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윤곤

색인 윤곤

윤곤(尹坤, ? ∼ 1422년 3월 11일)은 고려 말기, 조선 전기의 문신이.

74 처지: 동북 9성, 명나라, 문하시중, 민무구, 경기도, 고려, 고려 충혜왕, 공혜왕후, 관찰사, 노론, 장경왕후 (조선), 평양직할시, 평안도, 희비 윤씨, 이무, 이저, 이조, 인문 계열, 제2차 왕자의 난, 정희왕후, 정현옹주, 정현왕후, 조영무, 조선, 조선 정종,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충청남도, 유탁, 윤목, 윤문거, 윤번, 윤계종, 윤봉구, 윤봉조, 윤관, 윤비경, 윤승순, 윤전, 윤증, 윤지선, 윤지완, 윤탁, 윤순거, 윤호 (1424년), 윤언이, 윤사로, ..., 윤사분, 윤사흔, 윤사윤, 윤선거, 윤필상, 윤원거, 윤황, 파주읍, 파주시, 위화도 회군, 숭정, 예문관, 소론, 한명회, 한상질, 신도비, 1392년, 1398년, 1401년, 1406년, 1419년, 1422년, 1929년, 3월 11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4 더) »

동북 9성

동북 9성의 추정도. 북관유적도첩의 척경입비도 (北關遺蹟圖帖의 拓境立碑圖)- 윤관 등이 여진족정벌 직후 국경비를 세우는 장면 (17세기 민화) 동북 9성(東北九城)은 강동 6주와 함께 고려의 북진 정책 및 영토 확장을 상징하는 지역이.

새로운!!: 윤곤와 동북 9성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윤곤와 명나라 · 더보기 »

문하시중

문하시중(門下侍中)은 고려시대의 중서문하성의 최고 관리로 품계는 종1품이.

새로운!!: 윤곤와 문하시중 · 더보기 »

민무구

민무구(閔無咎, ? ~ 1410년)는 조선시대 초기의 무신이자 외척으로 민변의 손자이고 민제의 아들이며 원경왕후의 동생이자 민무질·민무회·민무휼의 형이며 본관은 여흥이.

새로운!!: 윤곤와 민무구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윤곤와 경기도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윤곤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충혜왕

충혜왕(忠惠王, 1315년 2월 22일 (음력 1월 18일) ~ 1344년 1월 30일 (음력 1월 15일))은 고려 제28대 국왕(재위: 1330년 ~ 1332년, 복위 1339년 ~ 1344년)이.

새로운!!: 윤곤와 고려 충혜왕 · 더보기 »

공혜왕후

공혜왕후 한씨(恭惠王后 韓氏, 1456년 11월 8일(음력 10월 11일) ~ 1474년 4월 30일(음력 4월 15일))는 조선 성종의 원비(元妃)이.

새로운!!: 윤곤와 공혜왕후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윤곤와 관찰사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윤곤와 노론 · 더보기 »

장경왕후 (조선)

장경왕후 윤씨(章敬王后 尹氏, 1491년 8월 10일(음력 7월 6일) ~ 1515년 3월 16일(음력 3월 2일))는 조선 중종의 계비이.

새로운!!: 윤곤와 장경왕후 (조선)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윤곤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윤곤와 평안도 · 더보기 »

희비 윤씨

희비 윤씨(禧妃 尹氏, ? ~ 1380년)는 고려의 제28대 왕 충혜왕의 제2비이자 충정왕의 생모이.

새로운!!: 윤곤와 희비 윤씨 · 더보기 »

이무

이무(李茂, 1355년 ~ 1409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윤곤와 이무 · 더보기 »

이저

이저(李沮, ? ~ ?)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운중군 사람이.

새로운!!: 윤곤와 이저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윤곤와 이조 · 더보기 »

인문 계열

인문 계열은 인문과학, 사회과학을 필두로 하여 인간 사회의 문화와 사회 질서 및 역사와 그 문화에 따른 언어학(영어, 한글)을 탐구 및 연구하는 교육 과정을 의미.

새로운!!: 윤곤와 인문 계열 · 더보기 »

제2차 왕자의 난

제2차 왕자의 난은 1400년 태조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과 이방간이 세자 자리를 두고 싸운 것으로 제1차 왕자의 난과 구별하기 위해 제2차 왕자의 난 또는 제2왕자의 난, 방간의 난, 박포의 난 등으로 불린.

새로운!!: 윤곤와 제2차 왕자의 난 · 더보기 »

정희왕후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 尹氏, 1418년 12월 8일 (음력 11월 11일) ~ 1483년 5월 6일 (음력 3월 30일))는 조선 세조의 왕비이.

새로운!!: 윤곤와 정희왕후 · 더보기 »

정현옹주

정현옹주(貞顯翁主, 1425년 ~ 1480년 음력 11월)는 조선의 왕족으로, 세종(世宗)과 상침 송씨(尙寢 宋氏)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서장녀이.

새로운!!: 윤곤와 정현옹주 · 더보기 »

정현왕후

정현왕후 윤씨(貞顯王后 尹氏, 1462년 7월 21일 (음력 6월 25일)~1530년 9월 13일 (음력 8월 22일)는 조선 성종(成宗)의 둘째계비이다. 시호는 자순화혜소의흠숙정현왕후(慈順和惠昭懿欽淑貞顯王后)이다. 자순대비(慈順大妃)로도 잘 알려져 있다. 영원부원군 평정공 윤호(鈴原府院君 平靖公 尹壕)와 연안부부인 전씨(延安府夫人 田氏)의 딸로,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중종반정 시 중종을 왕으로 세우는 것을 승낙한 인물로 유명하다. 능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선정릉 내에 위치한 선릉(宣陵)으로, 남편 성종과 동원이강의 형태로 같이 묻혀 있다.

새로운!!: 윤곤와 정현왕후 · 더보기 »

조영무

조영무(趙英茂, 1338년 ~ 1414년 7월 28일)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윤곤와 조영무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윤곤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정종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 (음력 7월 1일) ~ 1419년 10월 15일 (음력 9월 26일),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2대 임금이.

새로운!!: 윤곤와 조선 정종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윤곤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윤곤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윤곤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윤곤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윤곤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윤곤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유탁

유탁(劉度, ? ~ ?)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윤곤와 유탁 · 더보기 »

윤목

윤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윤곤와 윤목 · 더보기 »

윤문거

윤문거(尹文擧, 1606년 ~ 1672년)는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윤곤와 윤문거 · 더보기 »

윤번

윤번(尹璠, 1384년~1448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며 세조의 국구이.

새로운!!: 윤곤와 윤번 · 더보기 »

윤계종

윤계종(尹繼宗 ? - 1346년 9월)은 고려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충혜왕의 장인이자 희비(禧妃)의 친정아버지이고, 충정왕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윤곤와 윤계종 · 더보기 »

윤봉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윤봉구의 초상화 윤봉구(尹鳳九, 1681년∼1767년)는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윤곤와 윤봉구 · 더보기 »

윤봉조

윤봉조(尹鳳朝, 1680년 ∼ 1761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윤곤와 윤봉조 · 더보기 »

윤관

윤관(尹瓘, 미상 ~ 1111년 6월 15일 (음력 5월 8일))은 고려 중기의 문신·군인이.

새로운!!: 윤곤와 윤관 · 더보기 »

윤비경

윤비경(尹飛卿, 1607년 ~ 1680년 12월 29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윤곤와 윤비경 · 더보기 »

윤승순

윤승순(尹承順, ? ~ 1392년)은 고려 말의 문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

새로운!!: 윤곤와 윤승순 · 더보기 »

윤전

윤전(尹烇, 1575(선조 8)∼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초명은 찬(燦).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회숙(晦叔), 호는 후촌(後村). 병사(兵使)선지(先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돈(暾)이고, 아버지는 증참판 창세(昌世)이며, 어머니는 청주 경씨(淸州慶氏)로 부제학(副提學) 혼(渾)의 딸이다. 황(煌)의 아우이다.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새로운!!: 윤곤와 윤전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윤곤와 윤증 · 더보기 »

윤지선

윤지선(1627년 ~ 170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숙종 때 좌의정을.

새로운!!: 윤곤와 윤지선 · 더보기 »

윤지완

윤지완(尹趾完, 1635년~1718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윤곤와 윤지완 · 더보기 »

윤탁

윤탁(尹倬, 1472(성종 3)∼1534(중종 29)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문신이다.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언명(彦明), 호는 평와(平窩). 검교참의(檢校參議) 희제(希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령(掌令) 배(培)이고, 아버지는 현감 사은(師殷)이며, 어머니는 운봉박씨(雲峯朴氏)로 종우(從遇)의 딸이다.

새로운!!: 윤곤와 윤탁 · 더보기 »

윤순거

윤순거(尹舜擧, 1596년 ~ 1668년)는 조선의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윤곤와 윤순거 · 더보기 »

윤호 (1424년)

윤호 묘비명 윤호(尹壕, 1424년 ~ 1496년 4월 9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성종의 장인이며 중종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윤곤와 윤호 (1424년) · 더보기 »

윤언이

윤언이(尹彦頤, 1090년 ~ 1149년)는 고려시대의 문신으로 자는 원로(元老) 호는 금강거사(金剛居士), 시호는 문강(文康)이.

새로운!!: 윤곤와 윤언이 · 더보기 »

윤사로

윤사로(尹師路, 1423년 ~ 1463년)는 조선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세종의 서녀 정현옹주의 남편이.

새로운!!: 윤곤와 윤사로 · 더보기 »

윤사분

윤사분(尹士昐, 1401년 ∼ 1471년)은 조선 초기의 외척으로 자는 계휘(繼輝), 시호는 이정(夷靖), 본관은 파평(坡平)이.

새로운!!: 윤곤와 윤사분 · 더보기 »

윤사흔

윤사흔(尹士昕, 1422년 - 1485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며 외척이.

새로운!!: 윤곤와 윤사흔 · 더보기 »

윤사윤

윤사윤(尹士昀, 1409년 - 1461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세조와 중종의 외척이었.

새로운!!: 윤곤와 윤사윤 · 더보기 »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새로운!!: 윤곤와 윤선거 · 더보기 »

윤필상

윤필상(尹弼商, 1427년 ~ 1504년 윤 4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며 훈구 공신이.

새로운!!: 윤곤와 윤필상 · 더보기 »

윤원거

윤원거(尹元擧, 1601년 ~ 1672년)는 조선의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윤곤와 윤원거 · 더보기 »

윤황

윤황(尹煌, 1572년 ~ 163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윤곤와 윤황 · 더보기 »

파주읍

주읍(坡州邑)은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읍이.

새로운!!: 윤곤와 파주읍 · 더보기 »

파주시

주시(坡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윤곤와 파주시 · 더보기 »

위화도 회군

위화도 회군(威化島 回軍)은 고려 말기 1388년(우왕 14) 음력 5월, 요동 정벌차 군사를 이끌고 압록강 하류의 위화도까지 이른 우군 도통사(右軍 都統使) 이성계가 개경(開京)으로 회군(回軍)한 사건이.

새로운!!: 윤곤와 위화도 회군 · 더보기 »

숭정

숭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윤곤와 숭정 · 더보기 »

예문관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윤곤와 예문관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새로운!!: 윤곤와 소론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윤곤와 한명회 · 더보기 »

한상질

상질(? ~ 1400년)은 고려 말·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조선이 건국되자 예문관학사로서 주문사(奏聞使)가 되어 명나라에 가서 국호를 조선으로 결정받고 돌아왔다. 이후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예문관대학사(藝文館大學士)를 지냈다. 본관 청주(淸州). 자 중질(仲質). 호 죽소(竹所). 시호 문렬(文烈)이다.

새로운!!: 윤곤와 한상질 · 더보기 »

신도비

신도비(神道碑)는 사자(死者)의 묘로(墓路), 즉 신령의 길(신도:神道)인 무덤 남동쪽에 남쪽을 향하여 묘 앞에 사람의 삶을 기록하여 세운 비를 말.

새로운!!: 윤곤와 신도비 · 더보기 »

13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윤곤와 1392년 · 더보기 »

13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윤곤와 1398년 · 더보기 »

14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윤곤와 1401년 · 더보기 »

14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윤곤와 1406년 · 더보기 »

14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윤곤와 1419년 · 더보기 »

14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윤곤와 1422년 · 더보기 »

1929년

192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곤와 1929년 · 더보기 »

3월 11일

3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0번째(윤년일 경우 7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윤곤와 3월 1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국음 윤곤, 국재 윤곤, 소정공 윤곤.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