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 말기의 선론

색인 조선 말기의 선론

조선 말기의 선론(朝鮮末期의 禪論)은, 백파 긍선(白坡亘璇: 1767~1852)이 자신의 저서 《선문수경(禪文手鏡)》에서 펼친 선론(禪論)을 중심하여, 불립문자(不立文字)를 종지로 하는 선(禪)에 대한 19세기 전반에 있었던 이론적 논쟁을 가리키는 것으로, 조선 말기 불교의 특징을 이루는 논쟁이.

25 처지: 긍선,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교종, 임제, 의순, 조선 말기의 선론, 조선의 불교, 중국의 불교, 축원, 유형, 석가모니, 선 (불교), 선문수경, 홍기, 1767년, 1786년, 1822년, 1824년, 1852년, 1861년, 1866년, 1881년, 1889년, 1926년, 19세기.

긍선

긍선(亘璇: 1767~1852) 조선 후기의 승려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긍선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교종

종(敎宗)이란 부처의 교설 및 그것을 문자로 나타낸 경전을 바탕으로 하는 종지(宗旨)를 뜻하며, 불어종(佛語宗)이라고도 하고, 부처의 일심(一心)을 전하는 불심종(佛心宗)으로서의 선종(禪宗)의 입장에서 불교를 판별(判別)하여 교선2종(敎禪二宗)으로 나눈 데에서 비롯.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교종 · 더보기 »

임제

임제(林悌, 1549년 12월 8일(음력 11월 20일)~1587년 9월 13일(음력 8월 11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 3대 천재시인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임제 · 더보기 »

의순

의순(意恂: 1786년 5월 2일(음력 4월 5일)~ 1866년 9월 10일(음력 8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승려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의순 · 더보기 »

조선 말기의 선론

조선 말기의 선론(朝鮮末期의 禪論)은, 백파 긍선(白坡亘璇: 1767~1852)이 자신의 저서 《선문수경(禪文手鏡)》에서 펼친 선론(禪論)을 중심하여, 불립문자(不立文字)를 종지로 하는 선(禪)에 대한 19세기 전반에 있었던 이론적 논쟁을 가리키는 것으로, 조선 말기 불교의 특징을 이루는 논쟁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조선 말기의 선론 · 더보기 »

조선의 불교

조선의 불교, 즉 조선 시대의 불교는 고려 말기의 불폐(佛弊)로 인해 조선 시대에는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이 강조되어 많은 법난을 겪었.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조선의 불교 · 더보기 »

중국의 불교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중국의 불교 · 더보기 »

축원

축원(竺源: 1861~1926) 또는 서진하(徐震河)는 조선 시대 말기 및 대한제국 시대의 승려이.본관은 이. 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조선후기의 사상 > 조선후기의 종교사상 > 축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호는 진하(震河), 성은 서(徐)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축원 · 더보기 »

유형

유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유형 · 더보기 »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Śākyamuni, 기원전 624년? ~ 544년? 생몰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설이 있지만,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이것(기원전 624년? ~ 544년)을 공식 채택하였다. 그 외 기원전 563년 ~ 483년, 기원전 565년 ~ 485년, 기원전 463년 ~ 383년설이 있다.)는 불교의 교조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석가모니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선 (불교) · 더보기 »

선문수경

《선문수경(禪文手鏡)》은 조선 후기의 고승인 긍선(亘璇)의 저서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선문수경 · 더보기 »

홍기

홍기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홍기 · 더보기 »

1767년

176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1767년 · 더보기 »

1786년

178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1786년 · 더보기 »

1822년

182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1822년 · 더보기 »

1824년

182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1824년 · 더보기 »

1852년

185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1852년 · 더보기 »

1861년

186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1861년 · 더보기 »

1866년

186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1866년 · 더보기 »

1881년

188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1881년 · 더보기 »

1889년

188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1889년 · 더보기 »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1926년 · 더보기 »

19세기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영국의 아프리카 남북 분할의 상징이다. 제1차 아편 전쟁의 전투기록화 19세기(- 世紀)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조선 말기의 선론와 19세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격외선, 의리선, 조사선, 여래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