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약식

색인 약식

약식 (藥食) 한국 요리 중 떡의 일종으로, 찹쌀에 밤, 대추, 잣을 섞어 찐 후에, 참기름, 꿀, 간장 등으로 버무려 만든 음식이.

35 처지: 밤 (열매), 간장, 결혼식, 경주시, 벌꿀, 고려, 부천대학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까마귀, 대추나무, , 남산 (경주), , 잔치, 일연, 제사, 절식, 정약용, 정월 대보름, 조선 순조, 중탕, 찹쌀, 태음력, 삼국유사, 한국, 한국 요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어, 신라, 시루, , 환갑, 1281년, 1819년, 488년.

밤 (열매)

유럽밤나무의 열매인 밤 대한민국의 밤 밤은 밤나무의 열매로 지름 2.5∼4cm로서 짙은 갈색으로 익. 가을철에 지름 2.5∼4cm로서 짙은 갈색으로 익. 한국에서 재배하는 품종은 재래종 가운데 우량종과 일본밤을 개량한 품종이.

새로운!!: 약식와 밤 (열매) · 더보기 »

간장

국의 전통 간장 간장()은 음식의 간을 맞추는, 짠맛이 나는 흑갈색 액체 장으로, 콩을 소금물에 발효시켜 만. 장(醬) 또는 장유(醬油)라고도 부른.

새로운!!: 약식와 간장 · 더보기 »

결혼식

서양의 결혼식 결혼식(結婚式)은 혼인이나 비슷한 경우로 두 사람이 결합할 때 치르는 행사이며, 종교적 주관자나 정부 허가의 세속적 절차로 시행될 수 있. 결혼식은 제3자에 의해 진행되지만, 많은 종교전통에서 결혼에 대해 두 사람이 선서하게 하고, 하객들의 목격, 지지, 정당화를.

새로운!!: 약식와 결혼식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약식와 경주시 · 더보기 »

벌꿀

나무 빛깔의 꿀을 옮기는 도구와 핫케이크 일종인 스쿤과 함께 보이는 꿀단지. 메역취의 받침 위에 있는 꿀벌. 벌꿀()은 꿀벌이 꽃의 밀선에서 빨아내어 축적한 감미료(당분)이.

새로운!!: 약식와 벌꿀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약식와 고려 · 더보기 »

부천대학교

부천대학교(富川大學校, Bucheon University)는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사립 전문대학이.

새로운!!: 약식와 부천대학교 · 더보기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지금까지도 발행되는 것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영어로 쓰인 백과사전이.

새로운!!: 약식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더보기 »

까마귀

뿔까마귀의 모습 까마귀는 까마귀과의 까마귀속에 속하는 커다란 참새목 새이.

새로운!!: 약식와 까마귀 · 더보기 »

대추나무

매나무과 대추나무(Zizyphus jujuba Mill. var. inermis Bge.)의 열매이.

새로운!!: 약식와 대추나무 · 더보기 »

양한 색상의 떡 떡은 주로 멥쌀이나 찹쌀, 또는 다른 곡식을 쪄서 찧거나 가루 내어 쪄서 빚어 만든 음식을 통칭하는 말이.

새로운!!: 약식와 떡 · 더보기 »

남산 (경주)

산(南山)은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탑동, 배동, 내남면에 걸쳐있는 산이.

새로운!!: 약식와 남산 (경주) · 더보기 »

잣. 까기 전후의 모습. 잣은 소나무속 나무에서 나오는, 먹을 수 있는 씨앗이.

새로운!!: 약식와 잣 · 더보기 »

잔치

미국, 생일 잔치에 초대 및 참가한 사람들 잔치는 기쁜 일이 있을 때 여러 사람이 모여 즐기는 일이.

새로운!!: 약식와 잔치 · 더보기 »

일연

일연(一然, 속명(본명) 전견명(全見明), 1206년 7월 18일(음력 6월 11일) ~ 1289년 7월 26일(음력 7월 8일))은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로, 보각국사(普覺國師).

새로운!!: 약식와 일연 · 더보기 »

제사

제사상 제사(祭祀) 또는 제례(祭禮)는 천지신명을 비롯한 신령이나 죽은 이의 넋, 귀신 등에게 제물(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표하는 행위이.

새로운!!: 약식와 제사 · 더보기 »

절식

절식은 명절을 맞아 그 뜻을 기리면서 만들어 먹는 전통 음식이.

새로운!!: 약식와 절식 · 더보기 »

정약용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문암일인(門巖逸人), 당호는 여유당(與猶堂)이다.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새로운!!: 약식와 정약용 · 더보기 »

정월 대보름

정월 대보름(正月 大보름) 또는 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오기일(烏忌日)이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

새로운!!: 약식와 정월 대보름 · 더보기 »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약식와 조선 순조 · 더보기 »

중탕

초콜릿 중탕하기 중탕(重湯)은 음식이 담긴 그릇을 끓는 물에 넣어 익히거나 데우는 것이.

새로운!!: 약식와 중탕 · 더보기 »

찹쌀

찹쌀 찹쌀()은 찰떡 등의 원료가 되는 쌀이.

새로운!!: 약식와 찹쌀 · 더보기 »

태음력

음력(太陰曆)은 달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한 달을 정하는 역법을 말. 계절의 변화(즉, 태양의 일주)까지 고려한 달력은 태음태양력이.

새로운!!: 약식와 태음력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약식와 삼국유사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약식와 한국 · 더보기 »

한국 요리

국 요리(韓國料理)는 한국의 음식을 뜻. 복잡한 궁중 요리에서부터 지방의 특색 요리와 현대의 퓨전 요리에 이르기까지 재료와 조리법이 매우 다양.

새로운!!: 약식와 한국 요리 · 더보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은 한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체계적으로 정리, 집대성하여 편찬한 백과사전이.

새로운!!: 약식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약식와 한국어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약식와 신라 · 더보기 »

시루

청동기 시대의 시루 시루 시루는 떡, 쌀 등을 찌는 데 쓰는 둥근 질그릇이.

새로운!!: 약식와 시루 · 더보기 »

양궁 대회 활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무기 중의 하나이.

새로운!!: 약식와 활 · 더보기 »

환갑

환갑(還甲)은 만 60세의 생일을 축하하는 한국의 전통 문화로, 회갑(回甲)이.

새로운!!: 약식와 환갑 · 더보기 »

12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약식와 1281년 · 더보기 »

1819년

181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약식와 1819년 · 더보기 »

48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약식와 488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약밥, 약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