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유비

색인 유비

소열황제 유비(漢昭烈皇帝劉備, 161년 ~ 223년 6월 10일(음력 4월 24일))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초대 황제(재위: 221년 5월 15일(음력 4월 6일) ~ 223년 6월 10일(음력 4월 24일))이.

182 처지: 도리, 도겸, 도겸 (삼국지), 동승, 동진, 동소, 루쉰, 마량, 마초 (촉한), 목황후, 미부인, 방통, 배신, 바이디 성, 바오딩 시, 박망파 전투, 가을, 건안, 범강, 법정 (후한), 고패, 고순, 본초, 공손찬, 괴월, 관내후, 관우, 비시 (촉한), 뽕나무, 냉포, 구주춘추, 군자, 남군 전투, 나라, 등현, , 노식, 당 태종, 승상, 습착치, 자 (이름), 자사 (관직), 장로 (후한), 장무 (촉한), 장각, 장비, 장남 (촉한), 장달, 장임, 장판 전투, ..., 장순, 장숙, 장송, 이릉 대전, 이전, 이수 (성한), 이엄, 음력 4월 24일, 음력 4월 6일, 익주, 적벽 대전, 제갈량, 전해, 전한 경제, 정욱 (조위), 조비, 조운 (촉한), 조인, 조조, 조조의 서주 침공, 조표 (후한), 조홍, 주유, 줘저우 시, 중국, 중국의 황제 목록, 진수, 차주, 채모, 채양, 천하, 촉한, 출사표, 유리 (촉한), 유벽, 유괴 (후한), 유봉, 유기 (후한), 유비의 입촉, 유대 (사공장사), 유승, 유장, 유장 (삼국지), 유정, 유주 (중국), 유순 (촉한), 유순 (삼국지), 유영 (촉한), 유협, 유현 (동진), 유표, 유선 (촉한), 유홍, 육손, 융중대, 위 (삼국), 위략, 탁군, 탁응, 태음력, 영가의 난, 영웅, 오 (삼국), 예주, 현덕, 형주, 양회, 여포, 연호, 허베이성, 업 (지명), 풍습, 사방장군, 사군, 삼국 시대 (중국), 삼국지연의, 성씨, 성한, 서주 (중국), 서서, 손권, 손부인, 손성, 소열황후, 한나라, 한중 전투, 하비 전투, 하후돈, 하후연, 쉬창 시, 신야 전투, 원담, 원술, 원술 토벌전, 원소, 원소 (후한), 후한, 후한 헌제, 후한말, 후한서, 황건적의 난, 황권, 황제, 황초 (위), 황충, 황태자, 황완, 환온, 화양국지, 왕작, 왕충 (조위), 왕위 요구자, 161년, 196년, 200년, 205년, 208년, 211년, 214년, 215년, 218년, 219년, 220년, 221년, 222년, 223년, 263년, 4월 24일, 4월 6일, 5월 15일, 6월 10일, 7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32 더) »

도리

리(道理)의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① 사람이 어떤 입장에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바른 길, ② 어떤 일을 해 나갈 방도(方道)이.

새로운!!: 유비와 도리 · 더보기 »

도겸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유비와 도겸 · 더보기 »

도겸 (삼국지)

(陶謙, 132년 ~ 194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조(恭祖)이며 단양군 단양현(丹陽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도겸 (삼국지) · 더보기 »

동승

동승(董承, 생년 미상 ~ 200년 정월)은 후한 말기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비와 동승 · 더보기 »

동진

동진(東晉, 317년 ~ 420년)은 중국의 서진(西晉) 왕조가 유연(劉淵)의 전조(前趙)에게 멸망한 후, 사마예(司馬睿)에 의해 강남(江南)에 세워진 진(晉)의 망명 왕조이.

새로운!!: 유비와 동진 · 더보기 »

동소

동소(董昭, 156년 ~ 236년)은 중국 삼국시대 위의 정치가로, 자는 공인(公仁)이며 연주(兗州) 제음군(濟陰郡) 정도현(定陶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동소 · 더보기 »

루쉰

쉰의 서명 루쉰(1881년 9월 25일 ~ 1936년 10월 19일)은 중국의 소설가이.

새로운!!: 유비와 루쉰 · 더보기 »

마량

마량(馬良, 187년 ~ 222년)은 중국 후한 말 유비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계상(季常)이며 형주 양양군(襄陽郡) 의성현(宜城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마량 · 더보기 »

마초 (촉한)

마초(馬超, 176년 ~ 222년)는 후한, 촉한의 장군으로 자는 맹기(孟起)이며 사례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마초 (촉한) · 더보기 »

목황후

목황후 오씨(穆皇后 吳氏, ? ~ 245년)는 촉한의 황후로, 소열제의 아내이.

새로운!!: 유비와 목황후 · 더보기 »

미부인

미부인(糜夫人 ? ~ ?)은 후한 말기의 인물로, 동해국 구현(朐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미부인 · 더보기 »

방통

방통(龐統, 179년 ~ 214년)은 중국 후한 말 유비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사원(士元)이며 형주 남군 양양현(襄陽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방통 · 더보기 »

배신

배신(背信, betrayal)은 조직간에 또는 개인과 조직 사이의 개인 사이의 관계에서 도덕적, 심리적 갈등을 생산하는 추정상의 계약, 신뢰, 또는 자신의 파괴나 위반이.

새로운!!: 유비와 배신 · 더보기 »

바이디 성

200px 200px 바이디 성(白帝城, 백제성)은 중국 쓰촨 성 충칭 시 펑제 현의 장강삼협에 위치한 지명이.

새로운!!: 유비와 바이디 성 · 더보기 »

바오딩 시

바오딩(保定, Baoding, 보정)은 중국 허베이 성(河北省)의 지급도시이.

새로운!!: 유비와 바오딩 시 · 더보기 »

박망파 전투

박망파 전투(博望坡 戰鬪)는 후한 말기 형주 신야 부근 박망파에서 유비와 조조가 싸운 전투로 이 전투에서 유비의 참모 제갈량이 처음으로 참전.

새로운!!: 유비와 박망파 전투 · 더보기 »

가을

을은 온대 지방의 네 계절 중 하나이.

새로운!!: 유비와 가을 · 더보기 »

건안

안(建安)은 중국 후한 헌제의 세 번째 연호이.

새로운!!: 유비와 건안 · 더보기 »

범강

범강(范疆, ?~222년)은 삼국시대 당시 오나라의 장수로 원래는 촉나라의 장수였.

새로운!!: 유비와 범강 · 더보기 »

법정 (후한)

법정 법정(法正, 176년 ~ 220년)은 중국 후한 말 촉한건국전 정치가로, 자는 효직(孝直)이며 사례(司隷) 부풍군(扶風郡) 미현(郿縣) 사람으로 후한 남군 태수를 지낸 법웅(法雄)의 증손이며 한때 선비로서 이름이 있던 법진(法眞)의 손자이.

새로운!!: 유비와 법정 (후한) · 더보기 »

고패

(高沛, ? ~ 212년)는 중국 후한 말 유장 휘하의 장수이.

새로운!!: 유비와 고패 · 더보기 »

고순

순(高順, ? ~ 198년 음력 12월)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유비와 고순 · 더보기 »

본초

본초(本草), 허브(herb)는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약재를 가리키는 말이.(고대 그리스나 중세 유럽의 약초학(herbology)에서 사용된 약초도 본초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약재에는 인삼 등의 식물성 약재와 녹용 등의 동물성 약재, 주사 등의 광물성 약재가 있지만, 대부분은 식물성 약재이고 그중에서 뿌리와 뿌리줄기가 가장 많이 쓰이므로 '본초(本草, 뿌리와 풀)'라 불리게 되었.

새로운!!: 유비와 본초 · 더보기 »

공손찬

공손찬(公孫瓚, ? ~ 199년 음력 3월)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백규(伯圭, 伯珪)이며 유주 요서군 영지현(令支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공손찬 · 더보기 »

괴월

월(蒯越, ? ~ 214년)은 중국 후한 말 유표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이도(異度)이며 형주 남군 중려현(中廬縣)사마표, 《전략》(戰略); 배송지 주석, 《삼국지》6권 위서 제6 유표에서 인용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괴월 · 더보기 »

관내후

후(關內侯)는 진나라 때 창설된 작위 중 하나로, 이십등작 제도 하에서 대서장(大庶長)의 위, 열후의 아래이.

새로운!!: 유비와 관내후 · 더보기 »

관우

우(? ~ 219년 음력 12월)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운장(雲長)이며 사례 하동군 해현(解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관우 · 더보기 »

비시 (촉한)

비시(費詩, ? ~ ?)는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촉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공거(公擧)이며 익주 건위군 남안현(南安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비시 (촉한) · 더보기 »

뽕나무

'' Morus alba '' 뽕나무()는 장미목 뽕나무과의 식물이.

새로운!!: 유비와 뽕나무 · 더보기 »

냉포

냉포(冷苞, ? ~ ?)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유비와 냉포 · 더보기 »

구주춘추

《구주춘추》(九州春秋)는 서진(西晉)의 사마표(司馬彪)가 저술한 사서이.

새로운!!: 유비와 구주춘추 · 더보기 »

군자

자(君子)는 유교에서 '성품이 어질고 학식이 높은 지성인'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유비와 군자 · 더보기 »

남군 전투

전투(南郡 戰鬪)는 208년 적벽 대전 후 형주에서의 조조 세력이 약해진 틈을 타 손권과 유비가 형주의 남군, 양양, 이릉 등을 습격해 조조군과 교전을 벌였고 결국 형주를 탈환.

새로운!!: 유비와 남군 전투 · 더보기 »

나라

정치지리학에서 나라() 또는 국가(國家)는 일정한 영토와 거기에 사는 사람들로 구성된 단위를 일컫.

새로운!!: 유비와 나라 · 더보기 »

등현

등현(鄧賢, ? ~ ?)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유비와 등현 · 더보기 »

아버지 딸은 여성이 자신의 부모로부터 불리는 호칭이.

새로운!!: 유비와 딸 · 더보기 »

노식

식(盧植, ? ~ 192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간(子幹)이며 유주 탁군 탁현(涿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노식 · 더보기 »

당 태종

당 태종 이세민(唐 太宗 李世民, 598년: 개황(開皇) 19년 1월 23일 ~ 649년: 정관(貞觀) 23년 7월 10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이며 당 고조 이연의 두 번째 아들이.

새로운!!: 유비와 당 태종 · 더보기 »

승상

승상(丞相)은 중국의 고대 관직으로 삼공(三公) 중 가장 위이며 황제를 보좌하는 수석 보좌관이자 조정의 영수로 오늘날 국무총리에 해당.

새로운!!: 유비와 승상 · 더보기 »

습착치

습착치(習鑿齒, ? ~ 384년경)는 중국 동진(東晉)의 역사가이.

새로운!!: 유비와 습착치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유비와 자 (이름) · 더보기 »

자사 (관직)

자사(刺史) 혹은 주목(州牧)은 중국의 두 번째 통일왕조인 한나라의 조정에서 상설한 벼슬로 각 주 안에 있는 군(郡) 태수들을 감찰하는 직위였.

새로운!!: 유비와 자사 (관직) · 더보기 »

장로 (후한)

장로(張魯, ? ~ 216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인물로, 오두미도(五斗米道)의 제3대 장천사(張天師).

새로운!!: 유비와 장로 (후한) · 더보기 »

장무 (촉한)

장무(章武)는 중국 촉한(蜀漢) 소열제(昭烈帝)의 연호이.

새로운!!: 유비와 장무 (촉한) · 더보기 »

장각

장각(張角, ? ~ 184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종교 지도자로, 기주 거록군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장각 · 더보기 »

장비

장비(? ~ 221년 음력 6월)는 후한 말기 ~ 촉한의 군인으로, 자는 익덕(益德)이며 탁군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장비 · 더보기 »

장남 (촉한)

장남(張南, ? ~ 222년)은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장수로, 자는 문진(文進)이.

새로운!!: 유비와 장남 (촉한) · 더보기 »

장달

장달(張達, ? ~ 222년)은 오나라의 장수로 원래는 촉나라의 장수였.

새로운!!: 유비와 장달 · 더보기 »

장임

장임(張任, ? ~ 213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촉군(蜀郡)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장임 · 더보기 »

장판 전투

장판 전투(長坂戰鬪)는 중국 후한 말기 건안(建安) 13년(208년) 조조가 신야(新野)의 유비를 10만의 병사를 이끌고 공격한 것을 말. 양군의 전투가 벌어져 일련의 이야기의 무대가 된 곳이 형주(荊州) 남군(南郡) 당양현(当陽県)의 장판(長坂; 혹은 장판파(長坂坡))였기에 장판파 전투, 혹은 당양 전투라고 부른.

새로운!!: 유비와 장판 전투 · 더보기 »

장순

장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유비와 장순 · 더보기 »

장숙

장숙(張肅, ? ~ ?)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익주(益州) 촉군(蜀郡) 성도현(成都縣)《화양국지(華陽國志)》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장숙 · 더보기 »

장송

장송(張松, ? ~ 213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교(子喬)상거, 《화양국지》 권12 양익영삼주선한이래사녀목록(梁益寧三州先漢以來士女目錄) 이며 익주 촉군 성도현(成都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장송 · 더보기 »

이릉 대전

이릉 대전(夷陵大戰 / 夷陵大戦), 또는 효정 전투(猇亭戰鬪)는 221년 촉한의 황제 유비가 의형제인 관우와 장비의 원수를 갚고 형주를 수복하기 위해 손권의 오나라를 침공해 발발한 전쟁의 향방을 결정한 전투이.

새로운!!: 유비와 이릉 대전 · 더보기 »

이전

이전은 다음 항목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유비와 이전 · 더보기 »

이수 (성한)

이수(李壽, 300년 ~ 343년, 재위: 338년 ~ 343년)는, 오호 십육국 시대 성한(成漢)의 4대 황제이.

새로운!!: 유비와 이수 (성한) · 더보기 »

이엄

이엄(李嚴, ? ~ 234년)은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장수이.

새로운!!: 유비와 이엄 · 더보기 »

음력 4월 24일

음력 4월 24일은 음력 4월의 24번째 날이.

새로운!!: 유비와 음력 4월 24일 · 더보기 »

음력 4월 6일

음력 4월 6일은 음력 4월의 6번째 날이.

새로운!!: 유비와 음력 4월 6일 · 더보기 »

익주

익주(益州)는 현재의 쓰촨 분지와 한중 분지 일대에 존재한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후한 13주 중 한 지역이.

새로운!!: 유비와 익주 · 더보기 »

적벽 대전

적벽대전(赤壁大戰 / 赤壁大戦)은 중국의 삼국 시대, 통일을 목표로 세력을 계속 팽창하던 조조에, 손권과 유비가 연합해 대항하여 양자강에서 벌어진 큰 전투이.

새로운!!: 유비와 적벽 대전 · 더보기 »

제갈량

제갈 량(諸葛亮, 181년 ~ 234년)은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모신으로 자는 공명(孔明)이며 서주 낭야국 양도현(陽都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제갈량 · 더보기 »

전해

전해《후한서(後漢書)》에서는 전개(田揩).

새로운!!: 유비와 전해 · 더보기 »

전한 경제

효경황제 유계(漢 孝景皇帝 劉啓, 기원전 188년 ~ 기원전 141년)는 전한의 제6대 황제로, 문제(文帝)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효문황후(孝文皇后)이.

새로운!!: 유비와 전한 경제 · 더보기 »

정욱 (조위)

정욱(程昱, 141년 ~ 220년)은 중국 후한 말기 ~ 조위 초기의 관료로, 자는 중덕(仲德)이며 연주 동군 동아현(東阿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정욱 (조위) · 더보기 »

조비

위 고조 문황제 조비(魏 高祖 文皇帝 曹丕, 187년 ~ 226년 6월 29일(음력 5월 17일))는 조위의 초대 황제로, 자는 자환(子桓)이.

새로운!!: 유비와 조비 · 더보기 »

조운 (촉한)

조운(趙雲, ? ~ 229년 11월)은 중국 후한 말 ~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으로, 자는 자룡(子龍)이며 기주 상산군 진정현(眞定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조운 (촉한) · 더보기 »

조인

조인(曹仁, 168년 ~ 223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자효(子孝)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조인 · 더보기 »

조조

조위 태조 무황제 조조(曹魏 太祖 武皇帝 曹操, 155년 음력 6월 3일 ~ 220년 음력 1월 23일)는 중국 후한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며 시인이.

새로운!!: 유비와 조조 · 더보기 »

조조의 서주 침공

서주 침공(徐州侵攻)은 후한말의 군벌 조조가 서주자사 도겸이 자기 아버지 조숭을 죽인 것을 빌미로 서기 193년에서 194년에 걸쳐 서주에 대한 토벌을 행한 사건이.

새로운!!: 유비와 조조의 서주 침공 · 더보기 »

조표 (후한)

조표(曹豹, ? ~ 196년?)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유비와 조표 (후한) · 더보기 »

조홍

조홍(曹洪, ? ~ 232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자렴(子廉)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조홍 · 더보기 »

주유

주유(周瑜, 175년 ~ 210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공근(公瑾)이며 여강군 서현(舒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주유 · 더보기 »

줘저우 시

저우 시()는 중화 인민 공화국 허베이 성 바오딩 시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유비와 줘저우 시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유비와 중국 · 더보기 »

중국의 황제 목록

중국에서 황제란 명칭은 기원전 221년 진시황제에 의해 최초로 쓰였으며, "황제"의 어원으론 삼황오제에서 따왔다는 것이 정설이.

새로운!!: 유비와 중국의 황제 목록 · 더보기 »

진수

수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유비와 진수 · 더보기 »

차주

주(車胄, ? ~ 199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유비와 차주 · 더보기 »

채모

모(蔡瑁, ? ~ ?)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덕규(德珪)습착치(習鑿齒), 《양양기구기(襄陽耆舊記)》 이며, 형주(荊州) 양양군(襄陽郡)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채모 · 더보기 »

채양

양(蔡襄, 1012년 ~ 1060년)은 중국 북송의 문인ㆍ서예가이.

새로운!!: 유비와 채양 · 더보기 »

천하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유비와 천하 · 더보기 »

촉한

촉한(漢, 221년 ~ 263년)은 중국 삼국 시대 때 유비(劉備)가 지금의 사천성 지역에 세운 나라로 정식 국호는 한(大漢)이나 역사상 구분을 위하여 촉한이라고 부른.

새로운!!: 유비와 촉한 · 더보기 »

출사표

전출사표 《출사표》(出師表)는 원래 신하가 적을 정벌하러 떠나기 전에 황제나 왕에게 올리던 표문(表文)이.

새로운!!: 유비와 출사표 · 더보기 »

유리 (촉한)

유리(劉理, 212년 ~ 244년)은 중국 촉한(蜀漢)의 소열제(昭烈帝) 유비(劉備)의 아들로 후주(後主) 유선(劉禪)의 이복동생이.

새로운!!: 유비와 유리 (촉한) · 더보기 »

유벽

유벽(劉辟, ? ~ ?)은 중국 후한 말의 황건적이.

새로운!!: 유비와 유벽 · 더보기 »

유괴 (후한)

유괴(劉璝, ? ~ ?)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유비와 유괴 (후한) · 더보기 »

유봉

유봉(劉封, ? ~ 220년)은 중국 후한 말 유비 휘하의 장군이.

새로운!!: 유비와 유봉 · 더보기 »

유기 (후한)

유기(劉琦, ? ~ 209년)는 후한 말의 군웅 유표(劉表)의 장남으로, 이복동생으로는 유종(劉琮)이 있.

새로운!!: 유비와 유기 (후한) · 더보기 »

유비의 입촉

유비의 입촉(劉備-入蜀)은 212년 ~ 214년 5월까지 유비가 익주 자사 유장을 공격해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유비와 유비의 입촉 · 더보기 »

유대 (사공장사)

유대(劉岱, ? ~ ?)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산(公山)이며 패국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유대 (사공장사) · 더보기 »

유승

유승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유비와 유승 · 더보기 »

유장

유장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유비와 유장 · 더보기 »

유장 (삼국지)

유장(劉璋,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웅으로, 자는 계옥(季玉)이며 강하군 경릉현(竟陵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유장 (삼국지) · 더보기 »

유정

유정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유비와 유정 · 더보기 »

유주 (중국)

유주(幽州)는 현재의 베이징 시와 톈진 시 일대, 허베이 성의 일부 북부 지역, 랴오닝 성, 지린 성 서남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부에 존재한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구주(九州) 중 한 곳으로 전해 내려오는 지역이.

새로운!!: 유비와 유주 (중국) · 더보기 »

유순 (촉한)

유순(劉恂, ? ~ 311년)은 촉한 효회황제(蜀漢 孝懷皇帝) 유선(劉禪)의 육남이.

새로운!!: 유비와 유순 (촉한) · 더보기 »

유순 (삼국지)

유순(劉循, ?~?)은 중국 후한 말의 세력가인 유장(劉璋)의 장남이.

새로운!!: 유비와 유순 (삼국지) · 더보기 »

유영 (촉한)

유영(劉永, ?~?)은 중국 촉한(蜀漢)의 소열제(昭烈帝) 유비(劉備)의 아들로 후주(後主) 유선(劉禪)의 이복동생이.

새로운!!: 유비와 유영 (촉한) · 더보기 »

유협

유협(劉勰, 465년~521년)은 중국 남조 양나라의 문학자이.

새로운!!: 유비와 유협 · 더보기 »

유현 (동진)

유현(劉玄; ?-?)은 5호 16국시대의 사람으로, 촉한 소열황제 유비(蜀漢 昭烈皇帝 劉備)의 증손자이.

새로운!!: 유비와 유현 (동진) · 더보기 »

유표

유표(劉表, 142년 ~ 208년 음력 8월)는 중국의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경승(景升)이며 연주 산양군 고평현(高平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유표 · 더보기 »

유선 (촉한)

효회제 유선(孝懷帝 劉禪, 207년 ~ 271년)은 촉한의 제2대 황제(재위: 223년 ~ 263년)이.

새로운!!: 유비와 유선 (촉한) · 더보기 »

유홍

유홍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유비와 유홍 · 더보기 »

육손

육손 육손(陸遜, 183년 ~ 245년 2월)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백언(伯言)이며 양주 오군 오현(吳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육손 · 더보기 »

융중대

융중대의 계획안. 융중대(隆中策)는 후한말 제갈량이 유비에게 말한 계획안으로서, 이후 삼국시대 때 촉나라의 대전략으로 기능.

새로운!!: 유비와 융중대 · 더보기 »

위 (삼국)

위(魏, 220년 ~ 265년)는 후한이 멸망한 후 삼국 중 하나로 삼국 중 가장 강대했던 나라였.

새로운!!: 유비와 위 (삼국) · 더보기 »

위략

위략(魏略)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를 중심으로 쓰여진 역사서이.

새로운!!: 유비와 위략 · 더보기 »

탁군

탁군(涿郡)은 중국의 옛 군이.

새로운!!: 유비와 탁군 · 더보기 »

탁응

탁응(卓膺, ? ~ ?)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유비와 탁응 · 더보기 »

태음력

음력(太陰曆)은 달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한 달을 정하는 역법을 말. 계절의 변화(즉, 태양의 일주)까지 고려한 달력은 태음태양력이.

새로운!!: 유비와 태음력 · 더보기 »

영가의 난

영가의 난(永嘉之亂)은 중국 서진 말기에, 이민족에 의해 일어난 반란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유비와 영가의 난 · 더보기 »

영웅

영웅(英雄)은 지혜와 재능이 뛰어나고 용맹하여 보통의 사람들이 해내기 어려운 일을 해내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유비와 영웅 · 더보기 »

오 (삼국)

오(吳, 229년 ~ 280년) 또는 동오(東吳), 손오(孫吳)는 후한이 멸망한 후, 삼국 중의 하나로 친자 3대에 걸쳐 구축되었.

새로운!!: 유비와 오 (삼국) · 더보기 »

예주

예주(豫州)는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구주 중 한 곳으로 전해 내려오는 지역이.

새로운!!: 유비와 예주 · 더보기 »

현덕

현덕(玄德, 1909년 2월 15일 ~ ?)은 일제 강점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 시인, 아동문학가이.

새로운!!: 유비와 현덕 · 더보기 »

형주

형주(荊州)는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구주 중 한 곳으로 전해 내려오는 지역이.

새로운!!: 유비와 형주 · 더보기 »

양회

양회(楊懷, ? ~ 212년)는 중국 후한 말 유장 휘하의 무장이.

새로운!!: 유비와 양회 · 더보기 »

여포

여포(呂布, ? ~ 198년 음력 12월)는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봉선(奉先)이며 병주 오원군 구원현(九原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여포 · 더보기 »

연호

연호(年號)는 한문을 사용하는 동양의 군주국가에서 쓰던 기년법을 말하는 것으로, 군주 국가에서 임금이 즉위하는 해에 붙는 연대적인 칭호이.

새로운!!: 유비와 연호 · 더보기 »

허베이성

베이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북부의 성이.

새로운!!: 유비와 허베이성 · 더보기 »

업 (지명)

양 업(鄴)은 중국의 옛 도시로, 후조·염위·전연·동위·북제의 도읍지였.

새로운!!: 유비와 업 (지명) · 더보기 »

풍습

풍습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유비와 풍습 · 더보기 »

사방장군

사방장군(四方將軍)은 대장군 밑의 전장군과 후장군, 좌장군, 우장군 4종류의 장군들을 일컫.

새로운!!: 유비와 사방장군 · 더보기 »

사군

흰색 부분이 사군이다. 4군(四郡)은 조선 세종 때 서북 방면의 여진족을 막기 위해 압록강 상류에 설치한 국방상의 요지이.

새로운!!: 유비와 사군 · 더보기 »

삼국 시대 (중국)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후한이 몰락하기 시작했던 2세기 말부터 위, 촉, 오가 세워져 서로 다투다가 서진이 중국을 통일하는 3세기 후반까지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유비와 삼국 시대 (중국) · 더보기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 삽화. 조조가 유비를 초대해 매실을 안주로 천하에 영웅이라 할 만한 사람이 누가 있는지 대화하는 장면.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는 서기 184년 황건적의 난부터 서기 280년까지 중국 대륙에서 벌어진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집필한 중국의 대표적 연의(고전역사소설)로, 명나라 때 나관중이 쓴 책이.

새로운!!: 유비와 삼국지연의 · 더보기 »

성씨

성씨(姓氏)는 성(姓)과 씨(氏)의 합성어로, 고대 중국 이후에 성과 씨의 개념이 합쳐져 만들어졌.

새로운!!: 유비와 성씨 · 더보기 »

성한

성한(成漢, 304년~347년)은 오호십육국 시대 티베트계 저족(氐族)의 일파였던 파저족(巴氐族)의 이웅(李雄)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유비와 성한 · 더보기 »

서주 (중국)

서주(徐州)는 현재의 산둥 성 동남부와 창 강 북부의 장쑤 성 일대에 존재한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구주 중 한 곳으로 전해 내려오는 지역이.

새로운!!: 유비와 서주 (중국) · 더보기 »

서서

서서(徐庶, ? ~ 234년)는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원직(元直)이며 예주 영천군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서서 · 더보기 »

손권

오 태조 대황제 손권(吳 太祖 大皇帝 孫權, 182년 음력 5월 18일 ~ 252년 음력 4월 16일)은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의 초대 황제로 자는 중모(仲謀)이며 양주(揚州) 오군(吳郡) 부춘현(富春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손권 · 더보기 »

손부인

손부인 손부인(孫夫人, ? ~ ?)은 손견(孫堅)의 딸이며, 손책(孫策)·손권(孫權)의 이복 여동생이자 유비(劉備)의 부인이.

새로운!!: 유비와 손부인 · 더보기 »

손성

손성(孫盛)은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의 역사가, 무장, 정치가이.

새로운!!: 유비와 손성 · 더보기 »

소열황후

소열황후 감씨(昭烈皇后 甘氏, ? ~ ?) 또는 감부인(甘夫人)은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초대 황제인 소열제(昭烈帝) 유비(劉備)의 두 번째 첩실(妾室)이자 그가 거느린 부인(夫人)들 중 한 명이며 뒷날 황후로 추존된 인물이.

새로운!!: 유비와 소열황후 · 더보기 »

한나라

(漢, 기원전 206년 ~ 220년)은 진 이후의 중국의 통일 왕조로서 후에 삼국으로 갈라졌다(220년 ~ 280년).

새로운!!: 유비와 한나라 · 더보기 »

한중 전투

중 전투(漢中 戰鬪)는 219년 유비와 조조가 벌인 전투로 유비가 대승을 거두고 조조를 무찔러 한중을 차지하여 촉의 힘은 2배로 커지게 되었.

새로운!!: 유비와 한중 전투 · 더보기 »

하비 전투

비 전투(下邳 戰鬪)는 198년 서주의 하비를 목표로 조조와 여포가 싸운 전투로, 조조는 이 전투에서 승리하여 서주를 되찾고 여포는 처형.

새로운!!: 유비와 하비 전투 · 더보기 »

하후돈

후돈(夏侯惇, ? ~ 220년 6월 13일)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 겸 정치가이.

새로운!!: 유비와 하후돈 · 더보기 »

하후연

후연(夏侯淵,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묘재(妙才)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하후연 · 더보기 »

쉬창 시

쉬창(허창)은 중국 허난 성의 중앙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유비와 쉬창 시 · 더보기 »

신야 전투

신야 전투(新野戰鬪)는 207년 조조의 부하 조인이 유비를 공격한 일이.

새로운!!: 유비와 신야 전투 · 더보기 »

원담

원담(袁譚, ? ~ 205년)은 후한 말의 세력가 원소의 장남으로 자는 현사(顯思)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원담 · 더보기 »

원술

원술(袁術, ? ~ 199년)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공로(公路)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원술 · 더보기 »

원술 토벌전

원술 토벌전(袁術討伐戰)은 후한말 197년 군벌 원술이 황제를 자칭하자 후한 조정의 조조와 원술에 반대하는 손책, 유비, 여포 등의 군벌들이 협공하여 원술을 멸망토록 한 전투이.

새로운!!: 유비와 원술 토벌전 · 더보기 »

원소

원소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유비와 원소 · 더보기 »

원소 (후한)

원소(袁紹, 미상 ~ 202년 6월 28일(음력 5월 21일))는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본초(本初)이며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원소 (후한) · 더보기 »

후한

후한(後漢, 25년~220년)은 전한이 신나라의 왕망에 의하여 멸망한 이후, 한 왕조의 일족인 광무제 유수가 한 왕조를 부흥시킨 나라이.

새로운!!: 유비와 후한 · 더보기 »

후한 헌제

효헌황제 유협(漢 孝獻皇帝 劉協, 181년 ~ 234년)은 후한(後漢)의 제14대이자 마지막 황제로 자는 백화(伯和)이.

새로운!!: 유비와 후한 헌제 · 더보기 »

후한말

후한말(後漢末)이란 중국사에서 기원후 189년 ~ 220년이.

새로운!!: 유비와 후한말 · 더보기 »

후한서

《후한서》(後漢書)는 중국 이십사사 중의 하나로 후한의 역사를 남북조 시대 송나라의 범엽(398년 ~ 445년)이 정리한 책이.

새로운!!: 유비와 후한서 · 더보기 »

황건적의 난

황건적의 난(黃巾賊- 亂)은 중국 후한 말기 호족 지주에 의한 토지겸병의 위기에 끊임없이 직면해 있던 농민이 황건적(黃巾賊)이 되어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유비와 황건적의 난 · 더보기 »

황권

황권(黃權, ? ~ 240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의 촉나라,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공형(公衡)이며 익주(益州) 파서군(巴西郡) 낭중현(閬中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황권 · 더보기 »

황제

황제(皇帝)는 제국(帝國)의 세습 군주의 존호이.

새로운!!: 유비와 황제 · 더보기 »

황초 (위)

황초(黃初)는 중국 조위(曹魏) 문제(文帝)의 연호이.

새로운!!: 유비와 황초 (위) · 더보기 »

황충

황충 황충(黃忠, ? ~ 220년)은 후한 말 유비 휘하의 군인으로 자는 한승(漢升)이며 형주 남양군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황충 · 더보기 »

황태자

황태자(皇太子) 또는 왕태자(王太子)는 제국과 독립 왕국의 제위계승이나 왕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황자나 왕자를 가리키는 칭호이.

새로운!!: 유비와 황태자 · 더보기 »

황완

황완(黃琬, 141년 ~ 192년)은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자염(子琰)범엽, 《후한서》 권61 좌주황열전(左周黃列傳)이며 형주 강하군 안륙현(安陸縣)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황완 · 더보기 »

환온

환온(桓溫, 312년 ~ 373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五胡十六國時代)의 동진(東晉)의 정치가, 군인, 재상.

새로운!!: 유비와 환온 · 더보기 »

화양국지

《화양국지(華陽國志)》는 중국 동진(東晉) 영화(永和) 11년(355년)에 상거(常璩)가 편찬한 화양(華陽) 즉 파(巴), 촉(蜀), 한중(漢中)의 지리지이.

새로운!!: 유비와 화양국지 · 더보기 »

왕작

작위로서의 왕(王)은 왕작(王爵)이라고도 부르며, 황제가 그 아들이나 형제 또는 공신에게 내리는 작위였.

새로운!!: 유비와 왕작 · 더보기 »

왕충 (조위)

왕충(王忠, ? ~ ?)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옹주(雍州) 부풍군(扶風郡) 사람이.

새로운!!: 유비와 왕충 (조위) · 더보기 »

왕위 요구자

왕위 요구자(王位 要求者, Pretender)는 이미 없어졌거나 혹은 다른 이가 차지한 왕위(王位, throne)에 관한 권리를 주장하는 이를 의미하는 용어인데 영어로는 이를 프리텐더(Pretender)라 부른.

새로운!!: 유비와 왕위 요구자 · 더보기 »

16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161년 · 더보기 »

1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196년 · 더보기 »

2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200년 · 더보기 »

2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205년 · 더보기 »

20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208년 · 더보기 »

2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211년 · 더보기 »

2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214년 · 더보기 »

2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215년 · 더보기 »

2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218년 · 더보기 »

2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219년 · 더보기 »

2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220년 · 더보기 »

2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221년 · 더보기 »

2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222년 · 더보기 »

2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223년 · 더보기 »

2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비와 263년 · 더보기 »

4월 24일

4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4번째(윤년일 경우 1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유비와 4월 24일 · 더보기 »

4월 6일

4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6번째(윤년일 경우 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유비와 4월 6일 · 더보기 »

5월 15일

5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5번째(윤년일 경우 13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유비와 5월 15일 · 더보기 »

6월 10일

6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1번째(윤년일 경우 1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유비와 6월 10일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유비와 7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류비, 촉 선주, 촉한 선주, 촉한 소열제, 유 비, 유비 현덕, 유현덕, 유황숙, 열조 소열제, 열조 소열황제, 소열제, 소열황제, 한나라 소열황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