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충돌사건

색인 충돌사건

적의 지구에 충돌하는 미행성을 그린 천체 예술가의 상상화. 충돌사건(衝突事件, impact event)은 거대한 운석, 소행성.

33 처지: 리틀 보이, 미국 지질조사국, 미행성, 백악기-제3기 절멸 사건, 거대충돌 가설, 대량절멸, 네메시스 (항성), , 운석, 히로시마 시, 종 (생물학), 중간권, 증발, 지구, 지구 접근 천체, 지구의 역사, 충돌, 충돌구, 칙술루브 충돌구, 유성체, 생명기원, 혜성, 행성, 세제곱수, 토리노 척도, 소행성, 한겨레, 퉁구스카 폭발사건, 화산, SF (장르), TNT, (29075) 1950 DA, 2012년 종말론.

리틀 보이

리틀 보이(Little Boy)는 1945년 8월 6일,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에 부여된 코드명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리틀 보이 · 더보기 »

미국 지질조사국

미국 지질조사국 로고 본부 건물 미국 지질조사국(地質調査局, 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은 미국 내무부 산하의 연구기관으로, 1879년 3월 3일, 의회 차원에서 설립되었.

새로운!!: 충돌사건와 미국 지질조사국 · 더보기 »

미행성

미행성(planetesimal)은 태양계가 생겨날 때 존재했던 것으로 생각되는 작은 천체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미행성 · 더보기 »

백악기-제3기 절멸 사건

백악기-제3기 대량절멸(Cretaceous–Tertiary extinction event)은 약 6600만년전 백악기 마스트리히트절말에 일어나, 지질학적으로 짧은 기간내에 동식물의 여러 종이 대량절멸을 한 사건을 가리.

새로운!!: 충돌사건와 백악기-제3기 절멸 사건 · 더보기 »

거대충돌 가설

빅 스플래시 가설의 개념도. 남극에서 바라본 모습. 테이아가 생겨난 뒤 지구로 끌려 와 부딪히는 과정을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낸 것. 애니메이션의 재생 단위는 1년으로, 지구는 매년 같은 시각에 같은 자리에 돌아와 있으므로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다. 남극에서 바라본 모습. 거대충돌 가설 또는 빅 스플래시는 달의 생성을 설명해 주는 과학적 가설들 중 현재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으로, 젊은 지구와 화성 정도 질량의 '테이아' 또는 '오르페우스', '헤파에스투스'라고 불리는 물체가 충돌하여 달이 생겨났다는 것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거대충돌 가설 · 더보기 »

대량절멸

량절멸(大量絶滅) 또는 대량멸종(大量滅種), 멸종사건(滅種事件)이란 거시적인 생물군의 다양성과 개체 수에 있어서 급속한 감소가 일어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종 형성의 정도에 비해 종 사멸이 더 급격히 일어날 때 발생.

새로운!!: 충돌사건와 대량절멸 · 더보기 »

네메시스 (항성)

메시스의 상상도. 근처에는 파편 물질들로 가득하며, 그림 중앙에는 태양이 희미하게 보인다. 네메시스(Nemesis)는 태양에서 약 5만~10만 AU 떨어진 궤도를 돌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적색왜성 또는 갈색왜성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네메시스 (항성) · 더보기 »

(moon)은 지구의 유일한 영구한 자연위성으로, 태양계내의 위성 중 5번.

새로운!!: 충돌사건와 달 · 더보기 »

운석

윌라메트 운석 운석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내부 구조인 비드만스태텐 구조 운석(隕石) 또는 별똥돌()은 우주공간으로부터 지구에 진입한 암석이 지구 대기와의 마찰에 타고 남아 지표면에서 발견된 것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운석 · 더보기 »

히로시마 시

히로시마 시(광도시)는 히로시마현의 현청 소재지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히로시마 시 · 더보기 »

종 (생물학)

종(種)은 생물 분류 단계 중 가장 낮은 단계이며 속의 아래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종 (생물학) · 더보기 »

중간권

섬네일 지구의 대기, 중간권(mesosphere)은 성층권 위 부분 중간권(中間圈)은 지구 대기권의 하나로 지표면으로부터 50 - 80 km 정도의 영역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중간권 · 더보기 »

증발

수증기가 뜨거운 차 응축물이 눈에 보이는 작은 물방울로 증발하고 있다. 기체 상태의 물은 보이지 않지만 물방울 구름은 응결을 통해 일어난 증발의 증거라고 할 수 있다.증발(蒸發,Evaporation)은 액체 표면의 원자나 분자가 끓는점 미만에서 기화하는 현상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증발 · 더보기 »

지구

(地球, Earth)는 태양으로 부터 세번째 행성이며, 엷은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지구형 행성 중에서 가장.

새로운!!: 충돌사건와 지구 · 더보기 »

지구 접근 천체

니어 슈메이커 탐사선이 방문한 지구 접근 천체 433 에로스 지구접근천체(地球接近天體)는 지구로부터 0.3AU 이내에 접근하는 천체로 정의.

새로운!!: 충돌사건와 지구 접근 천체 · 더보기 »

지구의 역사

학적 시간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 지구의 역사는 지구가 형성된 이후 현재까지의 역사를 간단히 기술.

새로운!!: 충돌사건와 지구의 역사 · 더보기 »

충돌

충돌(衝突)은 물리학에서 두 물체가 서로의 운동에 간섭하는 현상으로 정의.

새로운!!: 충돌사건와 충돌 · 더보기 »

충돌구

충돌구 충돌구는 단단한 표면을 가진 천체에 다른 작은 천체가 충돌했을 때 생기는 특징적인 형태의 구덩이를 말. 운석구덩이, 크레이터(crater) 또는 운석공(隕石孔)이라고 칭. 흔히 둥근 모양이지만 충돌한 천체의 입사각도가 낮을 때는 타원 모양으로 생. 충돌구의 중앙에는 센트럴 피크라고 하는 언덕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고 지구상의 충돌구에는 물이 고여 호수.

새로운!!: 충돌사건와 충돌구 · 더보기 »

칙술루브 충돌구

NASA의 칙술루브 충돌구 이미지, 충돌구 주변의 세노테들은 당시 충돌의 영향으로 생겨난 분지들로 추정된다. 칙술루브 충돌구()는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에 위치한 거대한 운석 충돌구로 충돌구의 직경은 약 180 km 이고 깊이는 약 20 km 이며, 칙술루브 충돌구라는 이름은 충돌구의 중심이 멕시코의 칙술루브라는 도시와 가까워서 붙여진 이름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칙술루브 충돌구 · 더보기 »

유성체

유성체(流星體, Meteoroid) 또는 별찌는 태양계에 존재하는 바위에서 모래 정도 크기의 작은 물체들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유성체 · 더보기 »

생명기원

선캄브리아 시대의 스트로마톨라이트. 생명의 기원은 생명이 특정한 환경에서 유기 화합물과 같은 무생물로부터 자연 발생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생명기원 · 더보기 »

혜성

헤일-밥 혜성. 1997년 3월 촬영 혜성(彗星) 또는 살별은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 중의 하나로, 태양 복사에 의해 핵으로부터 발생한 코마(핵을 둘러싼 구름층)와 꼬리를 갖. 혜성은 홍수, 기근, 전염병 등을 불러 일으키는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으나, 영국의 에드먼드 핼리가 핼리 혜성의 주기를 계산, 다음 출현을 예견함으로써 태양계의 천체임을 입증하였.

새로운!!: 충돌사건와 혜성 · 더보기 »

행성

639x639픽셀 행성(行星, planet)은 항성의 둘레를 도는 천체의 한 부류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행성 · 더보기 »

세제곱수

세제곱수 또는 입방수(立方數, Cubic number)란 어떤 수를 3번 거듭 곱해서 나오는 수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세제곱수 · 더보기 »

토리노 척도

X축: 일어날 확률, Y축: 운동 에너지 (메가톤) 토리노 척도()는 지구 접근 천체(NEO)가 지구에 충돌할 확률 및 충돌했을 경우의 예측 피해 상황을 나타내는 척도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토리노 척도 · 더보기 »

소행성

소행성 433 에로스의 사진 소행성(小行星)은 목성 궤도 및 그 안쪽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보다 작은 천체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소행성 · 더보기 »

한겨레

(The Hankyoreh)는 대한민국의 중앙 일간지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한겨레 · 더보기 »

퉁구스카 폭발사건

폭발로 쓰러진 나무. 1927년 쿨리크의 탐사에서 촬영 퉁구스카 폭발사건은 1908년 6월 30일 오전 7시 17분경에 지금의 러시아 시베리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즉, 예니세이 강의 지류인 포트카멘나야퉁구스카 강 유역 북위 60° 55′, 동경 101° 57′ 지점의 밀림에서 발생한, 원인을 알 수 없는 대규모의 공중폭발 사건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퉁구스카 폭발사건 · 더보기 »

화산

자와 섬의 세메루 산 해저 화산의 개념도. 화산(火山)은 마그마 등의 물질이 행성 표면을 뚫고 나와 분출하여 만들어진 지형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화산 · 더보기 »

SF (장르)

사이언스 픽션() 또는 줄여서 SF는 미래의 배경, 미래의 과학과 기술, 우주 여행, 시간여행, 초광속 여행, 평행우주, 외계 생명체 등의 상상적 내용을 담은 픽션 장르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SF (장르) · 더보기 »

TNT

TNT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충돌사건와 TNT · 더보기 »

(29075) 1950 DA

(29075) 1950 DA는 지구근접 천체 중 아폴로족 소행성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29075) 1950 DA · 더보기 »

2012년 종말론

2012년 종말론은 1999년 종말론에 이어 나타난 종말론으로, 2012년 12월에 지구가 멸망할 것이라는 설이.

새로운!!: 충돌사건와 2012년 종말론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충돌, 천체 충돌, 천체충돌, 충돌 사건, 운석 충돌, 소행성 충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