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윤휘

색인 윤휘

윤휘(尹暉, 1571년 - 1644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

119 처지: 랴오둥반도, 도승지, 목사, 명나라, 강홍립, 강화 조약, 가마, 경상도, 공조, 공조 (행정기관), 병자호란, 병조, 계축옥사, 관찰사, 비변사, 대광보국숭록대부, 군대, 남한산성, 담배, 우찬성, 승문원, 장렬왕후, 장례원, 장흥, 장악서, 인목왕후, 인조반정, 의금부, 의인왕후, 의정부, 전라도, 정묘호란, 정유재란, 조목, 조상, 조선, 조선 광해군, 조선 인조, 좌찬성, 진사, 참의, 참판, 청나라, 청주시, 천명제, 춘추관, 추증, 판윤, 판서, 윤방, ..., 윤간 (조선), 윤계, 윤변, 윤근수, 윤두수, 윤흔, 윤춘수, 윤취지, 윤신지, 윤훤, 영의정, 오위, 호조, 예조, 형조, 여진, 허균, 사간원, 사은사, 사헌부, 성주, 성혼, 서인, 소현세자, 해주시, 한성부, 한성부판윤, 아산시, 후금, 홍원군, 환관, 12월, 1571년, 1577년, 1589년, 1594년, 1595년, 1596년, 1600년, 1603년, 1604년, 1605년, 1609년, 1610년, 1611년, 1612년, 1613년, 1618년, 1621년, 1622년, 1623년, 1625년, 1626년, 1627년, 1628년, 1629년, 1632년, 1633년, 1636년, 1638년, 1639년, 1640년, 1641년, 1642년, 1644년, 3월, 4월, 5월, 8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9 더) »

랴오둥반도

오둥 반도의 위치 랴오둥 반도() 또는 요동 반도(문화어,: 료동 반도)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遼寧省) 남부의 반도이.

새로운!!: 윤휘와 랴오둥반도 · 더보기 »

도승지

승지(都承旨)는 조선의 정3품 당상관직으로 도령(都令)으로도 불리었.

새로운!!: 윤휘와 도승지 · 더보기 »

목사

목사(牧師)는 개신교의 성직자이.

새로운!!: 윤휘와 목사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윤휘와 명나라 · 더보기 »

강홍립

강홍립(姜弘立, 1560년 ~ 1627년 9월 6일(음력 7월 27일))은 조선의 문관, 군인이.

새로운!!: 윤휘와 강홍립 · 더보기 »

강화 조약

강화 조약(講和條約, peace treaty)은 전쟁 및 전쟁상태를 종결시켜 평화를 회복시키기 위한 교전국 간의 조약이.

새로운!!: 윤휘와 강화 조약 · 더보기 »

가마

마 가마는 조그만 집 모양의 탈것으로, 그 안에 사람을 태우거나 물건을 싣고 앞뒤에서 둘 또는 네 사람이 가마에 연결된 손잡이를 잡거나 멜빵을 걸어메고 옮기는 것이.

새로운!!: 윤휘와 가마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윤휘와 경상도 · 더보기 »

공조

공조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윤휘와 공조 · 더보기 »

공조 (행정기관)

공조(工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윤휘와 공조 (행정기관)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윤휘와 병자호란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윤휘와 병조 · 더보기 »

계축옥사

1608년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하자, 대북은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여 역모하였다는 이유로 소북의 영수(領首) 류영경(柳永慶)을 죽이고 소북 인사들을 축출하였.

새로운!!: 윤휘와 계축옥사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윤휘와 관찰사 · 더보기 »

비변사

비변사(備邊司)는 조선 중기 이후의 행정 관청이.

새로운!!: 윤휘와 비변사 · 더보기 »

대광보국숭록대부

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는 조선의 가장 높은 품계로, 정1품의 상계에 해당하는 품계이.

새로운!!: 윤휘와 대광보국숭록대부 · 더보기 »

군대

(軍隊)는 한 국가의 방어를 책임지며, 다른 나라와 전쟁 및 전투를 담당하는 정부 기관이며, 통상 활동 영역에 따라 육군과 해군과 공군과 해병대 등으.

새로운!!: 윤휘와 군대 · 더보기 »

남한산성

산성(南漢山城)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에 걸쳐 있는 남한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성이.

새로운!!: 윤휘와 남한산성 · 더보기 »

담배

배잎. 담배()는 담뱃잎을 주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흡연 제품이.

새로운!!: 윤휘와 담배 · 더보기 »

우찬성

우찬성(右贊成)은 종1품 숭정대부와 숭록대부에 해당되는 조선 시대의 관직이.

새로운!!: 윤휘와 우찬성 · 더보기 »

승문원

승문원 (承文院)은 조선 시대, 외교에 관한 문서를 맡은 관청이.

새로운!!: 윤휘와 승문원 · 더보기 »

장렬왕후

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 1624년 12월 16일(음력 11월 7일) ~ 1688년 9월 20일(음력 8월 26일))는 조선의 제16대 국왕인 인조의 계비(繼妃)이.

새로운!!: 윤휘와 장렬왕후 · 더보기 »

장례원

장례원(掌隷院)은 조선시대 노비를 담당하던 정3품 관청을 말하며, 설립 연도는 조선 세조 13년, 서기 1467년이.

새로운!!: 윤휘와 장례원 · 더보기 »

장흥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새로운!!: 윤휘와 장흥 · 더보기 »

장악서

장악원(掌樂院) 터. 서울 중구 명동, 외환은행 본점 앞에 있다. 장악서(掌樂署)는 고려와 조선 시대 음악에 관한 일을 맡아 보던 관청이.

새로운!!: 윤휘와 장악서 · 더보기 »

인목왕후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년 12월 15일/음력 11월 14일 ~ 1632년 8월 13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이.

새로운!!: 윤휘와 인목왕후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윤휘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윤휘와 의금부 · 더보기 »

의인왕후

의인왕후(懿仁王后, 1555년 5월 5일(음력 4월 15일) ~ 1600년 8월 5일(음력 6월 27일))는 조선의 제14대 왕 선조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윤휘와 의인왕후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윤휘와 의정부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윤휘와 전라도 · 더보기 »

정묘호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은 1627년(인조 5년)에 후금이 침입해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윤휘와 정묘호란 · 더보기 »

정유재란

정유재란(丁酉再亂)은 1597년 8월 도요토미 정권 일본군이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조선을 침공하여 이듬해인 1598년 12월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윤휘와 정유재란 · 더보기 »

조목

조목(趙穆, 1524년 ~ 160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윤휘와 조목 · 더보기 »

조상

조상(祖上)은 자손의 반대 개념이.

새로운!!: 윤휘와 조상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윤휘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윤휘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윤휘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새로운!!: 윤휘와 좌찬성 · 더보기 »

진사

사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윤휘와 진사 · 더보기 »

참의

의(參議)는 관직의 이름으로, 조선과 전근대 및 메이지 시대의 일본에 존재.

새로운!!: 윤휘와 참의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윤휘와 참판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윤휘와 청나라 · 더보기 »

청주시

청주시(淸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충청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윤휘와 청주시 · 더보기 »

천명제

명제(天命帝, 1559년 2월 21일 ~ 1626년 9월 30일, 재위: 건주여진 1583년 ~ 1616년, 여진국 1616년 ~ 1618년, 대금국 1618년 ~ 1626년)는 후금를 건국한 한으로, 후에 청 제국의 초대 황제로 여겨지게 되었.

새로운!!: 윤휘와 천명제 · 더보기 »

춘추관

(春秋館)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관청이.

새로운!!: 윤휘와 춘추관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윤휘와 추증 · 더보기 »

판윤

윤(判尹)은 조선의 정2품 관직으로 도읍 한성부(漢城府)의 기관장이.

새로운!!: 윤휘와 판윤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새로운!!: 윤휘와 판서 · 더보기 »

윤방

윤방(尹昉, 1563년 6월 22일 ~ 1640년 8월)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윤휘와 윤방 · 더보기 »

윤간 (조선)

윤간(尹旰, ? - ?)은 조선 중기,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윤휘와 윤간 (조선) · 더보기 »

윤계

윤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윤휘와 윤계 · 더보기 »

윤변

윤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윤휘와 윤변 · 더보기 »

윤근수

윤근수(尹根壽, 1537년~1616년 8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文臣)·시인·화가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윤휘와 윤근수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윤휘와 윤두수 · 더보기 »

윤흔

윤흔(尹昕, 1564년 - 1638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무신, 정치인이.

새로운!!: 윤휘와 윤흔 · 더보기 »

윤춘수

윤춘수(尹春壽, 1521년 ~ ?)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

새로운!!: 윤휘와 윤춘수 · 더보기 »

윤취지

윤취지(尹就之, 1583년 음력 윤 2월 24일 - 1644년 2월 18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윤휘와 윤취지 · 더보기 »

윤신지

윤신지(尹新之, 1582년 ~ 1657년)는 조선의 문신으로 선조의 부마이.

새로운!!: 윤휘와 윤신지 · 더보기 »

윤훤

윤훤(尹暄, 1573년 ~ 1627년 2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군인, 작가이.

새로운!!: 윤휘와 윤훤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윤휘와 영의정 · 더보기 »

오위

오위(五衛)는 조선시대 중앙군으로 세조 3년(1457년) 삼군부를 5위로 개편하고 5위진무소가 이를 총괄케 했는데 그 후 5위진무소(五衛鎭撫所)는 5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칭되었.

새로운!!: 윤휘와 오위 · 더보기 »

호조

호조(戶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윤휘와 호조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윤휘와 예조 · 더보기 »

형조

형조(刑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윤휘와 형조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새로운!!: 윤휘와 여진 · 더보기 »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윤휘와 허균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윤휘와 사간원 · 더보기 »

사은사

사은사란 조선시대 명나라와 청나라가 조선에 대하여 은혜를 베풀었을 때 이를 보답하기 위해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이.

새로운!!: 윤휘와 사은사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윤휘와 사헌부 · 더보기 »

성주

성주(城主, castellan, constable)는 성주령(castellany)을 봉읍으로 삼는 귀족이자 그 성주령의 중심지인 성관의 주인이.

새로운!!: 윤휘와 성주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윤휘와 성혼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윤휘와 서인 · 더보기 »

소현세자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년 2월 5일(음력 1월 4일) ~ 1645년 5월 21일(음력 4월 26일))는 인조와 인렬왕후 한씨의 적장자이.

새로운!!: 윤휘와 소현세자 · 더보기 »

해주시

주시(海州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황해남도청 소재지 그리고 황해남도의 유일한 시이.

새로운!!: 윤휘와 해주시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윤휘와 한성부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윤휘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아산시

아산시(牙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윤휘와 아산시 · 더보기 »

후금

후금(後金)은 아이신기오로 누르가치가 여진 여러 부족을 복속하여 1616년에, 여진국()의 여러 나라를 이롭게 하는 맑은 한() 된 뒤 1618년에 개국한 나라이.

새로운!!: 윤휘와 후금 · 더보기 »

홍원군

홍원군(洪原郡)은 함경남도 에 속하는 군이.

새로운!!: 윤휘와 홍원군 · 더보기 »

환관

청나라의 환관. 환관(宦官)은 관료 가운데 거세된 남자(환자; 宦者)이며, 주로 동아시아(특히 중국과 한국)에 존재.

새로운!!: 윤휘와 환관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윤휘와 12월 · 더보기 »

157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윤휘와 1571년 · 더보기 »

15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윤휘와 1577년 · 더보기 »

1589년

15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589년 · 더보기 »

1594년

15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594년 · 더보기 »

1595년

15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595년 · 더보기 »

1596년

15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윤휘와 1596년 · 더보기 »

1600년

16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16세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윤휘와 1600년 · 더보기 »

1603년

16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03년 · 더보기 »

1604년

16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윤휘와 1604년 · 더보기 »

1605년

16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05년 · 더보기 »

1609년

16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09년 · 더보기 »

1610년

16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10년 · 더보기 »

1611년

16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11년 · 더보기 »

1612년

16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윤휘와 1612년 · 더보기 »

1613년

16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13년 · 더보기 »

1618년

161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18년 · 더보기 »

1621년

162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21년 · 더보기 »

1622년

162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22년 · 더보기 »

1623년

162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23년 · 더보기 »

1625년

162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25년 · 더보기 »

1626년

162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26년 · 더보기 »

1627년

162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27년 · 더보기 »

1628년

162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윤휘와 1628년 · 더보기 »

1629년

162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29년 · 더보기 »

1632년

163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윤휘와 1632년 · 더보기 »

1633년

163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33년 · 더보기 »

1636년

163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윤휘와 1636년 · 더보기 »

1638년

163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38년 · 더보기 »

1639년

163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39년 · 더보기 »

1640년

164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윤휘와 1640년 · 더보기 »

1641년

164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41년 · 더보기 »

1642년

164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휘와 1642년 · 더보기 »

1644년

164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윤휘와 1644년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윤휘와 3월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윤휘와 4월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윤휘와 5월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윤휘와 8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정춘 윤휘, 천상 윤휘, 윤정춘 (조선), 장주 윤휘, 장주공 윤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