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용 (1533년)

색인 이용 (1533년)

이용(李庸+戈, 1533년 - 1591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언선(彦善), 다른 이름은 이규(李戣)이.

37 처지: 강릉시, 강원도, 경기도, 난중일기, 이감, 이감 (조선), 이복남, 이광식, 이광식 (1493년), 이희헌, 이전 (1517년), 이징 (조선 전기), 이지방 (1466년), 이순신, 이성헌 (1534년), 이세응, 조선, 윤탁연, 1466년, 1473년, 1492년, 1493년, 1502년, 1517년, 1528년, 1533년, 1534년, 1536년, 1537년, 1550년, 1563년, 1576년, 1583년, 1591년, 1601년, 2월 22일, 5월 8일.

강릉시

강릉시의 로고 강릉시(江陵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중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강릉시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강원도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경기도 · 더보기 »

난중일기

중일기(亂中日記)는 조선 중기의 무신(武臣) 이순신(李舜臣)이 임진왜란 7년(1592년 ~ 1598년) 동안 군중에서 쓴 일기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난중일기 · 더보기 »

이감

이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이감 · 더보기 »

이감 (조선)

이감(李戡, ? - ?)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작가,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이감 (조선) · 더보기 »

이복남

이복남(李福男, 1555년 6월 28일 ~ 1597년 8월 16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본관은 우계(羽溪)로 자(字)는 수보(綏甫), 시호는 충장(忠壯)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이복남 · 더보기 »

이광식

이광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이광식 · 더보기 »

이광식 (1493년)

이광식(李光軾, 1493년(성종 23년) 11월 7일(음력 9월 29일) ~ 1563년(명종 18년) 12월 15일(음력 12월 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이광식 (1493년) · 더보기 »

이희헌

이희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이희헌 · 더보기 »

이전 (1517년)

이전(李戩, 1517년 1월 21일 ~ ?)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으로 조선 중종, 명종, 선조 때의 장군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이전 (1517년) · 더보기 »

이징 (조선 전기)

이징(李徵, ? - ?)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이징 (조선 전기) · 더보기 »

이지방 (1466년)

이지방(李之芳, 1466년 10월 15일 - 1537년 12월 1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이지방 (1466년)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이순신 · 더보기 »

이성헌 (1534년)

이성헌(李成憲, 1534년 2월 22일 - 1601년 5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이성헌 (1534년) · 더보기 »

이세응

이세응(李世應, 1473년~152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이세응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조선 · 더보기 »

윤탁연

윤탁연(尹卓然, 1538년 5월 15일 ~ 1594년 5월 28일『윤탁연 묘갈명』)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상중(尙中), 호는 중호(重湖), 시호는 헌민(憲敏), 본관은 칠원(漆原)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윤탁연 · 더보기 »

14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466년 · 더보기 »

147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473년 · 더보기 »

14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492년 · 더보기 »

149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493년 · 더보기 »

15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502년 · 더보기 »

15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517년 · 더보기 »

15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528년 · 더보기 »

15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533년 · 더보기 »

15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534년 · 더보기 »

15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536년 · 더보기 »

15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537년 · 더보기 »

15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550년 · 더보기 »

15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563년 · 더보기 »

15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576년 · 더보기 »

1583년

15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583년 · 더보기 »

1591년

15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591년 · 더보기 »

1601년

16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용 (1533년)와 1601년 · 더보기 »

2월 22일

2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3번째(윤년일 경우도 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용 (1533년)와 2월 22일 · 더보기 »

5월 8일

5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8번째(윤년일 경우 129번째), 뒤에서부터는 23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용 (1533년)와 5월 8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