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보충수업

색인 보충수업

보충수업은 대한민국 초·중등 교육법에 의거한 교과 및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정규 수업 외에 별도로 시간과 과목을 정하여 프로그램을 짜고 이를 학교 건물 안에서 운영하는 것을 말. 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

19 처지: 방과후학교, 방학, 대한민국,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교과목,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 제도, 대한민국의 중학교, 대한민국의 초등학교, 대학수학능력시험, 교육과정, 교육기본법, 교사, 자율학습, 수학, 영어, 학교, 학습, 학원.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는 기존 특기적성교육, 방과후 교실, 수준별 보충학습 등으로 사용된 각각의 명칭과 프로그램을 통합한 교육체제로 방과후 교육프로그램을 확대 개방하여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시간에 다양한 형태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육체제를 말. 방과후학교의 도입은 획일화된 정규교과 위주의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21세기를 이끌어갈 인재양성과 학생들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계발 및 사교육비 경감,교육복지증진은 물론 사회양극화 심화에 따른 교육양극화 해소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

새로운!!: 보충수업와 방과후학교 · 더보기 »

방학

방학(放學)은 '학업을 쉰다'라는 의미로 학교에서 학기가 끝난 뒤에 수업을 한 동안 쉬는 일이나 그 날들을 가리.

새로운!!: 보충수업와 방학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보충수업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육과학기술부(敎育科學技術部,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약칭:MEST, 교과부)는 인적 자원 개발 정책의 수립·총괄·조정, 학교 교육·평생 교육 및 학술, 과학 기술 혁신 정책의 수립·총괄·조정·평가, 원자력 및 과학 기술 협력 그 밖의 과학 기술 진흥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

새로운!!: 보충수업와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민국의 고등학교(高等學校)는 대한민국의 교육 과정에서 중학교와 함께 중등교육과정의 하나를 이. 고등학교 과정은 총 3년으로 이루어지며, 중학교 교육을 기초로 하여, 입시에 필요한 중등 교육 및 취업에 필요한 실업 교육을 배우는 학교이.

새로운!!: 보충수업와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교과목

민국의 고등학교 교과목은 대한민국의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과목이.

새로운!!: 보충수업와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교과목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 제도

현재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 제도는 대한민국에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혹은 그에 상응하는 학력을 가진 자가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시험을 치르는 제도로서 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학교생활기록부 상의 성적과 기타 요소를 반영하고 있.

새로운!!: 보충수업와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 제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중학교

민국의 중학교(中學校)는 대한민국의 교육 과정에서 고등학교와 함께 중등교육과정의 하나를 이. 중학교 과정은 총 3년으로 이루어지며, 초등학교에서 받은 교육을 기반으로 더욱 심층적인 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초등학교를 졸업한 자나 법령에 의해 동일한 학력이 인정되는 자지를 대상으.

새로운!!: 보충수업와 대한민국의 중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초등학교

민국의 초등학교(初等學校) 교육은 3월 1일에 시작하여 이듬 해 2월 말일에 끝. 다만, 3월 1일이 삼일절로 공휴일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그 후 첫번째 평일에 입학식과 함께 교육 과정이 시작.

새로운!!: 보충수업와 대한민국의 초등학교 · 더보기 »

대학수학능력시험

thumb thumb thumb 대학수학능력시험(大學修學能力試驗,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은 1994학년도부터 대한민국의 대학 입학 평가에 도입된 시험이.

새로운!!: 보충수업와 대학수학능력시험 · 더보기 »

교육과정

육과정(敎育課程) 또는 커리큘럼(curriculum)은 일정한 교육의 목적에 맞추고, 교육 내용과 정해진 수업의 교육 및 학습을 종합적으로 계획한 것을 말. 보통 학생의 경우 초등학교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학년마다 학습 상황을 시간표로 정리해 두는데 이것도 교육과정의 일부라고 할 수 있. 교육과정은 단지 교육과정의 분야에 한정하지 않고 보다 넓은 의미로 교육의 목적과 교육 내용, 교수 활동 및 자세까지 확장하여 말할 수 있으며 교육 접근 자세 자체도 커리큘럼으로 파악할 수 있. 이러한 것이 20세기 중반부터 활발하게 언급되고 있.

새로운!!: 보충수업와 교육과정 · 더보기 »

교육기본법

민국의 교육기본법은 1997년 12월 13일 제정된 교육 및 교육제도에 관한 기본적 사항을 정한 법률이.

새로운!!: 보충수업와 교육기본법 · 더보기 »

교사

유치원생들을 수업 중인 교사 교사(敎師)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으로, 일반적으로 국가에서 정한 법령에 따라 자격증을 갖추고 학생에게 국가에서 지정한 과목, 종목의 교육 이수의 과정에서 이끌어주거나 도움을 주거나 설명을 하는 사람을 말. 좁게는 교육공무원으로 임용된 자 또는 교사자격증(교원자격증2급)을 소지한 자, 국공립학교의 교원과 사립학교의 교원을 부르며 넓게는 이들을 비롯하여 대학교와 전문대학 그리고 대학교원의 교수(敎授) 등을.

새로운!!: 보충수업와 교사 · 더보기 »

자율학습

자율학습(自律學習)은 중국, 대한민국, 독일 등 등지의 일부 중학교와 대다수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정규 수업 외의 자율학습이.

새로운!!: 보충수업와 자율학습 · 더보기 »

수학

수학(數學)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보충수업와 수학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보충수업와 영어 · 더보기 »

학교

학교(學校) 또는 배움터는 교육을 위한 장소이.

새로운!!: 보충수업와 학교 · 더보기 »

학습

미래의 학교. (1901년 또는 1910년) 학습(學習) 또는 배움은 본능적인 변화인 성숙과는 달리, 직간접적 경험이나 훈련에 의해 지속적으로 지각하고, 인지하며, 변화시키는 행동 변화이.

새로운!!: 보충수업와 학습 · 더보기 »

학원

학원(學院)은 대한민국의 사설 교육 기관이.

새로운!!: 보충수업와 학원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