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조년

색인 이조년

이조년(李兆年, 1269년 ~ 1343년)은 고려의 원종-충혜왕 때의 문신·시인·문인이며 학자이다. 자는 원로(元老), 호는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化軒)이며, 본관은 성주이다. 이장경의 아들이며 이인임, 이인복, 이인립의 할아버지이며 이제의 증조부이고, 이숭인의 종증조부이다. 경상북도 성주 출신으로 아버지는 이장경이며 어머니는 합천 이씨이다.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1306년 비서랑으로 왕을 모시고 원나라 수도 연경(燕京)에 갔을 때 왕유소·송방영 등의 모함으로 충렬왕과 왕자의 사이가 나빠졌다. 이때 그는 어느 편에도 가담하지 않았으나 화를 입고 유배되었다. 그 후 유배에서 풀려나 13년간 고향에 있다가, 1340년 충혜왕 때 예문관 대제학이 되어 성산군에 봉해졌다. 그는 천성이 결백 강직했으며 특히 시문에 뛰어났으며 시조 한 수가 《청구영언》 등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이조년〉 공민왕 때 성산후에 추증되었고, 충혜왕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렬(文烈).

22 처지: 경상북도, 고려, 고려 공민왕, 고려 충렬왕, 고려 충혜왕, 고려 충선왕,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이장경, 이인복, 이인임, 이제, 이숭인, 청구영언, 예문관, 성주, 성주 이씨, 송방영, 합천 이씨, 1269년, 1306년, 1340년, 1343년.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이조년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이조년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새로운!!: 이조년와 고려 공민왕 · 더보기 »

고려 충렬왕

충렬왕(忠烈王, 1236년 4월 3일 (음력 2월 26일) ~ 1308년 7월 30일 (음력 7월 13일))은 고려 제25대 국왕(재위: 1274년 ~ 1298년, 복위:1299년 ~ 1308년)이.

새로운!!: 이조년와 고려 충렬왕 · 더보기 »

고려 충혜왕

충혜왕(忠惠王, 1315년 2월 22일 (음력 1월 18일) ~ 1344년 1월 30일 (음력 1월 15일))은 고려 제28대 국왕(재위: 1330년 ~ 1332년, 복위 1339년 ~ 1344년)이.

새로운!!: 이조년와 고려 충혜왕 · 더보기 »

고려 충선왕

충선왕(忠宣王, 1275년 10월 20일 (음력 9월 30일) ~ 1325년 6월 23일 (음력 5월 13일)은 고려 제26대 국왕(재위: 1298년, 복위: 1308년~1313년)이다. 초휘는 원(願), 휘는 장(璋), 자는 중앙(仲昻),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선왕(忠宣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선효대왕(宣孝大王)이다. 몽골식 이름은 이지르부카()이며, 정비(正妃)는 계국대장공주이다. 고려에서 처음으로 즉위하였다가 폐위된 후 다시 복귀한 군주이기도 하다. 생애 후반에는 귀국을 기피하고 원나라에 체류하며 만권당을 세워 독서와 학문 연구, 서화 그리기 등에 전념하기도 했다.

새로운!!: 이조년와 고려 충선왕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이조년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이장경

이장경(李長庚, ? ~ ?)은 고려시대 중기의 호족으로 이백년, 이천년, 이만년, 이억년, 이조년 5형제의 아버지이자 이인기, 이승경의 할아버지였.

새로운!!: 이조년와 이장경 · 더보기 »

이인복

이인복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조년와 이인복 · 더보기 »

이인임

이인임(李仁任, ?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간신(奸臣), 권신(權臣)이자 시인(詩人)이었.

새로운!!: 이조년와 이인임 · 더보기 »

이제

이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용어.

새로운!!: 이조년와 이제 · 더보기 »

이숭인

이숭인(李崇仁, 1347년~1392년 9월 10일(음력 8월 23일))은 고려 말의 시인, 대학자이.

새로운!!: 이조년와 이숭인 · 더보기 »

청구영언

250px 《청구영언》(靑丘永言)은 1728년(조선 영조 4년) 김천택이 엮은 시조집이.

새로운!!: 이조년와 청구영언 · 더보기 »

예문관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이조년와 예문관 · 더보기 »

성주

성주(城主, castellan, constable)는 성주령(castellany)을 봉읍으로 삼는 귀족이자 그 성주령의 중심지인 성관의 주인이.

새로운!!: 이조년와 성주 · 더보기 »

성주 이씨

성주 이씨(星州 李氏)는 경상북도 성주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조년와 성주 이씨 · 더보기 »

송방영

송방영(宋邦英, ? ~ 1307년)은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상장군을 지낸 송염(宋琰)의 아들이.

새로운!!: 이조년와 송방영 · 더보기 »

합천 이씨

합천 이씨(陜川 李氏)는 경상남도 합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조년와 합천 이씨 · 더보기 »

12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조년와 1269년 · 더보기 »

13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조년와 1306년 · 더보기 »

13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조년와 1340년 · 더보기 »

13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조년와 1343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