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아야남사

색인 아야남사

6000년 동안의 황도상의 춘분점의 경로 아야남사(산스크리트어 ayanāṃśa: 야야나 "이동" + 암사 "요소") 또는 아야나바가(bhāga "부분") 또는 아야남샤는 인도 점성술에 사용되는 세차운동의 양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용어이.

13 처지: 고유운동, 자전축의 세차운동, 힌두 점성술,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춘분점, 산스크리트어, 세차 운동, 서양 점성술, 항성, 항성황도대와 회귀황도대, 시릴 페이건, 황도, 황도 좌표계.

고유운동

유운동(proper motion, 固有運動)은 한 항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천구 위에서 위치를 바꾸는 것을 말. 고유운동은 각속도로 표시되며, 지구상 관측자의 시선과 직각 방향의 값이.

새로운!!: 아야남사와 고유운동 · 더보기 »

자전축의 세차운동

의 세차운동: 지구는 (흰색 화살표 방향으로) 하루에 한번씩 자전하며, 그 축은 (흰색원을 따라) 천천히 회전하며, 거의 25,800년에 걸쳐 그 회전의 주기를 마친다. 자전축의 세차운동(自轉軸之 歲差運動, axial precession)은 천문학에서 천체의 자전축의 방향에서 일어나는 중력으로 인한 느리고 연속적인 변화이.

새로운!!: 아야남사와 자전축의 세차운동 · 더보기 »

힌두 점성술

조티샤(또는 산스크리트어로 "빛과 천체"를 뜻하는 조티스에서 파생된 조티시)는 힌두의 점성술과 천문학의 체계이.

새로운!!: 아야남사와 힌두 점성술 · 더보기 »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AD 83년경 ~ 168년경)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천문학자, 지리학자, 점성학자이.

새로운!!: 아야남사와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 더보기 »

춘분점

분점(春分點, vernal equinox)은 태양의 이동경로인 황도가 천구적도와 교차하는 두 점 중 하나이.

새로운!!: 아야남사와 춘분점 · 더보기 »

산스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간칭 범어(梵語)는 인도의 고전어로, 힌두교대승불교자이나ㆍ교 경전의 언어이자 수많은 인도 제어의 고급 어휘의 근간을 구성하는 언어이.

새로운!!: 아야남사와 산스크리트어 · 더보기 »

세차 운동

자이로스코프의 세차 운동 세차운동(歲差運動) 또는 옆돌기운동은 회전하는 천체나 물체의 회전축 자체가 도는 형태의 운동이나 그 현상을 말.

새로운!!: 아야남사와 세차 운동 · 더보기 »

서양 점성술

서양 점성술(西洋 占星術, Western astrology)는 수세기 동안 서양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점성술 체계이.

새로운!!: 아야남사와 서양 점성술 · 더보기 »

항성

이다. 항성(恒星) 또는 붙박이별은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전리된 기체)가 중력으로 뭉쳐서 밝게 빛나는 구(球)형 천체이.

새로운!!: 아야남사와 항성 · 더보기 »

항성황도대와 회귀황도대

항성년(恒星年, sidereal)과 회귀년(回歸年, tropical)은 두 가지 "연(年, years)"의 다른 정의를 기술할 때 사용되는 용어이.

새로운!!: 아야남사와 항성황도대와 회귀황도대 · 더보기 »

시릴 페이건

시릴 페이건(Cyril Fagan)(1896년 5월 22일 아일랜드 더블린 ~ 1970년 1월 5일 미국 애리조나 주 투손)은 서양에서 항성황도대 점성술의 역사적 사용을 주장했던 점성가이며, 회귀황도대 점성술과는 별개의 분야로 그것을 정립.

새로운!!: 아야남사와 시릴 페이건 · 더보기 »

황도

지동설에서의 황도. 황도(黃道)는 하늘에서 해가 한 해 동안 지나는 길로, 지구의 공전에 의. 황도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의 궤도면과 천구가 만나는 커다란 원이며, 하늘의 적도와 약 23.5˚기울어져 있. 춘/추분에 하늘의 적도와 교차하므로 이때 해의 위치를 춘/추분점이라 하고 하지일 때를 하지점, 동지일 때를 동지점이.

새로운!!: 아야남사와 황도 · 더보기 »

황도 좌표계

200px 황도 좌표계(黃道座標系)는 황도와 춘분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계를 말.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의 궤도면은 천구의 적도와 23.5°만큼 기울어져 있고, 황도와 천구의 적도는 두 교점(춘분점과 추분점)에서 교차하는데, 천문학에서는 이들 중에서 춘분점을 황도의 기준점으로 사용하고 있.

새로운!!: 아야남사와 황도 좌표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야야나바가, 아야남샤.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