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심지원

색인 심지원

심지원(沈之源, 1593년 ~ 1662년)은 조선의 문신이.

39 처지: 도승지, 감찰, 검열, 병자호란, 병조, 대사헌, 대사성, 교리, 남한산성, 용지면, 우의정, 장령, 이조, 인조반정, 조선, 조선 광해군, 조선 인조, 좌의정, 집의, 지평, 청송 심씨, 윤관, 윤휴, 파평 윤씨, 영의정, 허목, 사간원, 씹기, 1593년, 1614년, 1620년, 1623년, 1630년, 1636년, 1643년, 1648년, 1653년, 1662년, 2006년.

도승지

승지(都承旨)는 조선의 정3품 당상관직으로 도령(都令)으로도 불리었.

새로운!!: 심지원와 도승지 · 더보기 »

감찰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심지원와 감찰 · 더보기 »

검열

열(檢閱) 또는 센서십()은 공권력이 어떤 내용의 표현이나 공개를 통제하는 것을 말. 검열은 신문·잡지·서적·라디오·텔레비전·영화 등 여러 매체가 대상이 될 수 있. 보통 검열은 심사 등을 통해 내용 발표 자체를 막는 사전 검열에 해당하며, 내용의 발표 후에 공권력이 이것을 심사하여 위법성이 있다고 인정할 때 법원에 고발하는 것, 즉 사회의 제재(制裁)라는 형식에 의한 제약은 사후 검열이라고 할 수 있.검열, 《글로벌 세계 대백과》.

새로운!!: 심지원와 검열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심지원와 병자호란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지원와 병조 · 더보기 »

대사헌

사헌(大司憲)은 도헌(都憲) 또는 대헌(大憲)이.

새로운!!: 심지원와 대사헌 · 더보기 »

대사성

사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심지원와 대사성 · 더보기 »

교리

리(敎理, doctrina)는 체계화된 종교의 본질적인 가르침을 뜻. 대부분의 종교는 각자 독자적인 교리를 채택하고 있. 교리는 그 종교를 믿는 사람들에게 믿음의 근거와 가치 판단의 기준을 제공.

새로운!!: 심지원와 교리 · 더보기 »

남한산성

산성(南漢山城)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에 걸쳐 있는 남한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성이.

새로운!!: 심지원와 남한산성 · 더보기 »

용지면

용지면(龍池面)은 대한민국의 전라북도 김제시에 설치된 면이.

새로운!!: 심지원와 용지면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심지원와 우의정 · 더보기 »

장령

장령(掌令)은 조선시대 사헌부의 정4품 관직이.

새로운!!: 심지원와 장령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심지원와 이조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심지원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심지원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심지원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심지원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심지원와 좌의정 · 더보기 »

집의

집의(執義)는 조선시대 사헌부에 있던 종3품 관직이.

새로운!!: 심지원와 집의 · 더보기 »

지평

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심지원와 지평 · 더보기 »

청송 심씨

청송 심씨(靑松 沈氏)는 경상북도 청송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심지원와 청송 심씨 · 더보기 »

윤관

윤관(尹瓘, 미상 ~ 1111년 6월 15일 (음력 5월 8일))은 고려 중기의 문신·군인이.

새로운!!: 심지원와 윤관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심지원와 윤휴 · 더보기 »

파평 윤씨

평 윤씨(坡平尹氏)는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심지원와 파평 윤씨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심지원와 영의정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심지원와 허목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심지원와 사간원 · 더보기 »

씹기

씹기, 또는 저작(咀嚼)은 입 안의 이로 음식을 갈고 뭉게는 과정이.

새로운!!: 심지원와 씹기 · 더보기 »

1593년

15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심지원와 1593년 · 더보기 »

1614년

16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심지원와 1614년 · 더보기 »

1620년

162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심지원와 1620년 · 더보기 »

1623년

162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심지원와 1623년 · 더보기 »

1630년

163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심지원와 1630년 · 더보기 »

1636년

163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심지원와 1636년 · 더보기 »

1643년

164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심지원와 1643년 · 더보기 »

1648년

164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심지원와 1648년 · 더보기 »

1653년

165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심지원와 1653년 · 더보기 »

1662년

166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심지원와 1662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심지원와 2006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