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려

색인 조려

원주 치악산의 삼공제명암 (오른쪽 첫 번째가 원호 (관란), 가운데는 조려 (어계), 왼쪽은 이수형 (도촌)) 조려(趙旅, 1420년 ~ 1489년)는 조선 세종, 문종, 단종 때의 문신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

44 처지: 동지, 백이와 숙제, 박팽년, 경상도, 경상남도, 공조, 권절, 금성대군, 김시습, 남효온, 이맹전, 이조, 이수형 (1435년), 의금부, 전서, 정보 (조선), 조선, 조선 단종, 조선 세조, 참판, 추증, 치악산, 판서, 생육신, 오위, 사복시, 사육신, 성균관, 성담수, 성삼문, 함안 조씨, 함안 생육신 조려 유적, 함안군, 원주, 원호 (조선), 1420년, 1453년, 1456년, 1457년, 1489년, 1698년, 1703년, 1706년, 1781년.

동지

동지(冬至)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서, 태양 황경이 270도가 되는 때이.

새로운!!: 조려와 동지 · 더보기 »

백이와 숙제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는 상나라 말기의 형제로, 끝까지 군주에 대한 충성을 지킨 의인으로 알려져 있. 백이와 숙제에 관한 이야기는 《사기》의 열전에 나온.

새로운!!: 조려와 백이와 숙제 · 더보기 »

박팽년

박팽년(朴彭年, 1417년 ~ 145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겸 학자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려와 박팽년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조려와 경상도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조려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공조

공조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조려와 공조 · 더보기 »

권절

절(權節, 1422년 ~ 1494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려와 권절 · 더보기 »

금성대군

성대군 이유(錦城大君 李瑜, 1426년 5월 5일/음력 3월 28일~1457년 11월 7일/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조려와 금성대군 · 더보기 »

김시습

시습(金時習, 1435년 ~ 1493년)은 조선 초기의 문인, 학자이.

새로운!!: 조려와 김시습 · 더보기 »

남효온

효온의 글씨 남효온(南孝溫, 1454년~149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고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려와 남효온 · 더보기 »

이맹전

이맹전(李孟專, 1392년 ~ 1480년)은 조선 단종 때 문신,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려와 이맹전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조려와 이조 · 더보기 »

이수형 (1435년)

이수형(李秀亨, 1435년 ~ 1528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새로운!!: 조려와 이수형 (1435년)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조려와 의금부 · 더보기 »

전서

전서(篆書)는 한자 서체의 종류 중. 고문의 자체와 서풍이 정리된 것으로서 대전(大篆)·소전(小篆)의 2종이 있. 대전은 주문(籒文)이라고도 불리고 주(周)의 사주(史籒)가 만들었다고도 전. 소전은 대전의 체세(體勢)를 길게, 점획(点劃)를 방정하게 하여 서사(書寫)를 편리하게 한 것으로서 진시황제의 문자통일 때에 승상 이사(李斯)가 창시하였다고 전. 분류:한자 서체 분류:서예.

새로운!!: 조려와 전서 · 더보기 »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조려와 정보 (조선)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려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단종

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

새로운!!: 조려와 조선 단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조려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조려와 참판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조려와 추증 · 더보기 »

치악산

악산 국립공원 치악산(雉岳山)은 강원도 원주시와 횡성군의 경계에 있는 산이.

새로운!!: 조려와 치악산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새로운!!: 조려와 판서 · 더보기 »

생육신

생육신(生六臣)은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명의 신하를 말. 세조의 찬위 사건을 불의의 행위로 단정하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원칙에 따라 두문(杜門) 혹은 방랑으로 일생을 보. 이들은 벼슬을 버리고 단종을 추모하면서 절개를.

새로운!!: 조려와 생육신 · 더보기 »

오위

오위(五衛)는 조선시대 중앙군으로 세조 3년(1457년) 삼군부를 5위로 개편하고 5위진무소가 이를 총괄케 했는데 그 후 5위진무소(五衛鎭撫所)는 5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칭되었.

새로운!!: 조려와 오위 · 더보기 »

사복시

사복시(司僕寺)는 조선시대 왕이 타는 말, 수레 및 마구와 목축에 관한 일을 맡던 관청이.

새로운!!: 조려와 사복시 · 더보기 »

사육신

량진공원 의절사 사육신(死六臣)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조려와 사육신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조려와 성균관 · 더보기 »

성담수

성담수(成聃壽, ?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은일사로, 세조 때 단종 폐위에 분개하여 벼슬을 사직한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려와 성담수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려와 성삼문 · 더보기 »

함안 조씨

안 조씨(咸安 趙氏)는 경상남도 함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려와 함안 조씨 · 더보기 »

함안 생육신 조려 유적

안 생육신 조려 유적(咸安 生六臣 趙旅 遺蹟)은 경상남도 군북면 원북리에 있는, 생육신 조려와 관련된 서산서원과 채미정 그리고 원 서산서원 터인 원동재를 포함한 유적이.

새로운!!: 조려와 함안 생육신 조려 유적 · 더보기 »

함안군

안군(咸安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앙에 있는 군이.

새로운!!: 조려와 함안군 · 더보기 »

원주

원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려와 원주 · 더보기 »

원호 (조선)

원주 치악산의 삼공제명암 (오른쪽 첫 번째가 원호 (관란), 가운데는 조려 (어계), 왼쪽은 이수형 (도촌)) 원호(元昊, 1397년 ∼ 1463년)는 조선 단종 때의 문신·학자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조려와 원호 (조선) · 더보기 »

14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려와 1420년 · 더보기 »

14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려와 1453년 · 더보기 »

14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려와 1456년 · 더보기 »

14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려와 1457년 · 더보기 »

148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려와 1489년 · 더보기 »

1698년

169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려와 1698년 · 더보기 »

1703년

170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려와 1703년 · 더보기 »

1706년

170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려와 1706년 · 더보기 »

1781년

178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려와 1781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조여, 조여 (어계), 어계 조려, 어계 조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