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봉성군

색인 봉성군

봉성군(鳳城君, 1528년 ~ 1547년 음력 윤9월)은 조선의 왕족이.

63 처지: 덕흥대원군, 동래 정씨, 문정왕후 (조선), 강남구, 강원도, 경명군, 경기도, 경상북도, 본관, 계성군, 관찰사, 금원군, 남양 홍씨, 남양주시, 울진군, 장경왕후 (조선), 평창군, 희빈 홍씨, 이 (성씨), 이름, 이기 (1476년), 이황, 인순왕후, 음력 9월, 을사사화, 전주 이씨, 정국공신, 정현왕후, 정언각, 조광조, 조선, 조선 명종, 조선 인종, 조선 중종, 조선 영조, 조선 선조, 조선 성종, 조선왕조실록, 진건읍, 차자 표기법, 청송 심씨, 칠곡군, 육조, 윤임, 윤인경, 윤여필, 윤원로, 윤원형, 영의정, 역삼동, ..., 사림파, 성씨, 서울특별시, 한강, 심충겸, 심열, 시호, 후궁, 홍문관, 홍경주, 1528년, 1547년, 1576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3 더) »

덕흥대원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년 4월 2일 ~ 1559년 6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이며 조선 최초의 대원군이.

새로운!!: 봉성군와 덕흥대원군 · 더보기 »

동래 정씨

동래 정씨(東萊 鄭氏)는 부산광역시 동래구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새로운!!: 봉성군와 동래 정씨 · 더보기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새로운!!: 봉성군와 문정왕후 (조선) · 더보기 »

강남구

강남구(江南區)는 서울특별시의 남동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봉성군와 강남구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봉성군와 강원도 · 더보기 »

경명군

경명군 이침(景明君 李忱, 1489년 ~ 1526년)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9대 왕 성종의 서9남이며 시호는 정민(貞敏)이며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봉성군와 경명군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봉성군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봉성군와 경상북도 · 더보기 »

본관

본관(本貫)은 시조(始祖)의 관향, 곧 고향을 뜻하며, 본적(本籍), 본(本), 관향(貫鄕)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봉성군와 본관 · 더보기 »

계성군

성군(桂城君, 1478년 ∼ 1504년)은 조선의 왕족이자 성종의 서자로, 숙의 하씨 소생이.

새로운!!: 봉성군와 계성군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봉성군와 관찰사 · 더보기 »

금원군

원군(錦原君, 1513년 음력 6월 9일 ~ 1562년 음력 4월 7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봉성군와 금원군 · 더보기 »

남양 홍씨

양 홍씨(南陽 洪氏)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봉성군와 남양 홍씨 · 더보기 »

남양주시

양주시청 1청사(구 미금시청) 남양주시(南楊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봉성군와 남양주시 · 더보기 »

울진군

울진군(蔚珍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해안 최북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봉성군와 울진군 · 더보기 »

장경왕후 (조선)

장경왕후 윤씨(章敬王后 尹氏, 1491년 8월 10일(음력 7월 6일) ~ 1515년 3월 16일(음력 3월 2일))는 조선 중종의 계비이.

새로운!!: 봉성군와 장경왕후 (조선) · 더보기 »

평창군

평창군(平昌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중남부의 군이.

새로운!!: 봉성군와 평창군 · 더보기 »

희빈 홍씨

희빈 홍씨(熙嬪 洪氏, 1494년 ~ 1581년)는 중종의 후궁으로, 본관은 남양이.

새로운!!: 봉성군와 희빈 홍씨 · 더보기 »

이 (성씨)

외 이(李, 異, 伊)씨는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봉성군와 이 (성씨) · 더보기 »

이름

왕족 이름을 뜻한다. 이름은 "이르다"의 명사형으로, 물건, 사람, 장소, 생각, 개념 등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부르는 말이.

새로운!!: 봉성군와 이름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봉성군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봉성군와 이황 · 더보기 »

인순왕후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 沈氏, 1532년 6월 27일/음력 5월 25일 ~ 1575년 2월 12일/음력 1월 2일)는 조선의 제13대 국왕인 명종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봉성군와 인순왕후 · 더보기 »

음력 9월

음력 9월(陰曆九月)은 음력에서 아홉 번째 달이.

새로운!!: 봉성군와 음력 9월 · 더보기 »

을사사화

을사사화(乙巳士禍)는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소윤(小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

새로운!!: 봉성군와 을사사화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봉성군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정국공신

정국공신(靖國功臣)은 조선 중종 때인 1506년 중종 반정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봉성군와 정국공신 · 더보기 »

정현왕후

정현왕후 윤씨(貞顯王后 尹氏, 1462년 7월 21일 (음력 6월 25일)~1530년 9월 13일 (음력 8월 22일)는 조선 성종(成宗)의 둘째계비이다. 시호는 자순화혜소의흠숙정현왕후(慈順和惠昭懿欽淑貞顯王后)이다. 자순대비(慈順大妃)로도 잘 알려져 있다. 영원부원군 평정공 윤호(鈴原府院君 平靖公 尹壕)와 연안부부인 전씨(延安府夫人 田氏)의 딸로,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중종반정 시 중종을 왕으로 세우는 것을 승낙한 인물로 유명하다. 능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선정릉 내에 위치한 선릉(宣陵)으로, 남편 성종과 동원이강의 형태로 같이 묻혀 있다.

새로운!!: 봉성군와 정현왕후 · 더보기 »

정언각

정언각(鄭彦慤, 1498년 ∼ 1556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봉성군와 정언각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봉성군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봉성군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봉성군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인종

인종(仁宗, 1515년 3월 10일 (음력 2월 25일) ~ 1545년 8월 7일(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2대 임금(재위 1544년 ~ 1545년)이.

새로운!!: 봉성군와 조선 인종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봉성군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봉성군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봉성군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봉성군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봉성군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진건읍

읍(眞乾邑)은 경기도 남양주시의 중서부에 위치한 읍이.

새로운!!: 봉성군와 진건읍 · 더보기 »

차자 표기법

자 표기법(借字表記法)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기록하던 표기법을 말. 한자차용표기법이.

새로운!!: 봉성군와 차자 표기법 · 더보기 »

청송 심씨

청송 심씨(靑松 沈氏)는 경상북도 청송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봉성군와 청송 심씨 · 더보기 »

칠곡군

곡군(漆谷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서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봉성군와 칠곡군 · 더보기 »

육조

육조(六曹)는 고려와 조선에서 행정을 각각 분담하여 집행하였던 여섯 개의 중앙 관서를 가리.

새로운!!: 봉성군와 육조 · 더보기 »

윤임

윤임(尹任, 1487년 ~ 1545년 8월 30일)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인척.

새로운!!: 봉성군와 윤임 · 더보기 »

윤인경

윤인경(尹仁鏡, 1476년 ~ 154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봉성군와 윤인경 · 더보기 »

윤여필

윤여필(尹汝弼, 1466년 ~ 1555년)은 조선 중기의 외척으로 중종의 두 번째 비 장경왕후와 윤임의 아버지이며 인종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봉성군와 윤여필 · 더보기 »

윤원로

윤원로(尹元老, ? ~ 1547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척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

새로운!!: 봉성군와 윤원로 · 더보기 »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새로운!!: 봉성군와 윤원형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봉성군와 영의정 · 더보기 »

역삼동

역삼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봉성군와 역삼동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봉성군와 사림파 · 더보기 »

성씨

성씨(姓氏)는 성(姓)과 씨(氏)의 합성어로, 고대 중국 이후에 성과 씨의 개념이 합쳐져 만들어졌.

새로운!!: 봉성군와 성씨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봉성군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한강

강(漢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중부를 동에서 서로 관통해 경기도 김포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의 경계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의 주요 하천이.

새로운!!: 봉성군와 한강 · 더보기 »

심충겸

심충겸(沈忠謙, 1545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인순왕후의 동생이.

새로운!!: 봉성군와 심충겸 · 더보기 »

심열

심열(沈悅, 1569년 ~ 164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봉성군와 심열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봉성군와 시호 · 더보기 »

후궁

후궁(後宮)은 제왕(帝王)의 측실(側室.

새로운!!: 봉성군와 후궁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봉성군와 홍문관 · 더보기 »

홍경주

홍경주(洪景舟, ? ~ 1521년 6월 20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제옹(濟翁), 본관은 남양(南陽)이.

새로운!!: 봉성군와 홍경주 · 더보기 »

15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봉성군와 1528년 · 더보기 »

15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봉성군와 1547년 · 더보기 »

15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봉성군와 1576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