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소학언해

색인 소학언해

국립한글박물관에 전시된 소학언해 소학언해(小學諺解)는 중국의 주자가 지은 《소학》(小學)을 조선 선조 20년인 1587년에 정구 등 학자들이 한국어로 언해한 책이.

9 처지: 정구 (1543년), 조선 선조, 주희, 중국, , 언해, 한국어, 훈민정음, 1587년.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새로운!!: 소학언해와 정구 (1543년)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소학언해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주희

주자 주희(朱熹, 1130년 ~ 1200년)는 중국 남송의 유학자로, 주자(朱子), 주부자(朱夫子), 주문공(朱文公) 송태사휘국문공(宋太師徽國文公)이라는 존칭이나 봉호로도 불린.

새로운!!: 소학언해와 주희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소학언해와 중국 · 더보기 »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홍길동전 책(冊)은 일정한 목적으로 쓴 글 및 참고 자료 등을 덧붙여 묶은 것이.

새로운!!: 소학언해와 책 · 더보기 »

언해

언해(諺解)는 조선 시대에 한문으로 적힌 문장을 다시 한글로 직역했던 것을 말. 언해한 문장을 언해문(諺解文), 언해한 책을 언해본(諺解本) 또는 언해서(諺解書)라 부른.

새로운!!: 소학언해와 언해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소학언해와 한국어 · 더보기 »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새로운!!: 소학언해와 훈민정음 · 더보기 »

1587년

15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소학언해와 1587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