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광식 (1493년)

색인 이광식 (1493년)

이광식(李光軾, 1493년(성종 23년) 11월 7일(음력 9월 29일) ~ 1563년(명종 18년) 12월 15일(음력 12월 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이.

120 처지: 동지, 만포, 목사, 문정왕후 (조선), 강릉시,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과거제, 병마절도사, 병조, 변장, 광주군 (경기도), 광성정, 광원군, 관찰사, 비변사, 김해군, 대간, 군기시, 우계 이씨, 승정원, 장예원, 임권, 평안도, 이감 (조선), 이방실, 이복남, 이용, 이용 (1533년), 이희헌, 이전 (1517년), 이징 (조선 전기), 이지방, 이지방 (1466년), 이수형 (1435년), 이여빈, 이성헌 (1534년), 이세응, 음력 12월 1일, 음력 9월 29일, 의정부, 을묘왜변, 전라도, 전우치, 정숭조, 정현조, 조선, 조선 세조, 조선 세종, ..., 조선인, 종성군, , 참판, 청송 심씨, 추증, 판윤, 판서, 육군, 윤 (성씨), 윤근수, 윤두수, 태음력, 호군, 양재동, 여주시, 여진, 사간원, 사헌부, 성주군, 세자익위사, 서울특별시, 서초구, 소헌왕후, 함경도, 한형윤, 한성부, 한확, 심사손, 왜구, 11월, 11월 7일, 12월 15일, 1466년, 1469년, 1486년, 1492년, 1493년, 1516년, 1517년, 1522년, 1523년, 1529년, 1530년, 1531년, 1533년, 1534년, 1536년, 1537년, 1538년, 1540년, 1544년, 1545년, 1546년, 1549년, 1550년, 1553년, 1554년, 1555년, 1557년, 1563년, 1569년, 1591년, 1651년, 1월, 3월 24일, 6월, 7월, 9월, 9월 2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0 더) »

동지

동지(冬至)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서, 태양 황경이 270도가 되는 때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동지 · 더보기 »

만포

만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만포 · 더보기 »

목사

목사(牧師)는 개신교의 성직자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목사 · 더보기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문정왕후 (조선) · 더보기 »

강릉시

강릉시의 로고 강릉시(江陵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중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강릉시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강원도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경상도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과거제 · 더보기 »

병마절도사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는 조선시대 각도의 육군을 지휘하는 책임을 맡은 종2품 무관직으로 병사.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병마절도사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병조 · 더보기 »

변장

변장(變裝)은 어떤 목적으로든지 사람의 겉모습을 바꿔서 못알아보게 하는 일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변장 · 더보기 »

광주군 (경기도)

광주군(廣州郡)은 경기도 광주시의 2001년 3월까지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광주군 (경기도) · 더보기 »

광성정

광성정(匡城正, 1493년∼1545년)은 조선 시대의 왕족으로 세종대왕의 아들 밀성군 이침의 손자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광성정 · 더보기 »

광원군

광원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광원군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관찰사 · 더보기 »

비변사

비변사(備邊司)는 조선 중기 이후의 행정 관청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비변사 · 더보기 »

김해군

(金海郡)은 경상남도에 있었던 행정 구역으로, 1995년에 김해시와 통합하여 도농복합도시가 되었.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김해군 · 더보기 »

대간

(臺諫)은 관리의 감찰과 간언을 하는 벼슬아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대간 · 더보기 »

군기시

시(軍器寺)는 고려, 조선 시대에, 병기, 기치, 융장, 집물 따위의 제조를 맡아보던 관아로, 방위사업청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오늘날의 서울시청 자리에 있었.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군기시 · 더보기 »

우계 이씨

우계 이씨(羽溪 李氏)는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우계 이씨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승정원 · 더보기 »

장예원

장예원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장예원 · 더보기 »

임권

임권(任權, 1486년 ~ 155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임권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평안도 · 더보기 »

이감 (조선)

이감(李戡, ? - ?)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작가,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감 (조선) · 더보기 »

이방실

이방실(李芳實, ? ~ 1362년 2월 29일)은 고려 말기의 무신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방실 · 더보기 »

이복남

이복남(李福男, 1555년 6월 28일 ~ 1597년 8월 16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본관은 우계(羽溪)로 자(字)는 수보(綏甫), 시호는 충장(忠壯)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복남 · 더보기 »

이용

이용 또는 리용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용 · 더보기 »

이용 (1533년)

이용(李庸+戈, 1533년 - 1591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언선(彦善), 다른 이름은 이규(李戣)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용 (1533년) · 더보기 »

이희헌

이희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희헌 · 더보기 »

이전 (1517년)

이전(李戩, 1517년 1월 21일 ~ ?)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으로 조선 중종, 명종, 선조 때의 장군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전 (1517년) · 더보기 »

이징 (조선 전기)

이징(李徵, ? - ?)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징 (조선 전기) · 더보기 »

이지방

이지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지방 · 더보기 »

이지방 (1466년)

이지방(李之芳, 1466년 10월 15일 - 1537년 12월 1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지방 (1466년) · 더보기 »

이수형 (1435년)

이수형(李秀亨, 1435년 ~ 1528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수형 (1435년) · 더보기 »

이여빈

이여빈(李汝馪, 1556년 9월 11일 ~ 1631년 9월 2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학자이자 문신, 시인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여빈 · 더보기 »

이성헌 (1534년)

이성헌(李成憲, 1534년 2월 22일 - 1601년 5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성헌 (1534년) · 더보기 »

이세응

이세응(李世應, 1473년~152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이세응 · 더보기 »

음력 12월 1일

음력 12월 1일은 음력 12월의 1번째 날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음력 12월 1일 · 더보기 »

음력 9월 29일

음력 9월 29일은 음력 9월의 29번째 날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음력 9월 29일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의정부 · 더보기 »

을묘왜변

을묘왜변(乙卯倭變)은 1555년(조선 명종 10년) 조선 명종 때 일어난 왜구의 습격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을묘왜변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전라도 · 더보기 »

전우치

전우치(田禹治, 14??년 ~ 15??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기인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전우치 · 더보기 »

정숭조

정숭조(鄭崇祖, 1442년 - 1503년 2월 13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자는 효숙(孝叔), 호는 삼성재(三省齋)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정숭조 · 더보기 »

정현조

정현조(鄭顯祖, 1440년 ~ 1504년 7월 13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정치인이며 부마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정현조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인

조선인(朝鮮人)은 한국인을 뜻하는 다른 말로서, 다음 뜻으로도 쓰인.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조선인 · 더보기 »

종성군

종성군(鍾城郡)은 함경북도의 옛 군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종성군 · 더보기 »

증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증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참판 · 더보기 »

청송 심씨

청송 심씨(靑松 沈氏)는 경상북도 청송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청송 심씨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추증 · 더보기 »

판윤

윤(判尹)은 조선의 정2품 관직으로 도읍 한성부(漢城府)의 기관장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판윤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판서 · 더보기 »

육군

육군(陸軍)은 지상 전투를 주임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육군 · 더보기 »

윤 (성씨)

윤(尹)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윤 (성씨) · 더보기 »

윤근수

윤근수(尹根壽, 1537년~1616년 8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文臣)·시인·화가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윤근수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윤두수 · 더보기 »

태음력

음력(太陰曆)은 달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한 달을 정하는 역법을 말. 계절의 변화(즉, 태양의 일주)까지 고려한 달력은 태음태양력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태음력 · 더보기 »

호군

호군(護軍)은 고려와 조선조의 5위의 정4품직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호군 · 더보기 »

양재동

양재동(良才洞)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법정동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양재동 · 더보기 »

여주시

여주시(驪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여주시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여진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사간원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사헌부 · 더보기 »

성주군

성주군(星州郡)은 경상북도 서남부에 있는 군으로, 동쪽으로는 낙동강을 경계로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경상북도 칠곡군, 서북쪽으로는 경상북도 김천시, 남쪽으로는 경상남도 거창군과 경상북도 고령군, 경상남도 합천군과 경계를 이. 군청 소재지는 성주읍이고, 행정 구역은 1읍 9면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성주군 · 더보기 »

세자익위사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또는 계방(桂坊)은 1418년 설치되어 조선시대 세자의 호위를 맡던 관청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세자익위사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초구

서초구(瑞草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서초구 · 더보기 »

소헌왕후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1395년 10월 12일 (음력 9월 28일) ~ 1446년 4월 19일 (음력 3월 24일))는 조선 세종의 왕비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소헌왕후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함경도 · 더보기 »

한형윤

형윤(韓亨允, 1470년 ~ 1532년)은 조선의 문신·서예가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한형윤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한성부 · 더보기 »

한확

확(韓確, 1400년 ~ 1456년 음력 9월 11일)은 조선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외교관이며 명나라의 문신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한확 · 더보기 »

심사손

심사손(沈思遜, 1493년 12월 25일 ~ 1528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으로, 다른 이름은 심사손(沈士遜)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심사손 · 더보기 »

왜구

16세기 왜구들의 활동 범위 왜구들의 약탈을 그린 회화 (16세기) 왜구(倭寇)는 통상적으로 고려와 원나라의 연합군이 일본 열도 침략에 실패한 이후인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한반도와 중국 대륙의 연안부나 일부 내륙 지역을 약탈하고 밀무역을 행하던 무리를 가리.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왜구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1월 · 더보기 »

11월 7일

11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1번째(윤년일 경우 3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1월 7일 · 더보기 »

12월 15일

12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9번째(윤년일 경우 3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2월 15일 · 더보기 »

14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466년 · 더보기 »

14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469년 · 더보기 »

148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486년 · 더보기 »

14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492년 · 더보기 »

149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493년 · 더보기 »

15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16년 · 더보기 »

15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17년 · 더보기 »

15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22년 · 더보기 »

15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23년 · 더보기 »

152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29년 · 더보기 »

15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30년 · 더보기 »

15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31년 · 더보기 »

15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33년 · 더보기 »

15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34년 · 더보기 »

15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36년 · 더보기 »

15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37년 · 더보기 »

153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38년 · 더보기 »

15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40년 · 더보기 »

154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44년 · 더보기 »

15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45년 · 더보기 »

15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46년 · 더보기 »

15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49년 · 더보기 »

15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50년 · 더보기 »

15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53년 · 더보기 »

15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54년 · 더보기 »

15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55년 · 더보기 »

15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57년 · 더보기 »

15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63년 · 더보기 »

15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69년 · 더보기 »

1591년

15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591년 · 더보기 »

1651년

165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651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1월 · 더보기 »

3월 24일

3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3번째(윤년일 경우 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3월 24일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6월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7월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9월 · 더보기 »

9월 29일

9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2번째(윤년일 경우 27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광식 (1493년)와 9월 2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백흠, 백흠 이광식.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