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정육면체

색인 정육면체

정육면체(正六面體,;,,,, hexahedron)는 한 개의 꼭짓점에 3개의 면이 만나고, 6개의 정사각형 면으로 이루어진 3차원 정다면체로 사각기둥의 한 종류이다(특히, 정사각기둥이다).

목차

  1. 20 처지: 면 (기하학), 모서리, 반지름, 겉넓이, 부피, 깎은 정육면체, 깎은 정팔면체, 꼭짓점, 구 (기하학), 내접, 정다면체, 정팔면체, 정팔포체, 정사각형, 직교 좌표계, 직육면체, 쌍대다면체, 육팔면체, 외접원, 3차원.

  2. 기둥형 다면체
  3. 정다면체

면 (기하학)

학에서 면(面)은 다면체를 이루는 평면으로, 고체인 물체의 경계의 일부를 형성하는 평평한 표면을 가리.

보다 정육면체와 면 (기하학)

모서리

사각형이 모서리로 둘러싸여 있다. 4개의 모서리가 있는 모습. 기하학에서 모서리는 다면체의 면 두 개가 만나서 생기는 선분이.

보다 정육면체와 모서리

반지름

원의 둘레 기하학에서, 원 또는 구의 반지름은 그 중심으로부터 경계에 이르는 선분이.

보다 정육면체와 반지름

겉넓이

겉넓이 또는 표면적(表面積)은 3차원 도형의 바깥 넓이를 뜻.

보다 정육면체와 겉넓이

부피

밀리리터 단위로 부피를 잰다. 부피는 도형이 차지하는 공간이.

보다 정육면체와 부피

깎은 정육면체

깎은 정육면체는 정육면체의 각 꼭짓점을 잘라내어 만든 아르키메데스의 다면체이.

보다 정육면체와 깎은 정육면체

깎은 정팔면체

깎은 정팔면체는 정팔면체의 각 꼭짓점을 잘라내어 만든 다면체이.

보다 정육면체와 깎은 정팔면체

꼭짓점

수학에서, 꼭짓점 또는 정점(-點, 頂點,,, 노드)은 다양한 뜻을.

보다 정육면체와 꼭짓점

구 (기하학)

반지름이 r인 구 구(球, sphere)는 한 점과의 거리가 같은 점들로 이루어진 3차원의 도형이.

보다 정육면체와 구 (기하학)

내접

수학 특히 기하학에서 내접(inscribed,inscription,internal)이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도형과 도형이 서로 접촉된 경우를 가리킬때 사용.

보다 정육면체와 내접

정다면체

정다면체(正多面體) 또는 플라톤의 다면체는 볼록 다면체 중에서 모든 면이 합동인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꼭짓점에서 만나는 면의 개수가 같은 도형을 말. 무수히 많이 존재할 수 있는 정다각형과는 다르게 정다면체는 아래의 5종류만이 존재.

보다 정육면체와 정다면체

정팔면체

정팔면체(正八面體, octahedron)는 한 개의 꼭짓점에 네 개의 면이 만나고, 여덟 개의 정삼각형 면으로 이루어진 3차원 정다면체이.

보다 정육면체와 정팔면체

정팔포체

4차원 초입방체의 3차원 투영. 달리 크로스, 정팔포체의 전개도. 정팔포체(또는 4차원 초입방체)는 8개의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4차원의 정다포체이.

보다 정육면체와 정팔포체

정사각형

정사각형의 정의 정사각형(正四角形)은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네 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사각형이.

보다 정육면체와 정사각형

직교 좌표계

직교 좌표계(直交座標系) 혹은 좌표평면(座標平面)은 임의의 차원의 유클리드 공간(혹은 좀 더 일반적으로 내적 공간)을 나타내는 좌표계 중 하나이.

보다 정육면체와 직교 좌표계

직육면체

직육면체(直六面體)는 모든 면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사각기둥이.

보다 정육면체와 직육면체

쌍대다면체

면의 중심을 꼭짓점으로 해서 이어 만든 정팔면체. 쌍대다면체는 각 면의 중심을 꼭짓점으로 해서 이어 만든 다면체이.

보다 정육면체와 쌍대다면체

육팔면체

육팔면체는 정육면체와 정육면체의 쌍대다면체인 정팔면체의 중간이.

보다 정육면체와 육팔면체

외접원

외접원(外接圓)이란, 어떤 2차원 다각형에 대해, 그 다각형의 꼭짓점들을 원주 위에 가지고 있는 원을 뜻. 그 원의 중심은 외심이.

보다 정육면체와 외접원

3차원

3차원 직교 좌표계. 3차원()은 차원이 3인 것을 가리.

보다 정육면체와 3차원

참고하세요

기둥형 다면체

정다면체

또한 입방체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