사차원 운동량의 노름에 비례하는 값이며, 질량의 단위를.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불변 질량 · 더보기 »

분자

3차원 (왼쪽과 가운데), 2차원 (오른쪽)으로 나타낸 테르페노이드 분자. 분자(分子)는 두 개 이상의 비금속 원자가 화학결합에 의해 일정한 형태로 결합한 것 또는 독립된 입자로 행동한다고 볼 수 있는 원소 자체(He, Ne, Ar 등)를 의미.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분자 · 더보기 »

기본 입자

표준 모형의 기본 입자 물리학에서 기본 입자(基本粒子, elementary particle)는 다른 입자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를 말. 기본 입자와 그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과는 입자 물리학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기본 입자 · 더보기 »

기본 전하

본 전하(基本電荷)는 양성자 하나가 지니고 있는 전하이며, 또한 전자 하나가 지니고 있는 전하의 절댓값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기본 전하 · 더보기 »

블랙홀

궁수자리 A*의 모델로 제안된,O. Straub, F.H. Vincent, M.A. Abramowicz, E. Gourgoulhon, T. Paumard, ``Modelling the black hole silhouette in Sgr A* with ion tori'',Astron. Astroph 543 (2012) A8 전리물질의 토러스를 두르고 있으면서 회전하지 않는 블랙홀의 상상도. 토러스 양 옆의 비대칭성은 블랙홀의 매우 강력한 중력적 인력으로 공전속도가 무지막지하게 빨라져 도플러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블랙홀(black hole)은 강력한 밀도와 중력으로 인해 입자나 전자기 복사, 빛을 포함한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블랙홀 · 더보기 »

급팽창 이론

급팽창 이론(急膨脹理論)은 물리우주론에서 우주가 매우 평탄한 이유를 초기 우주의 기하급수적인 팽창으로 설명하는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급팽창 이론 · 더보기 »

글루볼

볼()은 양자 색역학이 예측하는 복합 입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글루볼 · 더보기 »

글루온

온(), 접착자(接着子), 또는 붙임알은 강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기본입자.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글루온 · 더보기 »

비등방성

비등방성(非等方性)(anisotropy)은 방향에 따라 물체의 물리적 성질이 다른 것을 말. 예를 들어, 솔질이 된 알루미늄, 섬유, 옷감, 근육 등의 표면은 들어오는 빛의 방향에 따라 반사율이 다른 광학적 비등방성을.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비등방성 · 더보기 »

비정질 고체

비정질(非晶質; Amorphous solid), 비결정성 고체(Noncrystalline solid) 또는 무정형 고체는 원자들의 위치에 장거리 질서가 존재하지 않는 고체를 뜻.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인 형태를 띠고 있. (비결정성 고체에 속하지 않는 고체를 결정질이라 한다.) 많은 수의 고체가 비결정성 고체인데, 가장 흔한 예로 유리를 들 수 있고, 폴리스틸렌 등의 중합체나, 솜사탕 같은 음식도 여기에 속.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비정질 고체 · 더보기 »

빅 프리즈

빅 프리즈란 우주 팽창으로인해 물체와 물체사이의 거리는 점점 멀어지고 결국은 절대온도0까지 식어버린다는 이론 입.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빅 프리즈 · 더보기 »

대폭발

은하들간의 거리도 부풀어 오르는 빵 속의 건포도처럼 멀어지고 있다. 위의 개념도는 평면 우주의 일부가 팽창하는 모습을 간략화한 그림이다. 대폭발(大爆發) 또는 빅뱅() 은 천문학 또는 물리학에서, 우주의 처음을 설명하는 우주론 모형으로,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작은 물질과 공간이 약 137억 년 전의 거대한 폭발을 통해 우주가 되었다고 보는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대폭발 · 더보기 »

대폭발 핵합성

폭발 핵합성(大爆發核合成) 또는 원시 핵합성(原始核合成)은 대폭발이라는 우주의 초기 탄생 과정 동안 수소-1 이외의 원자핵이 생성되던 과정을 일컫.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대폭발 핵합성 · 더보기 »

대통일 이론

양자장론에서, 대통일 이론(大統一理論, grand unified theory, GUT)은 표준 모형을 확장하여 강력과 전약력을 통합하는 여러 이론 중 하나를 일컫.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대통일 이론 · 더보기 »

대함몰

몰(大陷沒, 빅 크런치)은 물리우주론에서 우주의 시작인 대폭발(Big Bang)과 반대로 온 우주가 블랙홀의 특이점과 같이 한 점으로 축소되면서 종말한다는 가설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대함몰 · 더보기 »

국소성의 원리

국소성의 원리(principle of locality)란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있는 두 물체는 절대 서로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없다는 물리학 원리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국소성의 원리 · 더보기 »

난류 (역학)

유체 동역학(fluid dynamics)에서 난류(turbulent flow)는 유체 유동 중에서 무질서하고 비정상성을 가지는 경우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난류 (역학) · 더보기 »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미국의 대표적인 일간지로, 1851년에 창간되었.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뉴욕 타임스 · 더보기 »

스윙바이

스윙바이(Swingby) 란 우주 탐사선의 항법 중 하나로 (슬링샷 혹은 그래비티-어시스트 라고도 한다)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여 궤도를 조정하는 방법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스윙바이 · 더보기 »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FRS, 1942년 1월 8일 ~ 2018년 3월 14일)은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스티븐 호킹 · 더보기 »

우주 (계통)

스모스(cosmos)는 일반적으로, 우주를 질서 있는, 조화로운 시스템으로 간주하는 우주관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우주 (계통) · 더보기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문학에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宇宙micro波背景,, 약자 CMB)은 관측 가능한 우주를 균일하게 가득 채우고 있는 마이크로파 열복사.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 더보기 »

우주 검열 가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우주 검열 가설(宇宙檢閱假說)은 현실적인 시공간에서는 노출 특이점이 발생할 수 없다는 가설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우주 검열 가설 · 더보기 »

우주의 가속 팽창

우주의 가속팽창은 우주의 팽창이 시간에 따라 점차 가속되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우주의 가속 팽창 · 더보기 »

우주의 종말

우주의 종말(Ultimate fate of the universe)은 천체물리학에서, 우주의 마지막 단계에 대한 논의.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우주의 종말 · 더보기 »

우주상수

우주상수 (宇宙常數, cosmological constant, 기호 Λ)는 물리우주론에서, 진공의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는 기본 물리 상수.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우주상수 · 더보기 »

슈뢰딩거 방정식

에르빈 슈뢰딩거 슈뢰딩거 방정식(Schrödinger方程式)은 비상대론적 양자역학적 계의 시간에 따른 진화를 나타내는 선형 편미분 방정식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슈뢰딩거 방정식 · 더보기 »

자기 재결합

자기 재결합은 서로 다른 자기영역을 연결해주는 자기장내의 과정으로 원천으로부터의 연결된 패턴을 변화시.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자기 재결합 · 더보기 »

자기 홀극

항상 자석은 쪼개어질 경우 다른 N극과 S극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아무리 잘게 조게고 어떠한 조건을 달아도 양극은 항상 존재하게 된다. 그렇다면 한 극만을 지니는 입자 혹은 물질은 존재할 수 없는가? 이에 대한 논의는 곧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물리학의 논의로 파고들게 되고, 새로운 입자의 존재에 대해 예측하게끔 했다. 지금까지도 이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으며, 근 100년 전부터 이루어진 예측들은 자기 홀극의 존재의 필연성 혹은 수많은 예측들을 낳았다. 자기 홀극(磁氣홀極, magnetic monopole)은 홀극의 꼴의 자기장을 만드는 가상의 물질 또는 입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자기 홀극 · 더보기 »

재규격화

물리학에서, 재규격화(再規格化, renormalization) 혹은 되맞춤이란 이론에서 생기는 여러 값을 건드림이론에서 고차원적 수정을 고려하기 위해, 이론의 상수를 형식적으로 바꾸는 과정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재규격화 · 더보기 »

페르미-디랙 통계

통계역학에서, 페르미-디랙 통계(Fermi–Dirac statistics)는 열적 평형 상태에서 페르미 입자들이 보이는 통계적 분.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페르미-디랙 통계 · 더보기 »

페체이-퀸 이론

입자물리학에서, 페체이-퀸 이론(Peccei–Quinn theory) 이론은 강력 CP 문제를 설명하는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페체이-퀸 이론 · 더보기 »

펄서

서의 개념도. 중앙에 있는 구체는 중성자별을 뜻하며, 주변의 곡선은 자기장의 선을, 중성자별을 관통하고 있는 푸른 광선은 방출 빔을 의미한다. 가시광선 및 엑스선 영역으로 관측한 게성운을 합성한 사진. 주변 펄서풍 성운에서 자기장과 중심부 펄서에서 나오는 입자들로 인해, 싱크로트론 방출을 보여주고 있다. 맥동전파원(脈動電波源, 펄서)은 고도로 자기화된, 관측 가능한 전파의 형태로 전자기파의 광선을 뿜는, 자전하는 중성자별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펄서 · 더보기 »

힉스 메커니즘

양자장론에서, 힉스 메커니즘()은 게이지 이론의 게이지 대칭이 저절로 깨지면서 그 게이지 보손과 페르미온이 질량을 갖는 과정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힉스 메커니즘 · 더보기 »

힉스 보손

힉스 보손()은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이 제시하는 기본 입자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힉스 보손 · 더보기 »

큐비트

비트를 표현한 블로흐 구면 큐비트(qubit)는 양자 컴퓨터로 계산할 때의 기본 단위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큐비트 · 더보기 »

흡광

전자기파 흡광의 개요도. 흡광(吸收, absorption)은 물질이 빛을 흡수하는 현상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흡광 · 더보기 »

이론

이론(理論)이라는 낱말은 토론의 환경과 방법론에 따라, 다른 분야의 지식 속에서 수많은 구별된 뜻을.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이론 · 더보기 »

인류 원리

물리학에서, 인간 중심 원리(人間中心原理) 또는 인류 원리(人類原理)는 다중 우주가 존재한다면 우리는 그 중 지적 생명체의 존재를 허용하는 우주에 존재한다는 원리.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인류 원리 · 더보기 »

인과관계

인과관계(因果關係)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말. 인과(因果)인과율(因果律) 또는 인과성(因果性)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인과관계 · 더보기 »

인플라톤

우주론에서, 인플라톤(inflaton)은 초기 우주의 급팽창을 일으키는 가상의 스칼라장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인플라톤 · 더보기 »

일반 상대성이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대한 논문 원고 일반 상대성이론(一般相對性理論) 또는 일반상대론(一般相對論)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에 발표한, 중력을 상대론적으로 다루는 물리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일반 상대성이론 · 더보기 »

제트 (천문학)

제트()는 천문학에서 자주 보이는 현상으로, 밀집천체의 회전축을 따라 방출되는 물질의 흐름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제트 (천문학) · 더보기 »

전자볼트

전자볼트(기호 eV)는 에너지의 단위로, 전자 하나가 1 볼트의 전위를 거슬러 올라갈 때 드는 일로 정의.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전자볼트 · 더보기 »

전하 켤레 대칭

양자장론에서, 전하 켤레 대칭(charge conjugation symmetry) 또는 C-대칭(C-symmetry)은 입자를 같은 스핀을 가지는 반입자로 바꾸는 대칭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전하 켤레 대칭 · 더보기 »

중력

중력(重力)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중력 · 더보기 »

중력자

양자장론에서, 중력자(重力子) 혹은 중력알은 중력을 매개하는 가상의 입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중력자 · 더보기 »

중간자

중간자(中間子) 또는 메손(meson)은 하나의 쿼크와 하나의 반쿼크로 이루어진 하드론으로, 스핀이 0 또는 1인 보존(boson) 입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중간자 · 더보기 »

중입자

중입자(重粒子) 또는 바리온()은 세 개의 쿼크로 이루어진 강입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중입자 · 더보기 »

중입자 비대칭

물리학에서 중입자 비대칭(baryon asymmetry) 문제란, 관측 가능한 우주 내에서 중입자와 반-중입자의 갯수가 서로 다른 현상을 의미.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중입자 비대칭 · 더보기 »

중성미자

중성미자(中性微子, 뉴트리노)는 약력과 중력에만 반응하는, 아주 작은 질량을 가진 기본입자로, 스핀은 1/2인 페르미온과, 렙톤이며, 약한 아이소스핀이 -1/2으로 전하를 띠지 않. 1990년대 말까지 질량이 없다고 생각했으나, 1999년 슈퍼 카미오칸데 실험 이후 여러 실험을 통해 미세하지만, 질량이 있다고 밝혀졌다(중성미자 진동).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중성미자 · 더보기 »

중성자

중성자(中性子, neutron)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것 중 전하가 없는, 양성자보다 약간 무거운 핵자.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중성자 · 더보기 »

중성자별

WISE 데이터)도 보인다. 중성자별(中性子-)은 초신성 폭발 직후 무거운 별이 중력붕괴하여 만들어진 밀집성의 일종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중성자별 · 더보기 »

질량 간극

양자역학에서, 질량 간극(質量間隙, mass gap)은 바닥 상태의 에너지와 가장 낮은 들뜬 상태의 에너지의 차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질량 간극 · 더보기 »

진공

공(眞空)은 직관적으로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진공 · 더보기 »

초고에너지 우주선

입자물리학에서 초고에너지 우주선(ultra-high-energy cosmic ray, UHECR)은 운동 에너지가 1 × 1018 eV 이상으로 불변 질량이 평소의 일반적인 우주선보다 매우 높은 자유에너지를 가진 우주선을 뜻. 극초고에너지 우주선(extreme-energy cosmic ray, EECR)은 운동 에너지가 그레이젠-자체핀-쿠츠민 한계(GKZ 한계)를 넘어선 5 × 1019(8 J) eV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UHECR를 말. 이 한계는 대략 1억 6천만 광년 정도를 여행한, 먼 거리에서 온 우주선 입자가 가진 최대 에너지 한계로 고에너지 우주선 입자가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광자의 산란으로 오는 동안 최소한의 에너지를 잃고 남은 에너지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초고에너지 우주선 · 더보기 »

초대질량 블랙홀

의 질량의 수 배 정도 되는 가스 구름이 우리 은하의 중심부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 쪽으로 가속되고 있다. '''위''': 별을 찢고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의 컨셉 아트. '''아래''': 은하 RX J1242-11에서 별을 먹고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을 보여주는 사진. '''왼쪽''': X-선 사진, '''오른쪽''': 광학 사진.http://chandra.harvard.edu/photo/2004/rxj1242/ Chandra:: Photo Album:: RX J1242-11:: 18 Feb 04 초대질량 블랙홀()은 질량이 태양 질량의 수십만 배에서 수십억 배에 이르는 가장 큰 유형의 블랙홀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초대질량 블랙홀 · 더보기 »

초대칭

칭(超對稱,, 약자 SUSY)은 보손과 페르미온 기본 입자를 연관짓는 대칭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초대칭 · 더보기 »

초대칭짝

칭짝은 입자와 초대칭에 따라 대응되는 입자를 가리.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초대칭짝 · 더보기 »

초전도 현상

섬네일 초전도 현상(超傳導現象)은 어떤 물질이 전기 저항이 0이 되고 내부 자기장을 밀쳐내는 등의 성질을 보이는 현상으로, 대체로 그 물질의 온도가 영하 240˚C 이하로 매우 낮거나 구리나 은과 같은 도체의 경우에는, 불순물이나 다른 결함으로 인해 저항이 어느 값 이상으로 감소하지 않는 한계가 있. 절대영도 근처에서도 실제 구리 시료의 저항은 0이 아닌 값을.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초전도 현상 · 더보기 »

초신성

잔해 초신성(超新星, supernova)은 신성(nova)보다 에너지가 큰 항성 폭발을 의미.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초신성 · 더보기 »

카이퍼 대

왕성과 명왕성 궤도를 둘러싸고 있는 카이퍼 대. 카이퍼 대(Kuiper Belt) 또는 에지워스 카이퍼 대(Edgeworth-Kuiper belt)는 태양계의 해왕성 궤도(태양으로부터 약 30 AU)보다 바깥쪽의 황도면 부근에 있는, 천체가 밀집한, 구멍이 뚫린 원반형의 영역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카이퍼 대 · 더보기 »

켈빈

빈(kelvin)은 온도의 국제 단위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켈빈 · 더보기 »

콤팩트 공간

수학에서, 콤팩트 공간()은 대략 경계 없이 무한히 뻗어나가지 않는 공간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콤팩트 공간 · 더보기 »

코페르니쿠스 원리

르니쿠스 원리(Copernican principle)란 "지구는 특별하지 않다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는 것으로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의 이름을 딴 것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코페르니쿠스 원리 · 더보기 »

쿼크

(quark)는 경입자와 더불어 물질을 이루는 가장 근본적인 입자.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쿼크 · 더보기 »

유리 전이

유리 전이(琉璃轉移, glass transition)는 액체 따위를 냉각할 때, 그 물질 고유의 온도영역에서 고무 같은 상태로 빠르게 굳어버리는 현상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유리 전이 · 더보기 »

유전자 발현

은 고양이 생물의 표현형질은 유전자 발현의 결과이다. 유전자 발현(遺傳子發現, 영어: gene expression)은 DNA를 구성하는 유전 정보, 즉 유전자에 의해 생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단백질이 형성되는 과정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유전자 발현 · 더보기 »

유카와 상호작용

입자 물리학에서, 유카와 상호작용(Yukawa 相互作用)은 유카와 히데키가 고안한, 스칼라 입자와 디랙 입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유카와 상호작용 · 더보기 »

율리시스 (우주선)

PAM-S와 IUS 상단부에 탑재된 율리시스 RTG 발사 후의 율리시스의 상상도 STS-41 미션으로 발사된 후의 율리시스 율리시스의 궤도 율리시스()는 태양을 탐사하기 위해 설계된 무인 탐사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율리시스 (우주선) · 더보기 »

상 (물리학)

물리학에서 상(相, phase)은 일정한 물리적 성질을 가지는 균일한 물질계를 말. 물질의 상태 가운데 고체, 액체, 기체가 대표적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상 (물리학) · 더보기 »

생화학

생화학(生化學)은 생물체의 구성 성분, 생물체 내에서의 생리 작용(生理作用, physiological function)을 화학적으로 분석하여 해명하고 생명현상을 화학적으로 연구하는 화학의 한 분야를 말. 생물화학이라고도 하지만 보통 줄여서 생화학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생화학 · 더보기 »

색가둠

물리학에서, 가둠()이란 어떤 게이지 이론의 모든 유한한 에너지 상태가 게이지 불변인 성질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색가둠 · 더보기 »

수소

수소(水素)는 주기율표의 가장 첫 번째(1족 1주기) 화학 원소로, 원소 기호는 H(←)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수소 · 더보기 »

영점 에너지

영점 에너지(), 또는 양자 진공 영점 에너지()는 양자역학계가 가질 수 있는 가장 낮은 에너지로, 그 계의 바닥 상태의 에너지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영점 에너지 · 더보기 »

오마이갓 입자

오마이갓 입자()는 1991년 10월 15일 저녁 미국 유타주 더그웨이 성능 시험소에서 관측된 대부분 양성자로 구성된 초고에너지 우주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오마이갓 입자 · 더보기 »

호킹 복사

물리학에서, 호킹 복사(Hawking輻射) 또는 베켄슈타인-호킹 복사(Bekenstein-Hawking radiation)는 양자역학적 효과로 인해 블랙홀이 방출하는 열복사.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호킹 복사 · 더보기 »

현재

현재(現在)는 직접 느낄 수 있는 지금의 시간을 이르는 말로, 지나간 과거, 앞으로 다가오게 될 미래와 함께 일상에서 쓰인.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현재 · 더보기 »

현상 (철학)

현상(現象Phenomenon)은 실제로 드러나 있는 것, 볼 수도 있고 느낄 수도 있는 것을 말. 자연.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현상 (철학) · 더보기 »

양-밀스 이론

양-밀스 이론()은 리 군 SU(n)을 기반으로 하는 게이지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양-밀스 이론 · 더보기 »

양자 튜링 기계

양자 튜링 기계 (quantum Turing machine, QTM)는 양자 컴퓨터의 효과를 모델링 하기 위한 추상적 기계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양자 튜링 기계 · 더보기 »

양자 중력

양자중력(量子重力, quantum gravity) 이론은 중력을 양자론적으로 기술하는 물리학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양자 중력 · 더보기 »

양자 컴퓨터

양자 컴퓨터의 기초가 되는 큐비트를 그림으로 나타내기 위한 블로흐 구 모형 양자 컴퓨팅(量子 -, quantum computing) 또는 양자 컴퓨터(quantum computer)는 얽힘(entanglement)이나 중첩(superposition) 같은 양자역학적인 현상을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는 계산 기계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양자 컴퓨터 · 더보기 »

양자 색역학

양자 색역학(量子色力學,, 약자 QCD)은 강력을 설명하는 게이지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양자 색역학 · 더보기 »

양자 얽힘

양자역학에서, 양자 얽힘 (quantum entanglement) 또는 간단히 얽힘은 두 부분계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일련의 비고전적인 상관관계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양자 얽힘 · 더보기 »

양자 홀 효과

양자 홀 효과(quantum Hall effect)는 고전적 홀 효과와 유사한데, 이때 홀 전도율이 양자화하는 효과를 말. 이 때, 전도율은 다음과 같이 양자화.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양자 홀 효과 · 더보기 »

양자장론

물리학에서, 양자장론(量子場論) 혹은 양자 마당 이론은 장을 기술하는 양자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양자장론 · 더보기 »

양자역학

양자역학(量子力學)은 분자, 원자, 전자, 소립자와 미시적인 계의 현상을 다루는 즉, 작은 크기를 갖는 계의 현상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양자역학 · 더보기 »

양자역학의 해석

양자역학은 직관적으로 이해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이해시키기 위한 다양한 해석이 등장하였.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양자역학의 해석 · 더보기 »

양성자

양성자(陽性子, proton)는 +1e의 전하를 가지는 원자의 구성입자로 중성자와 함께 원자핵을 이루며, 이 둘을 “핵자”라고도 부른.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양성자 · 더보기 »

양성자 붕괴

X보손을 통해 업쿼크와 반업쿼크, 양전자로 이루어진 파이 중간자로 붕괴된다. 입자물리학에서, 양성자 붕괴는 양성자가 파이온, 양전자와 같은 아원자 입자로 핵붕괴한다는 가설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양성자 붕괴 · 더보기 »

양성자 스핀 위기

양성자 스핀 위기 또는 양성자 스핀 문제는 1987년 양성자 스핀 구성을 알아내려는 실험으로 처음 제기된 이론적 위기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양성자 스핀 위기 · 더보기 »

에딩턴 한계

에딩턴 한계()라고도 표현되는 에딩턴 광도()는 (항성 같은)물체가 외부로 작용하는 복사력과 안쪽으로 작용하는 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 있을 때 도달할 수 있는 최대 광도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에딩턴 한계 · 더보기 »

여차원

수학에서, 여차원(餘次元)은 전체 공간의 차원과 부분공간의 차원의 차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여차원 · 더보기 »

열역학 제2법칙

물리학에서 열역학 제2법칙(second law of thermodynamics)은 열적으로 고립된 계의 총 엔트로피가 감소하지 않는다는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열역학 제2법칙 · 더보기 »

엔트로피

얼음이 녹으면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엔트로피()는 열역학적 계의 유용하지 않은 (일로 변환할 수 없는) 에너지의 흐름을 설명할 때 이용되는 상태 함수.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엔트로피 · 더보기 »

표준 모형

소립자 물리학의 표준 모형(標準模型)은 자연계의 기본 입자와, 중력을 제외한 그 상호작용 (강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 전자기 상호작용)을 다루는 게이지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표준 모형 · 더보기 »

삼체 문제

삼체 문제(三體問題, three-body problem)는 세 개의 물체간의 상호작용과 움직임을 다루는 고전역학 문제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삼체 문제 · 더보기 »

플랑크 길이

랑크 길이(Planck length, l_p) 플랑크 단위로 알려진 기본 단위 중 하나로,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공간이 더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는 크기를 말.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플랑크 길이는 플랑크 질량을 갖는 블랙홀의 슈바르츠실트 반지름과 비슷.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플랑크 길이 · 더보기 »

플라스마

플라스마 램프(Plasma Lamp) 안에서 만들어지는 플라스마. 플라스마()는 물리학이나 화학 분야에서 디바이 차폐(Debye sheath)를 만족하는 이온화된 기체를 말. 자유 전하로 인해 플라스마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며, 전자기장에 대한 매우 큰 반응성을 갖.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의 99%가 플라스마로 이루어져 있. 물리적으로, 플라스마는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전하를 띤 입자들의 집합체로, 외부 전자기장에 집합적으로 반응.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플라스마 · 더보기 »

세대 (물리학)

입자물리학에서, 세대(世代, generation)란 기본 페르미온을 대략 질량에 따라 세 갈래로 묶은 범주.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세대 (물리학) · 더보기 »

털없음 정리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털없음 정리(-定理) 또는 무모 정리(無毛定理)란 블랙홀의 모든 특성은 질량, 전하, 각운동량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털없음 정리 · 더보기 »

토카막

막의 내부. 토카막(tokamak)은 플라즈마를 가두기 위해 자기장을 이용하는 도넛형 장치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토카막 · 더보기 »

토성

성(土星,라틴어: Saturnus)은 태양으로부터 여섯 번째에 있는 태양계의 행성으로, 진성(鎭星)으로도 불. 토성은 태양계 내의 행성 중 목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크며, 지름은 약 12만 킬로미터로, 지구의 9.1배이며 부피는 760배에.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토성 · 더보기 »

액정

thumb 액정(液晶, liquid crystal, LCs)은 전통적인 액체와 고체 결정 사이의 특성을 지니는 물질의 상태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액정 · 더보기 »

액시온

입자물리학에서, 액시온(axion)은 양자 색역학의 강한 상호작용의 CP 문제(strong-CP problem)를 해결하기 위해 페체이 퀸 이론이 1977년 도입한 대칭성과 관련되는 가상의 스칼라 보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액시온 · 더보기 »

항성

이다. 항성(恒星) 또는 붙박이별은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전리된 기체)가 중력으로 뭉쳐서 밝게 빛나는 구(球)형 천체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항성 · 더보기 »

핵력

중성 파이온에 의해 매개되는 강한 양성자-중성자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파인만 도표. 시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 개별적인 쿼크 입자들로 그린 같은 도표. 여기서는 근원적인 강한 상호작용이 어떻게 '''핵력'''을 만들어내는지 알 수 있다. 직선은 쿼크를 나타내고 색색의 고리는 글루온을 나타낸다. 양성자, 중성자, 파이온에 결합되어 있는 글루온들은 표시되지 않았다. 핵력(핵자-핵자 상호작용 혹은 잔류 강한 핵력이라고도 부름)은 두 개 이상의 핵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으로, 양성자와 중성자가 결합하여 원자핵을 형성하는 근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핵력 · 더보기 »

핵자

핵자(核子, nucleon) 혹은 핵알은 원자핵을 구성하고 있는 양성자와 중성자 등을 총칭하여 부르는 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핵자 · 더보기 »

핵융합 발전

른 항성처럼 태양은 자연 핵융합로이다. 핵융합 발전(nuclear fusion power generation)은 핵융합 반응 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말. 그리고 여기에 사용되는 원자로를 '핵융합로(nuclear fusion reactor)'.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핵융합 발전 · 더보기 »

암흑 에너지

암흑 에너지(暗黑energy)는 우주에 널리 퍼져 있으며 척력(밀어내는 힘이다)으로 작용해 우주를 가속 팽창 시키는 역할을.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암흑 에너지 · 더보기 »

암흑류

암흑류(Dark flow)는 은하단의 특이운동 중 랜덤하지 않은 요소를 설명할 수 있는 천체물리학의 용어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암흑류 · 더보기 »

암흑물질

우주의 구성 물질들의 비율 그래프. 회색의 22%를 차지하는 부분이 암흑물질 암흑물질(暗黑物質)은 우주에 널리 분포하는 물질로써, 전자기파 즉 빛과 상호작용하지 않으면서 질량을 가지는 물질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암흑물질 · 더보기 »

신호 대 잡음비

신호 대 잡음비(SNR)는 다음과 같이 정의.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신호 대 잡음비 · 더보기 »

실험

실험(實驗)은 가설이나 이론이 실제로 들어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조건 아래에서 여러가지 측정을 실시하는 일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실험 · 더보기 »

시뮬레이션

시뮬레이션()은 실제로 실행하기 어려운 실험을 간단히 행하는 모의실험을 뜻. 특히 컴퓨터를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할 때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시뮬레이션 · 더보기 »

시간 여행

시간 여행(時間旅行)은 일반적으로 시간을 넘나드는 것을 뜻. 이것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관계가 있. 다시 말해서, 시간여행도 상대적인 면이 매우.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시간 여행 · 더보기 »

시공간

시공간(時空間, spacetime) 혹은 시공(時空)이란 3차원 공간과 1차원 시간을 하나의 구조로 묶은 4차원 모델로, 상대성이론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개념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시공간 · 더보기 »

원자핵

헬륨 원자의 원자핵 원자핵(原子核, atomic nucleus)은 원자 중심의 핵자(양성자와 중성자)와 중간자로 이루어진 작고 밀도가 높은 부분을 말. 지름은 (수소의 양성자 핵 크기인) 1.6 fm(10-15 m)에서 (우라늄 등의 무거운 핵의) 15 fm 정도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원자핵 · 더보기 »

퀀텀닷

자외선으로 비춘 콜로이드성 퀀텀닷. 서로 다른 크기의 퀀텀닷이 퀀텀 제한으로 인해 다른 색의 빛을 발산한다. 퀀텀닷(quantum dot, QD)은 양자점(量子點)이라고 하며, 크기가 수 나노미터(nm) 크기에 불과한 초미세 반도체 입자를 말. 밝은 부분은 더 밝게, 어두운 부분은 더 세밀하고 정교하게 표현.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퀀텀닷 · 더보기 »

활동은하핵

제트의 모습. 활동은하핵(活動銀河核, active galactic nucleus; AGN)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일부, 또는 모든 대역에서 보통 이상의 광도를 내는 은하의 중심에 존재하는 컴팩트한 영역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활동은하핵 · 더보기 »

확률 과정

확률 과정(stochastic process)은 시간의 진행에 대해 확률적인 변화를 가지는 구조를 의미.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확률 과정 · 더보기 »

M-시그마 관계

적 증가을 통해 명확하게 측정된 것이다. ''M–σ'' 관계는 청색으로 보인다. M-시그마 관계 또는 M-σ 관계는 은하 팽대부의 항성속도분산 σ와 그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의 질량 M 사이의 경험적인 관계이.

새로운!!: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와 M-시그마 관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물리학의 미해결 과제,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천문학의 미해결 문제, 천문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