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육진팔광

색인 육진팔광

육진팔광(六眞八匡)은 효민공(孝敏公) 석문(石門) 이경직(李景稷)의 증손 북곡(北谷) 이진유(李眞儒)가 영조 6년(1730년) 고령의 나이에 문초(고문)로 옥사(사망)하자 일제히 벼슬을 버리고 강화도(江華島)로 들어가 살아갈 터를 잡은 후, 출사(出仕)를 단념하고 오로지 학문에만 힘썼던 그 후손들을 말.

32 처지: 덕천군 (1397년), 갑산군, 강화도, 강화학파,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관악구, 분당구, 국립중앙박물관, 남현동, 노론, 효민공 이경직 묘역, 운중동, 이건방, 이건승, 이건창, 이경직, 이경석 (1595년), 이광려, 이광사, 정제두, 조선 경종, 조선 정조,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지식인, 양명학, 사간원, 사헌부, 세자익위사, 소론, 1730년, 1925년.

덕천군 (1397년)

덕천군 이후생(德泉君 李厚生, 1397년 ~ 1465년)은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열째 왕자로, 시호는 적덕공(積德公)이며,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덕천군 (1397년) · 더보기 »

갑산군

갑산군(甲山郡)은 량강도 중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갑산군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강화도 · 더보기 »

강화학파

강화학파(江華學派)는 조선 후기에 정제두(鄭齊斗) 등에 의해 창시된 양명학파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강화학파 · 더보기 »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강화학파(江華學派) 육대계승(六代繼承)이란 효민공 석문 이경직(李景稷)의 현손(4代孫)으로 이광명(李匡明)이 10세 때(숙종 36년, 1710년)에 부친상(진사 이진위(李眞偉))을 당하자 모친 은진송씨의 뜻에 따라 강화도 사기리(沙磯里)에 장사지내고 그 묘 밑에서 기거하면서 한말 영재 이건창(李建昌), 경재 이건승(李建昇), 난곡 이건방(李建芳) 형제의 대에 이르기까지 강화도 사기리는 강화학파의 근거지가 되었으며 6대 250 여 년간 가학(家學)으로 강화학파를 계승해온 학자 지식인들을 일컫.

새로운!!: 육진팔광와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 더보기 »

관악구

악구(冠岳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관악구 · 더보기 »

분당구

분당구(盆唐區)는 성남시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분당구 · 더보기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National Museum of Korea)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번지에 위치한 국립박물관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국립중앙박물관 · 더보기 »

남현동

현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육진팔광와 남현동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육진팔광와 노론 · 더보기 »

효민공 이경직 묘역

효민공 이경직 묘역(孝敏公 李景稷 墓域)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이경직(1577∼1640)의 묘역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효민공 이경직 묘역 · 더보기 »

운중동

운중동(雲中洞)은 대한민국 성남시 분당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운중동 · 더보기 »

이건방

곡 이건방(蘭谷 李建芳, 1861 ~ 1939) 선생은 양명학 강화학파의 한사람이며, 교육가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이건방 · 더보기 »

이건승

경재(耕齋) 이건승(李建昇, 1858∼1924).

새로운!!: 육진팔광와 이건승 · 더보기 »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이건창 · 더보기 »

이경직

이경직(李景稷, 1577년 ~ 164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후손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이경직 · 더보기 »

이경석 (1595년)

이경석(李景奭, 1595년 12월 18일(음력 11월 18일) ~ 1671년 10월 26일(음력 9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성리학자이자 서예가로,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이경석 (1595년) · 더보기 »

이광려

이광려(李匡呂, 1720년 ~ 1783년)는 조선 영조 때의 학자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이광려 · 더보기 »

이광사

이광사(李匡師, 숙종 31년(1705) ~ 정조 1년(1777))는 조선의 문신, 서예가이며, 현대 한국학의 시조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이광사 · 더보기 »

정제두

정제두(鄭齊斗, 1649년∼1736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정제두 · 더보기 »

조선 경종

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은 조선의 제20대 임금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조선 경종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지식인

식인(知識人)은 다양한 개념에 대한 연구, 노동, 질문 및 응답을 하려고 애쓰는 사람들을 말. 또한 고등교육을 받아 지적 노동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 그리고 인텔리겐치아라고도 부르는 지식 계급에 속해 있는 사람들도 지식인이라고 부른.

새로운!!: 육진팔광와 지식인 · 더보기 »

양명학

왕수인 양명학(陽明學)은 중국 명나라의 철학자 왕수인(王守仁)의 호인 양명(陽明)에서 이름을 따서 붙인 유가 철학(儒家哲學)의 한 학파로 주관적 실천 철학에 속. 양명학이라는 명칭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퍼진 것으로, 그 이전에는 육왕학(陸王學) 또는 왕학(王學)이라 불. 육왕학(陸王學)은 육구연(陸九淵)의 학풍을 이어 왕수인이 대성한 유학(儒學)을 뜻하고, 왕학(王學)은 왕수인의 유학을 뜻. 심즉리(心卽理)치양지(致良知)지행합일(知行合一)은 양명학의 3강령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양명학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사간원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사헌부 · 더보기 »

세자익위사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또는 계방(桂坊)은 1418년 설치되어 조선시대 세자의 호위를 맡던 관청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세자익위사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소론 · 더보기 »

1730년

173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1730년 · 더보기 »

1925년

192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육진팔광와 1925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육진팔광 (덕천군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