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색인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강화학파(江華學派) 육대계승(六代繼承)이란 효민공 석문 이경직(李景稷)의 현손(4代孫)으로 이광명(李匡明)이 10세 때(숙종 36년, 1710년)에 부친상(진사 이진위(李眞偉))을 당하자 모친 은진송씨의 뜻에 따라 강화도 사기리(沙磯里)에 장사지내고 그 묘 밑에서 기거하면서 한말 영재 이건창(李建昌), 경재 이건승(李建昇), 난곡 이건방(李建芳) 형제의 대에 이르기까지 강화도 사기리는 강화학파의 근거지가 되었으며 6대 250 여 년간 가학(家學)으로 강화학파를 계승해온 학자 지식인들을 일컫.

47 처지: 덕천군 (1397년), 만트라, 갑산군, 강화 양민 학살 사건, 강화도, 강화학파, 괴산군, 국립중앙박물관, 평산 신씨, 이건방, 이건승, 이건창, 이경직, 이광려, 이광사, 이긍익, 이상설, 음성군, 전주 이씨, 정인보, 정제두, 정원하, 저장성, 조선 광문회, 조선 정종, 조선 숙종, 진천군, 철학, 충청북도, 육진팔광, 윤순, 최남선, 양명학, 연일 정씨, 사오싱 시, 산스크리트어, 함경도, 신대우, 신작, 홍승헌, 왕수인, 1709년, 1710년, 1911년, 1913년, 1925년, 1951년.

덕천군 (1397년)

덕천군 이후생(德泉君 李厚生, 1397년 ~ 1465년)은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열째 왕자로, 시호는 적덕공(積德公)이며,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덕천군 (1397년) · 더보기 »

만트라

350px 만트라(데바나가리: मन्त्र Mantra, 티베트어: སྔགས་ ngak, 와일리 표기: sngags), 만트람(Mantram) 또는 진언(眞言: 참된 말, 진실한 말, 진리의 말)은 "영적 또는 물리적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는 발음, 음절, 낱말 또는 구절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만트라 · 더보기 »

갑산군

갑산군(甲山郡)은 량강도 중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갑산군 · 더보기 »

강화 양민 학살 사건

강화 양민학살 사건(江華良民虐殺事件)은 1951년 1월에 강화도 주민들이 조선인민군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대한민국 국군에게 학살당한 사건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강화 양민 학살 사건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강화도 · 더보기 »

강화학파

강화학파(江華學派)는 조선 후기에 정제두(鄭齊斗) 등에 의해 창시된 양명학파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강화학파 · 더보기 »

괴산군

산군(槐山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괴산군 · 더보기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National Museum of Korea)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번지에 위치한 국립박물관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국립중앙박물관 · 더보기 »

평산 신씨

평산 신씨(平山 申氏)는 황해도 평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평산 신씨 · 더보기 »

이건방

곡 이건방(蘭谷 李建芳, 1861 ~ 1939) 선생은 양명학 강화학파의 한사람이며, 교육가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이건방 · 더보기 »

이건승

경재(耕齋) 이건승(李建昇, 1858∼1924).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이건승 · 더보기 »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이건창 · 더보기 »

이경직

이경직(李景稷, 1577년 ~ 164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후손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이경직 · 더보기 »

이광려

이광려(李匡呂, 1720년 ~ 1783년)는 조선 영조 때의 학자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이광려 · 더보기 »

이광사

이광사(李匡師, 숙종 31년(1705) ~ 정조 1년(1777))는 조선의 문신, 서예가이며, 현대 한국학의 시조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이광사 · 더보기 »

이긍익

이긍익(李肯翊, 1736년 ~ 1806년)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이긍익 · 더보기 »

이상설

이상설(李相卨, 1871년 1월 27일(1870년 음력 12월 7일) ~ 1917년 양력 3월 2일)은 조선(대한제국)의 문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이상설 · 더보기 »

음성군

음성군(陰城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서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음성군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정인보

정인보(鄭寅普, 음력 1893년 5월 6일/양력 1893년 6월 19일 ~ 1950년 9월 7일)는 일제 강점기의 한학자·역사학자·작가이며,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작가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정인보 · 더보기 »

정제두

정제두(鄭齊斗, 1649년∼1736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정제두 · 더보기 »

정원하

정원하(鄭元夏, 1855년 ~ 1925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정원하 · 더보기 »

저장성

저장 성(절강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남부의 성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저장성 · 더보기 »

조선 광문회

조선 광문회(朝鮮光文會)는 1910년에 설치된 한국 고전 연구기관이었.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조선 광문회 · 더보기 »

조선 정종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 (음력 7월 1일) ~ 1419년 10월 15일 (음력 9월 26일),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2대 임금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조선 정종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진천군

(鎭川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진천군 · 더보기 »

철학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는 모습 철학(哲學, 고대 그리스어: φιλοσοφία)은 존재, 지식, 가치, 이성, 인식 그리고 언어 등의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대상의 실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철학 · 더보기 »

충청북도

충청북도(忠淸北道)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충청북도 · 더보기 »

육진팔광

육진팔광(六眞八匡)은 효민공(孝敏公) 석문(石門) 이경직(李景稷)의 증손 북곡(北谷) 이진유(李眞儒)가 영조 6년(1730년) 고령의 나이에 문초(고문)로 옥사(사망)하자 일제히 벼슬을 버리고 강화도(江華島)로 들어가 살아갈 터를 잡은 후, 출사(出仕)를 단념하고 오로지 학문에만 힘썼던 그 후손들을 말.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육진팔광 · 더보기 »

윤순

윤순(尹淳, 1680년(숙종 6년) ~ 1741년(영조 17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서예가, 문신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윤순 · 더보기 »

최남선

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최남선 · 더보기 »

양명학

왕수인 양명학(陽明學)은 중국 명나라의 철학자 왕수인(王守仁)의 호인 양명(陽明)에서 이름을 따서 붙인 유가 철학(儒家哲學)의 한 학파로 주관적 실천 철학에 속. 양명학이라는 명칭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퍼진 것으로, 그 이전에는 육왕학(陸王學) 또는 왕학(王學)이라 불. 육왕학(陸王學)은 육구연(陸九淵)의 학풍을 이어 왕수인이 대성한 유학(儒學)을 뜻하고, 왕학(王學)은 왕수인의 유학을 뜻. 심즉리(心卽理)치양지(致良知)지행합일(知行合一)은 양명학의 3강령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양명학 · 더보기 »

연일 정씨

연일 정씨(延日 鄭氏)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연일 정씨 · 더보기 »

사오싱 시

사오싱()은 중국 저장 성(浙江省)의 지급시(地级市)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사오싱 시 · 더보기 »

산스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간칭 범어(梵語)는 인도의 고전어로, 힌두교대승불교자이나ㆍ교 경전의 언어이자 수많은 인도 제어의 고급 어휘의 근간을 구성하는 언어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산스크리트어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함경도 · 더보기 »

신대우

신대우(申大羽, 1735년~1809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양명학자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신대우 · 더보기 »

신작

신작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신작 · 더보기 »

홍승헌

홍승헌(洪承憲, 1854년 ~ 1914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홍승헌 · 더보기 »

왕수인

양명 왕수인 왕수인(王守仁, 성화(成化) 8년(1472년) ~ 가정 7년(1528년))은 중국 명나라의 정치인·교육자·사상가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왕수인 · 더보기 »

1709년

170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1709년 · 더보기 »

1710년

171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1710년 · 더보기 »

1911년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1911년 · 더보기 »

1913년

191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1913년 · 더보기 »

1925년

192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1925년 · 더보기 »

1951년

195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와 1951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