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언해

색인 언해

언해(諺解)는 조선 시대에 한문으로 적힌 문장을 다시 한글로 직역했던 것을 말. 언해한 문장을 언해문(諺解文), 언해한 책을 언해본(諺解本) 또는 언해서(諺解書)라 부른.

10 처지: 근대 한국어, 노걸대, 조선, 중세 한국어, 언해구급방, 소학언해, 한문, 한글, 훈민정음, 훈민정음 언해.

근대 한국어

국어(近代韓國語)는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한국어를 이르며 구체적으로는 임진왜란(1592년)부터 개화기(19세기 말)까지의 한국어를 가리.

새로운!!: 언해와 근대 한국어 · 더보기 »

노걸대

《몽어노걸대》 노걸대(老乞大)는 조선 시대의 중국어 교본이.

새로운!!: 언해와 노걸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언해와 조선 · 더보기 »

중세 한국어

중세 한국어(中世韓國語, Middle Korean)는 고대 한국어 이후 중앙어가 경주말에서 개성말로 옮겨간 10세기에서 16세기 사이 한반도에서 쓰였던 한국어를 말.

새로운!!: 언해와 중세 한국어 · 더보기 »

언해구급방

《언해구급방》(諺解救急方)은 조선시대 허준이 쓴 위급한 환자를 구하는 응급조치용 약방문(藥方文)을 번역하여 한글로 쓴 목활자본 책이.

새로운!!: 언해와 언해구급방 · 더보기 »

소학언해

국립한글박물관에 전시된 소학언해 소학언해(小學諺解)는 중국의 주자가 지은 《소학》(小學)을 조선 선조 20년인 1587년에 정구 등 학자들이 한국어로 언해한 책이.

새로운!!: 언해와 소학언해 · 더보기 »

한문

문(漢文)은 고전 문어체 중국어를 말. 한자로 쓴.

새로운!!: 언해와 한문 · 더보기 »

한글

은 조선 제 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한 문자로,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

새로운!!: 언해와 한글 · 더보기 »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새로운!!: 언해와 훈민정음 · 더보기 »

훈민정음 언해

훈민정음 언해 훈민정음 언해(訓民正音諺解)는 한문으로 된 《훈민정음》에서 어제 서문과 예의(例義) 부분만을 한글로 풀이하여 간행한 것이.

새로운!!: 언해와 훈민정음 언해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언해문, 언해본, 언해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