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발 (1544년)

색인 이발 (1544년)

이발(李潑, 1544년 ~ 1589년 음력 12월 1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경함(景涵), 호는 동암(東菴), 본관은 광산이.

23 처지: 동인, 민순, 경연, 광산 이씨, 북인, 기축옥사, 이긍익, 이이, 정철, 정여립, 조헌, 조선 광해군, 조선 인조, 조선 숙종, 윤의중, 윤선도, 호남 지방, 연려실기술, 사간원, 사가독서, 송익필, 1544년, 1589년.

동인

동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발 (1544년)와 동인 · 더보기 »

민순

민순(閔純, ? ~ 191년) 중국 후한 말의 말의 정치가로, 자는 백전(伯典)《영웅기(英雄記)》 이며 기주(冀州) 사람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민순 · 더보기 »

경연

명 신종 경연 경연(經筵)은 왕에게 유학의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진강(進講)해 드리고 논의(論議)를 받는 학술제도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경연 · 더보기 »

광산 이씨

광산 이씨(光山 李氏)는 광주광역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광산 이씨 · 더보기 »

북인

북인(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이발 (1544년)와 북인 · 더보기 »

기축옥사

축옥사(己丑獄事)는 조선 선조 때의 옥사로 1589년 10월의 정여립이 모반을 꾸민다는 고변으로부터 시작되어 정여립과 함께 3년여간 그와 연루된 많은 동인이 희생된 사건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기축옥사 · 더보기 »

이긍익

이긍익(李肯翊, 1736년 ~ 1806년)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이긍익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이이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정철 · 더보기 »

정여립

정여립(鄭汝立, 1546년 ~ 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정여립 · 더보기 »

조헌

조헌(趙憲, 1544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유학자이자 경세사상가, 의병장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조헌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윤의중

윤의중(尹毅中, 1524년 ~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윤의중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윤선도 · 더보기 »

호남 지방

호남 지방 호남 지방(湖南地方)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호남 지방 · 더보기 »

연려실기술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긍익이, 그의 아버지 이광사가 유배되었던 곳인 신지도(薪智島)에서 42세 때부터 집필하기 시작해 세상을 떠날 때까지 약 30년에 걸쳐 편찬한 조선시대 야사(野史)의 총서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연려실기술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사간원 · 더보기 »

사가독서

사가독서(賜暇讀書)는 조선 시대 젊은 문신들이 임금의 명으로 직무를 쉬면서 글을 읽고 학문을 닦던 제도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사가독서 · 더보기 »

송익필

송익필(宋翼弼, 1534년 2월 10일 ∼ 1599년 8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송익필 · 더보기 »

154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발 (1544년)와 1544년 · 더보기 »

1589년

15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발 (1544년)와 1589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