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덩이짓기
억하기 좋게 띄어쓴 전화번호 게시판 덩이짓기(Chunking, 청킹)는 정보를 의미있는 묶음으로 만드는 것을 말. 인지심리학과 기억법에서는 이것이 인간의 뇌가 기억하는 방법이 장기기억과 단기기억으로 나뉘고 특히 단기기억은 그 정보의 처리가 한계가 있음을 발견한 1956년의 조지밀러의 연구 《마법의 숫자 7±2: 인간의 정보처리능력의 한계》에서 7±2가 그 용량인 것으로 제시되었.
보다 속독와 덩이짓기
묵독
묵독(默讀)은 소리내지 않고 속으로 글을 읽는 행위를 뜻. 현재 읽기 방법 중에 묵독이 자주 사용되는 것으로 확인.
보다 속독와 묵독
미독
미독(味讀)은 책이나 문장을 충분히 음미하면서 읽는 읽기 방식이.
보다 속독와 미독
발췌해서 읽기
발췌해서 읽기는 책을 전체적으로 다 읽는 것이 아니라, 읽고 싶은 부분만을 지목해서 해당 부분만 읽어내려가는 읽기 방식이.
보다 속독와 발췌해서 읽기
읽기
읽기는 인쇄된 문자나 글로 쓴 것으로부터 뜻을 얻어내는 인지 과정이.
보다 속독와 읽기
음독
음독(音讀)은 한자를 음으로 읽는 방식을 의미.
보다 속독와 음독
정독
정독(精讀)은 읽기 방식중의 하나로 글을 읽을 때 뜻을 알고 생각하고자 하는 부분에서 앞 뒤 문장에서 문장에 대한 각각의 연결, 단어의 연결을 보고 해당 문장이나 단어의 의미를 생각하고 새겨가며 읽는 읽기 방식이.
보다 속독와 정독
통독 (읽기)
통독(通讀)은 글이나 문장, 혹은 책 등을 처음부터 끝까지 제목, 차례, 문단의 주제 등 처음부터 끝까지 훑어읽는 읽기 방식을 뜻.
보다 속독와 통독 (읽기)
참고하세요
읽기
또한 속독법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