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석가모니

색인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Śākyamuni, 기원전 624년? ~ 544년? 생몰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설이 있지만,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이것(기원전 624년? ~ 544년)을 공식 채택하였다. 그 외 기원전 563년 ~ 483년, 기원전 565년 ~ 485년, 기원전 463년 ~ 383년설이 있다.)는 불교의 교조이.

117 처지: 데즈카 오사무, 도 (철학), 동남아시아, 룸비니, 맹자, 마가다, 마야부인, , 목욕, 무지개, 미륵보살, 밤 (시간), 백마, 가족, 경제, 번뇌, 법 (불교), 법륜, 고 (불교), 고통, 보리수 (식물), 보름달, 과두제, 공자, 공주, 공양, 공화제, 궁전, 불멸기원, 불교, 불교 용어 목록/삼, 붓다 (만화), 분만, 부다가야, 부처, 부처님 오신 날, 그리스도, 귀족, 기원전 383년, 기원전 463년, 기원전 483년, 기원전 485년, 기원전 544년, 기원전 6세기, 기원전 7세기, 브라만 (철학), 비구, , , 구름, ..., 구경각, 나라, 나이, 나후라, 네팔, 노인, 단식, 스리랑카, 우울, 승가, 슈도다나, 요가, 히말라야산맥, 임신, 이질, 인도, 음력 12월 8일, 음력 2월 15일, 음력 4월 8일, 정치, , 중도 (불교), 질병, 진리, 출가, 칠부중, 코끼리, 코살라, 쿠시나가르, 유엔, 윤회, 팔정도, 상좌부 불교, 샤카족, , 탑파, 수도, 예수, 연기 (불교), 열반, 사람, 사르나트, 사리, 사회, 사찰, 사성제, 삼법인, 삼고, 성지, 세계불교도대회, 세계불교도우의회, 소리,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해탈, 안거, 하늘, 아들, 식중독, 십호, 황태자, , 왕비, 왕자, 1950년, 1956년, 1972년, 1983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7 더) »

데즈카 오사무

오사무(1928년 11월 3일~1989년 2월 9일)는 일본의 만화가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데즈카 오사무 · 더보기 »

도 (철학)

: 道 (칸지) () 의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또는 '깊이 깨우친 이치'인데, 유가와 도가 등의 동양 종교사상의 전통에서 도(道)는 우주의 궁극적인 실재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 즉, 도(道)란 천지만물에 선행해서 존재한 것으로, 천지만물을 창조해 내는 근원이며, 우주를 지배하는 대조화의 이법(理法) 즉 진리(眞理)인 것으로 본.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도 교 > 도 교 > 사상·제신 > 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도: 道 중국 종교사상의 전통에 있어서 우주의 궁극적인 실재로 생각되어 온 것. 천지만물에 선행해서 존재한 것으로, 천지만물을 창조해 내는 근원이며, 우주를 지배하는 대조화(大調和)의 이법(理法)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도 (철학) · 더보기 »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東南-, 월남어:Dông Nam Á(東南亞)는 아시아의 세부지역 중 하나이다. 판의 경계에 있으며(일본 포함)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 동남아시아는 지리적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새로운!!: 석가모니와 동남아시아 · 더보기 »

룸비니

비니 룸비니()는 뒤에 석가모니가 된 샤카 왕자인 싯다르타 고타마가 태어난 신성한 곳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룸비니 · 더보기 »

맹자

맹자(기원전 372년?~기원전 289년?)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 발전시킨 유학자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맹자 · 더보기 »

마가다

원전 600년경의 마가다 왕국: 영토 확대 전의 상태 기원전 5세기의 마가다 왕국의 대략적인 판도 마가다(摩揭陀, Magadha kingdom, Magadha state) 또는 마갈타(摩竭陀)는 고대 인도의 왕국으로 십육대국 중의 하나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마가다 · 더보기 »

마야부인

벽에 조각해놓은 마야부인의 하얀 코끼리 꿈 마야 부인(摩耶夫人)은 불교의 창시자 싯다르타 고타마의 어머니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마야부인 · 더보기 »

멸(滅)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불이) 꺼지다, (불을) 끄다, 멸망하다, 없어지다, 죽다, 다하다' 등인데, 불교 용어로서의 멸(滅)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석가모니와 멸 · 더보기 »

목욕

목욕하는 여자 목욕하는 여자 목욕하는 2명의 어린이. 목욕(沐浴)이란 무언가로 몸을 씻는 행위를 말. 특히 물로 씻. 청결하게 하려거나 치료를 하기 위해 목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종교적으.

새로운!!: 석가모니와 목욕 · 더보기 »

무지개

쌍무지개미국, 알래스카 무지개 색의 도식화 무지개()는 하늘에 보이는 호(弧)를 이루는 색 띠를 말. 색 경계가 분명하지 않아 각 문화권마다 색의 개수가 다르게 인식.

새로운!!: 석가모니와 무지개 · 더보기 »

미륵보살

미륵보살(彌勒菩薩,,, 음역(音譯) 미륵彌勒, 의역(意譯) 자씨(慈氏)은 현재는 보살이지만 다음 세상에 부처로 나타날 것이라고 불교에서 믿고 있는 미래의 부처이다. 의역에 '慈(사랑 자)'라는 한자가 들어가는 이유는 미륵의 어원이 되는 산스크리트어 maitrī'가 'loving-kindness'라고 하는 뜻이기 때문이다. 불교교리에 따르면, 용화수 아래에서 고타마 붓다가 제도하지 못한 모든 중생을 제도할 부처로 수기를 받았다. 미륵보살 신앙 또는 미륵 신앙은 미륵보살이 이 세상에 미륵불(彌勒佛)로 출현하여 세상을 구원한다는 신앙이다.

새로운!!: 석가모니와 미륵보살 · 더보기 »

밤 (시간)

밤 늦게 비친 보름달 밤은 하루중 태양이 지평면 아래에 있을 때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밤 (시간) · 더보기 »

백마

백마 백마(白馬)는 털빛이 하얀 말을 통칭하는 말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백마 · 더보기 »

가족

새로 태어날 자식을 기다리는 가족. 가족(家族)은 대체로 혈연, 혼인, 입양, 친분 등으로 관계되어 같이 일상의 생활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공동체) 또는 그 구성원을 말. 집단을 말할 때는 가정이라고도 하며, 그 구성원을 말할 때는 가솔(家率) 또는 식솔(食率)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가족 · 더보기 »

경제

경제(經濟)는 재화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인간행위를 말.경제란 무엇인가, 《글로벌 세계 대백과》 또는, 특정 국가 혹은 다른 나라의 생산, 교환, 분배 그리고 재화 및 서비스의 소비와 관련된 인간의 모든 활동을 가리.

새로운!!: 석가모니와 경제 · 더보기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번뇌 · 더보기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법 (불교) · 더보기 »

법륜

법륜 법륜(法輪)은 불교의 교의를 뜻하며, 특히 고타마 붓다가 설법한 사성제팔정도를 뜻.

새로운!!: 석가모니와 법륜 · 더보기 »

고 (불교)

(苦)는 괴로움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고 (불교) · 더보기 »

고통

통(苦痛)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석가모니와 고통 · 더보기 »

보리수 (식물)

보리수(菩提樹)는 뽕나무과의 활엽수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보리수 (식물) · 더보기 »

보름달

abbr.

새로운!!: 석가모니와 보름달 · 더보기 »

과두제

제(寡頭制, oligarchy)는 자산, 군사력, 정치적 영향력 등을 지닌 소수의 사회 구성원들에게 권력이 집중된 정부의 형태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과두제 · 더보기 »

공자

공자() 또는 공부자(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 시조(始祖)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사상가교육자이고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불교 > 원시유교 > 공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공자 · 더보기 »

공주

공주(公主, Princess)는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제왕(帝王)의 딸, 즉 왕녀에게 주어진 작위 내지 칭호.

새로운!!: 석가모니와 공주 · 더보기 »

공양

공양(供養)은 불법승(佛法僧)의 3보(三寶)나 사자(死者)의 영(靈) 등에 대해서 공물을 바치는 것을 가리.

새로운!!: 석가모니와 공양 · 더보기 »

공화제

공화제(共和制, Republic)는 주권이 국민에게 있는 정체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공화제 · 더보기 »

궁전

궁전(宮殿)는 왕이나 왕족이 일을 보고 생활하던 건축물을 말. 궁궐(宮闕), 궁실, 대궐, 어궐, 왕궁 등의 이름으로 불리.

새로운!!: 석가모니와 궁전 · 더보기 »

불멸기원

불멸기원(佛滅紀元)은 석가모니가 입멸한 해를 기준으로 삼는 연대 표기법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불멸기원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불교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삼

3계(三界)는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을 구성하는 존재계인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가지 계(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불교 용어 목록/삼 · 더보기 »

붓다 (만화)

붓다(ブッダ)는 테즈카 오사무의 일본 만화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붓다 (만화) · 더보기 »

분만

신생아의 탯줄을 자르는 모습 일상적인 분만 과정. 아기의 머리가 나오는 과정. 분만(分娩) 또는 해산(解産)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가 임신 후에 자궁 밖으로 신생아를 내보내어 어미의 몸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말. 인간의 자연 분만 과정은 자궁경부가 짧아지고 벌어지는 1단계, 태아가 내려와 태어나는 2단계, 그리고 태반의 분리가 이뤄지는 3.

새로운!!: 석가모니와 분만 · 더보기 »

부다가야

보리수 나무 아래의 작은 사원: 7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원래는 기원전 3세기에 아쇼카에 의해 지어졌다. c.1810년 부다가야(힌두어: बोधगया)는 인도의 비하르 주 가야구역의 도시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부다가야 · 더보기 »

부처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부처 또는 여래(如來), 세존(世尊), 붓다()는 인도 불교에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뜻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부처 · 더보기 »

부처님 오신 날

부처님 오신 날(舊 釋迦誕辰日/구 석가탄신일)은 불교에서 석가모니가 탄생한 날로, 음력 4월 8일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부처님 오신 날 · 더보기 »

그리스도

리스도, 크리스트, 크라이스트 또는 기독(基督)은 에서 온 말로 70인역에서 히브리어의 메시아()를 옮기는 데 처음 사용되었.

새로운!!: 석가모니와 그리스도 · 더보기 »

귀족

족(貴族)이란 혈통이나 문벌에 의해 사회적 특권을 인정받고 있는 사람이나 그 일족, 또는 그 신분을 말. 많게는 세습되지만, 특별한 공적에 의해 새로 귀족이 될 수도 있. 군주의 일족을 특히 '황족(皇族)', '왕족(王族)', '공족(公族)' 등으로 칭해, 이를 귀족에 포함하지 않는 용어법도 있.

새로운!!: 석가모니와 귀족 · 더보기 »

기원전 3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석가모니와 기원전 383년 · 더보기 »

기원전 4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석가모니와 기원전 463년 · 더보기 »

기원전 4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석가모니와 기원전 483년 · 더보기 »

기원전 48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석가모니와 기원전 485년 · 더보기 »

기원전 54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석가모니와 기원전 544년 · 더보기 »

기원전 6세기

원전 6세기는 기원전 600년부터 기원전 501년까지를 말.

새로운!!: 석가모니와 기원전 6세기 · 더보기 »

기원전 7세기

원전 7세기는 기원전 700년부터 기원전 601년까지를 말.

새로운!!: 석가모니와 기원전 7세기 · 더보기 »

브라만 (철학)

브라만(Brahman)은 힌두교에서 우주의 근본적 실재 또는 원리를 가리.

새로운!!: 석가모니와 브라만 (철학) · 더보기 »

비구

비구(比丘)는 비크슈(bhiksu)비쿠(bhikkhu)의 음역으로서, 필추(苾芻)라고도 음역하며 걸사(乞士)파번뇌(破煩惱)로 의역.

새로운!!: 석가모니와 비구 · 더보기 »

인간의 발뼈의 사진 뼈(骨)는 많은 동물들이 가지는 단단한 연결 조직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뼈 · 더보기 »

은 수면 시 경험하는 일련의 영상, 소리, 생각, 감정 등의 느낌을 말. 희망 사항, 목표 등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꿈 · 더보기 »

구름

적란운, 오스트레일리아의 빅토리아 Swifts Creek 상공 > 클라우드 미학 구름은 지구, 행성 또는 위성의 대기에 떠다니는,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들의 모임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구름 · 더보기 »

구경각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구경각(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final enlightenment, supreme enlightenment)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증득(證得)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 구경각을 가리키는 다른 낱말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

새로운!!: 석가모니와 구경각 · 더보기 »

나라

정치지리학에서 나라() 또는 국가(國家)는 일정한 영토와 거기에 사는 사람들로 구성된 단위를 일컫.

새로운!!: 석가모니와 나라 · 더보기 »

나이

이 또는 연세(年歲)는 사람이나 동·식물 따위가 세상에 나서 살아온 햇수를 말.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만(滿) 나이를 사용하지만,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세는나이를 함께 사용.

새로운!!: 석가모니와 나이 · 더보기 »

나후라

후라 (羅睺羅, 이름에 대해서는 후술) 는 석가의 친자식이며, 또 그 제자의 1명.

새로운!!: 석가모니와 나후라 · 더보기 »

네팔

()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중화인민공화국과 인도에 둘러싸여 있으며 동쪽 조금 멀리 떨어진 곳에 부탄이 있.네팔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국기가 사각형이 아닌 나라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네팔 · 더보기 »

노인

인(老人)은 인간의 마지막 과정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노인 · 더보기 »

단식

식(斷食)은 특정 목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음식과 음료의 섭취를 자발적으로 끊는 행위를 말. 최저의 생명 유지를 위해 물을 마시는 경우도 있. 식량을 섭취하지 않는 것을 절식이라고도 말하며, 일정 기간 (보통 48~72 시간) 동안 절식하면 몸은 식량의 공급이 정지했다고 판단하여 몸 안에 축적하고 있던 영양을 소비.

새로운!!: 석가모니와 단식 · 더보기 »

스리랑카

스리랑카 민주사회주의 공화국(), 약칭 스리랑카()는 남아시아에 있는 섬나라이며 법률상의 수도는 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이고, 제일 큰 도시는 콜롬보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스리랑카 · 더보기 »

우울

흐린 날씨는 흔히 우울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우울(憂鬱, Melancholia)은 슬프고 불행한 감정을 말. 우울증과는 다르지만, 우울한 감정이 오래 지속되어 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가 되면 우울증과 같은 증상으로 보는 경우가 많.

새로운!!: 석가모니와 우울 · 더보기 »

승가

승가(僧迦)는 산스크리트어의 상가(संघ, saṃgha)의 음역으로서 중(衆)화합중(和合衆)으로 번역.

새로운!!: 석가모니와 승가 · 더보기 »

슈도다나

정반왕 슈도다나(Śuddhodana)는 불교의 창시자 싯다르타 고타마의 아버지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슈도다나 · 더보기 »

요가

요가 명상을 하고 있는 시바 요기 조각상 요가()는 힌두교의 종교적영적 수행 방법의.

새로운!!: 석가모니와 요가 · 더보기 »

히말라야산맥

히말라야산맥(─山脈)은 아시아의 산맥으로 인도아대륙과 티베트고원 사이에 놓여 있. 넓게는 히말라야 산맥과 이어진 카라코람산맥과 힌두쿠시산맥 및 파미르고원의 여러 산맥을 포함해서 말. 에베레스트산을 비롯한 14 개의 8000미터 봉우리가 모두 이곳에 모여 있. 히말라야산맥 바깥에서 가장 높은 산은 안데스산맥에 있는 6,959 m의 아콩카과산이므로, 7,000 m가 넘는 산들은 모두 히말라야 산맥에 속하므로, '세계의 지붕'이라 일컬어지는 곳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히말라야산맥 · 더보기 »

임신

임신(姙娠)이란 포유류의 태아가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된 때부터 자궁 밖으로 나올 때까지의 상태를 말. 임신은 대개 자연적인 성관계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인공 수정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

새로운!!: 석가모니와 임신 · 더보기 »

이질

이질(痢疾, Dysentery)은 대장에서 발병하는 급성 또는 만성 질병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이질 · 더보기 »

인도

인도 공화국()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 국가 면적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넓으며, 인구는 약 13억 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 북쪽과, 북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쪽으로는 네팔, 부탄, 서쪽에는 파키스탄, 동쪽으로는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남동쪽에는 벵골 만, 남서쪽으로는 아라비아 해, 남쪽으로는 인도양와 맞닿아 있으며 스리랑카, 몰디브가 있으며,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해상경계는 태국, 인도네시아와 접해 있. 수도는 뉴델리이.주요 도시로는 뉴델리, 뭄바이, 첸나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콜카타등이 있. 고대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이자 역사적인 무역로였으며 거대한 제국이 있었던 인도 아대륙은 오랫동안 그 지정학적 지위와 경제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왔.

새로운!!: 석가모니와 인도 · 더보기 »

음력 12월 8일

음력 12월 8일은 음력 12월의 8번째 날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음력 12월 8일 · 더보기 »

음력 2월 15일

음력 2월 15일은 음력 2월의 15번째 날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음력 2월 15일 · 더보기 »

음력 4월 8일

음력 4월 8일은 음력 4월의 8번째 날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음력 4월 8일 · 더보기 »

정치

정치(政治, politics)에 대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학문적인 정의는 데이비드 이스턴(David Easton)이 내린 "가치의 권위적 배분(authoritative allocation of values)"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정치 · 더보기 »

죽 죽 죽(粥)은 곡식을 물에 묽게 풀어 오래 끓여 알갱이가 흠씬 무르게 만든 음식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죽 · 더보기 »

중도 (불교)

중도(中道)는 불교에서 치우치지 아니하는 바른 도리를 말. 고타마 붓다는 29세에 출가하여 35세에 깨달음을 얻어 불타로 될 때까지의 6년간 그 대부분을 가혹한 고행의 길에 정진하였.

새로운!!: 석가모니와 중도 (불교) · 더보기 »

질병

병(疾病)이란 유기체의 신체적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된 상태를 일컫.

새로운!!: 석가모니와 질병 · 더보기 »

진리

리(眞理)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참된 도리'이며, 사실이 분명하게 맞아 떨어지는 명제, 또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보편적이고 불변적인 사실 혹은 참된 이치나 법칙을 뜻. 참, 진실 등으로 불리.

새로운!!: 석가모니와 진리 · 더보기 »

출가

(出家)는 산스크리트어 프라브라자나(pravrajana)의 번역어로, 번뇌에 얽매인 세속에서의 인연을 버리고 재가생활(在家生活)을 떠나 오로지 불교 수행에 힘쓰는 것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출가 · 더보기 »

칠부중

7부중(七部衆)은 모든 불제자(佛弟子)들, 즉 불교의 출가자와 비출가자(재가신자)를 망라하는 모든 불자들을 비구비구니사미사미니식차마나우바새우바이의 일곱 대중으로 분류하는 것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의례와 수행·교단조직 > 교단조직 > 칠중,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칠중: 七衆 도속칠중(道俗七衆)이라고도 하며, 모든 불제자를 7종으로 분류한 것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칠부중 · 더보기 »

코끼리

리(象)는 장비목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과인 코끼리과(Elephantidae)의 동물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코끼리 · 더보기 »

코살라

원전 600년 경의 십육대국 코살라(Kosala)는 갠지스강 중부 유역에 있던 왕국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코살라 · 더보기 »

쿠시나가르

리니르바나 사원에 전시된 석가상 라마바르 탑 쿠시나가르()는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주에 위치한 마을로 인구는 17,982명(2001년 기준)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쿠시나가르 · 더보기 »

유엔

유엔() 또는 국제 연합(國際 聯合)은 세계 거의 모든 나라를 아우르는 국제 기구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유엔 · 더보기 »

윤회

윤회(輪廻) 또는 삼사라()는 일정한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은 그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이 세상으로 재탄생한다는 교의 또는 믿음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윤회 · 더보기 »

팔정도

8정도(八正道), 8성도(八聖道) 또는 8지성도(八支聖道)는 사성제 가운데 마지막의 도제에서 가르치는, 깨달음(멸제)을 성취하는 원인이 되는 "여덟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성스러운 길, 수단 또는 실천 덕목"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팔정도 · 더보기 »

상좌부 불교

상좌부 불교(上座部佛敎) 또는 테라바다(Theravada)는 부처의 계율을 원칙대로 고수하는 불교를 말. 대중부 불교와 함께 인도 불교의 2대 부문(部門)의 하나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상좌부 불교 · 더보기 »

샤카족

샤캬족()이나 석가족(釋迦族)은 인도에 사는 여러 민족 중 하나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샤카족 · 더보기 »

새 또는 조류(鳥類)는 크게 발달된 수각류 공룡을 의미하며, 보통 비행이 가능한 종이 많. 계통적으로는 석형강 공룡상목 조강(鳥綱)에 속. 새는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심장이 2심방 2심실이며, 허파로 호흡하는 항온동물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새 · 더보기 »

탑파

탑파(塔婆)는 산스크리트어인 스투파(Stupa)에 어원을 둔 단어로 석가모니의 사리가 안치되어 있는 일종의 무덤 건축물을 의미.

새로운!!: 석가모니와 탑파 · 더보기 »

수도

수도(首都)는 한 국가의 정치, 행정의 중심이 되는 도시를 말. 수도에는 대부분 중앙 정부가 소재해, 국가원수 등 국가의 최고 지도자가 거점으로 두는 도시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수도 · 더보기 »

예수

예수(기원전 약 4년 ~ 기원후 약 30) 또는 나사렛 예수는 유대교, 기독교, 그리고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인물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예수 · 더보기 »

연기 (불교)

연기(緣起)는 인연생기(因緣生起) 즉 인(因: 직접적 원인)과 연(緣: 간접적 원인)에 의지하여 생겨남 또는 인연(因緣: 통칭하여, 원인)따라 생겨남의 준말로,운허 &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새로운!!: 석가모니와 연기 (불교) · 더보기 »

열반

열반(涅槃)은 "(바람 등이) 불기를 멈추다(촛불 등을) 불어서 끄다(촛불 등이) 불어서 꺼진 상태"라는 뜻의를 음을 따라 번역한 말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열반 · 더보기 »

사람

사람 또는 호모 사피엔스()는 두 발로 서서 걸어 다니는 사람과의 영장류 동물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사람 · 더보기 »

사르나트

사르나트(Sarnath, Sarnātha)는 인도의 지명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사르나트 · 더보기 »

사리

사리(舍利)는 불교 용어로서, 원래는 신체 또는 석가모니나 성자의 유골을 지칭하는 용어이나, 오랜 수행을 한 스님을 화장한 결과 나오는 구슬을 이르.

새로운!!: 석가모니와 사리 · 더보기 »

사회

페루의 차이나 타운. 화교는 여러 나라에서 독자적이면서 닫힌 사회를 이루고 있다. 사회(社會, society)는 정치, 문화, 제도적으로 독자성을 지닌 공통의 관심과 신념, 이해에 기반한 다인(多人)의 개인적 집합, 결사체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사회 · 더보기 »

사찰

불국사 사찰(寺刹. Temple) 또는 절은 승려가 불상을 모셔놓고 불도를 닦고 교법을 펴며, 불교 신도들이 예배를 위해 모이는 장소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사찰 · 더보기 »

사성제

사성제(四聖諦) 또는 사제(四諦)는 《아함경(阿含經)》에 나오는 원시 불교 가르침으로 불교 기본 교의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사성제 · 더보기 »

삼법인

삼법인(三法印,tilakkhaṇa)은 불교의 교의를 요약하여 제시한 기치 또는 슬로건으로, 불교의 기본적 입장을 특징적으로 보여 주는 근본불교 시대에 발생한 교의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삼법인 · 더보기 »

삼고

3고(三苦)는 고고(苦苦)괴고(壞苦)행고(行苦)의 3가지 고통을 말. 3고는 불교의 주요 교의인 고제(苦諦)집제(集諦)멸제(滅諦)도제(道諦)의 4성제(四聖諦) 중 첫 번째의 고제(苦諦)와 관련된 불교 교의 또는 사상이며, 또한 색온(色蘊)수온(受蘊)상온(想蘊)행온(行蘊)식온(識蘊)의 5온(五蘊) 가운데 수온(受蘊), 그리고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수(受)의 마음작용과 관련된 불교 교의 또는 사상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삼고 · 더보기 »

성지

성지(聖地) 또는 성소(聖所), 성역(聖域)은 각 종교에서 신성시하는 도시 또는 지역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성지 · 더보기 »

세계불교도대회

세계불교도대회는 세계불교도우의회(WFB)가 주최하는 국제불교행사를 말. 2년마.

새로운!!: 석가모니와 세계불교도대회 · 더보기 »

세계불교도우의회

세계불교도우의회(WFB: World Fellowship of Buddhists)은 가장 크고 가장 영향력 있는 국제 불교 단체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세계불교도우의회 · 더보기 »

소리

은 진동막을 통해 소리를 낸다. 소리 또는 음(音)은 사람의 청각기관을 자극하여 뇌에서 해석되는 매질의 움직임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소리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陜川 海印寺 大藏經板) 또는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트리피타카 코레아나)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고려가 몽골의 침입을 불력(佛力)으로 막아내고자 1236년(고종 23년) 강화군에서 조판에 착수하여 15년이 지난 1251년(고종 38년)까지 총 16년에 걸쳐 완성한 고려의 대장경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더보기 »

해탈

(解脫,, 또는 vimoksha, vimukti and mukti,은 자유(自由) 또는 해방(解放)을 뜻하는데, 몸과 마음의 고뇌와 속박의 원인인 번뇌로부터 해방되는 것 또는 벗어나는 것, 또는 해방된 상태 또는 벗어나 있는 상태를 말한다.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해탈,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해탈: 解脫 해탈이란 '해방된다'·'자유로 된다'는 것을 뜻하는데 심신의 고뇌·속박으로부터의 해방을 말한다. 이 해탈에 대한 생각은 불교 이전부터 인도의 사상계에 보급되어 있었던 것으로서 인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생의 궁극적인 이상목표를 이 해탈에 두고 있다. 이는 불교도 마찬가지로 불교에서는 고뇌를 낳는 근본으로서의 무명을 멸함으로써 해탈의 도가 달성된다고 한다. 즉, 무명은 지혜가 없는 것이며 그 지혜란 세계인생 진리로서의 연기의 도리를 여실하게 아는 작용이며 여실지견(如實知見)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따라서 무명은 여실하게는 지견하지 않는 혹은 할 수 없는 것이며, 그 무명을 멸해서 모든 존재가 상의상대(相依相待)라고 하는 연기의 관계에 있음을 올바르게 보는 것이 고뇌의 속박을 벗어나 이상을 달성하는 길, 즉 해탈의 도라고 했던 것이다. 이 해탈에의 도는 중도(中道)이며 그것은 구체적으로는 8정도(八正道)의 수행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해탈은 불교에서는 이상으로서의 열반과 동일시되고 있다." 해탈에 대한 사상은 불교 이전부터 인도의 사상계에 보급되어 있었던 것으로서 인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생의 궁극적인 이상과 목표를 해탈에 두고 있다. 이는 불교도 마찬가지로 불교에서는 고뇌를 낳는 근본으로서의 무명을 멸함으로써 해탈의 도가 달성된다고 한다. 즉, 무명은 지혜가 없는 것이며 그 지혜란 세계와 인생의 진리로서의 연기의 도리를 여실하게 아는 작용으로, 여실지견(如實知見)이라고 불리는 지혜이다. 따라서 무명은 여실하게 지견하지 않는 상태 혹은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무명을 멸해서 모든 존재가 '상의상대(相依相待)한다'는 연기의 관계에 있음을 올바르게 보는 것이 고뇌의 속박을 벗어나 이상을 달성하는 길, 즉 해탈의 도라고 본다. 그리고 이 해탈의 도는 중도(中道)이며 그것은 구체적으로는 팔정도(八正道)의 수행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해탈은 불교에서는 이상으로서의 열반과 동일시되고 있다. 힌두교에서도 해탈은 중심 개념이며 인생에 대한 네가지 목표 혹은 관점 중의 하나로서, 나머지는 Dharma, artha, kama 이다. 해탈은 자이나교, 불교와 힌두교에서 함께 중심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부 인도 종교 학교에서는 해탈(moksha)는 vimoksha, vimukti, kaivalya, apavarga, mukti, nihsreyasa 그리고 nirvana 등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해탈과 열반(nirvana)에 대해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참고.

새로운!!: 석가모니와 해탈 · 더보기 »

안거

안거(安居)의 산스크리트어 원어는 바르시카(varsika)로, 바르사() 즉 비(雨)에서 만들어진 말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안거 · 더보기 »

하늘

공중에서 본 하늘 노을 진 하늘 맑은 하늘 파란 하늘 하늘은 종종 사람이 땅에서 위로 올려다볼 때 보이는 곳으로 정의.

새로운!!: 석가모니와 하늘 · 더보기 »

아들

자의 아들 자 아들은 남성이 자신의 부모로부터 불리는 호칭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아들 · 더보기 »

식중독

살모넬라균 식중독(食中毒)은 병원성 세균, 독소, 바이러스, 프리온, 기생충, 화학물질, 자연독 등에 오염된 음식물 섭취의 결과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질병을 말. 이 같은 오염은 대부분 음식물의 부적절한 취급, 준비, 저장으로 인해 발생.

새로운!!: 석가모니와 식중독 · 더보기 »

십호

10호(十號,, ten epithets of the Buddha)는 고타마 붓다 또는 부처의 지위에 오른 모든 깨달은 자를 칭하는, 《장아함경》《잡아함경》《불설십호경(佛說十號經)》 등의 경전과 《대지도론(大智度論)》《대승의장(大乘義章)》 등의 불교 논서들에 나오는, 아래 목록의 부처의 10가지 다른 이름 또는 부처의 10가지 명호를 말하며, 모든 깨달은 자들이 가지는 10가지 뛰어난 공덕(功德)을 보여준.

새로운!!: 석가모니와 십호 · 더보기 »

황태자

황태자(皇太子) 또는 왕태자(王太子)는 제국과 독립 왕국의 제위계승이나 왕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황자나 왕자를 가리키는 칭호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황태자 · 더보기 »

국왕(國王) 또는 왕(王) (영어;king)은 군주 칭호의 일종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왕 · 더보기 »

왕비

왕비(王妃)는 제후왕의 부인인 비(妃)로서, 궁중에서 대왕대비와 왕대비 다음으로 높은 자리를.

새로운!!: 석가모니와 왕비 · 더보기 »

왕자

왕자(王子, 프린스)는 서양에서 황족이나 왕족의 남자나 특정의 영역을 지배하는 귀족의 칭호로서 사용되는 영어 단어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왕자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1950년 · 더보기 »

1956년

195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1956년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1972년 · 더보기 »

1983년

19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석가모니와 1983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고타마, 고타마 붓다, 고타마 싯다르타, 샤카무니, 사캬무니, 석가, 석가모니불, 석가모니여래, 석가불, 석가부처, 석가여래, 석가세존, 석존, 싯다르타, 싯다르타 고타마.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