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왕조의궤

색인 조선왕조의궤

《원행을묘정리의궤》의 처용무 그림 의궤(儀軌)는 조선 왕실에서 국가의 주요 행사가 있을 때 훗날 참고하기 위해 남기는 기록문서를 가리.

27 처지: 강화도, 병인양요, 대한민국의 보물, 일본, 의인왕후, 조선, 조선 태조, 조선왕조의궤,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0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1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2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2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3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4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5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6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7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8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9호), 조선왕조실록, 프랑스, 프랑스 국립도서관, 외규장각, 화성성역의궤, 1601년, 1866년.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강화도 · 더보기 »

병인양요

병인양요(丙寅洋擾)는 1866년(고종 3년)에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인 병인박해를 구실로 삼아 외교적 보호(diplomatic protection)를 명분으로 하여 프랑스가 일으킨 전쟁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병인양요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보물

보물 제1호 흥인지문 대한민국의 보물(大韓民國 寶物)은 목조 건축물, 석조 건축물, 전적류, 서적류, 고문서, 회화, 조각류, 공예품, 고고자료, 무구(巫具) 등 대한민국의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을 국가에서 지정한 것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대한민국의 보물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일본 · 더보기 »

의인왕후

의인왕후(懿仁王后, 1555년 5월 5일(음력 4월 15일) ~ 1600년 8월 5일(음력 6월 27일))는 조선의 제14대 왕 선조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의인왕후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원행을묘정리의궤》의 처용무 그림 의궤(儀軌)는 조선 왕실에서 국가의 주요 행사가 있을 때 훗날 참고하기 위해 남기는 기록문서를 가리.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0호)

보물 제1901-10호 조선왕조의궤는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1건 1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0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1호)

보물 제1901-11호 조선왕조의궤는 청주시청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1건 1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1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2호)

보물 제1901-12호 조선왕조의궤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1건 1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2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호)

조선왕조의궤(보물 제1901-1호)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1,373건, 2,203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2호)

조선왕조의궤(보물 제1901-2호)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291건 384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2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3호)

조선왕조의궤(보물 제1901-1호)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80건 133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3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4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4호)는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의궤 3건 3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4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5호)

조선왕조의궤(보물 제1901-5호)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1,373건 2,203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5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6호)

보물 제1901-6호 조선왕조의궤는 한국순교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2건 2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6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7호)

보물 제1901-7호 조선왕조의궤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1건 9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7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8호)

보물 제1901-7호 조선왕조의궤는 연세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1건 9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8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9호)

보물 제1901-9호 조선왕조의궤는 삼척시립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2건 2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9호)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프랑스

랑스 공화국() 또는 프랑스()는 서유럽의 본토와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를 비롯해 여러 대륙에 걸쳐 있는 해외 레지옹과 해외 영토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유럽 연합 소속 국가 중 가장 영토가 넓. 수도는 파리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프랑스 · 더보기 »

프랑스 국립도서관

. 프랑스 국립도서관(BnF)은 프랑스 파리 시에 있는 국립도서관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프랑스 국립도서관 · 더보기 »

외규장각

외규장각 외규장각(外奎章閣)은 1782년 2월 정조가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설치한 규장각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외규장각 · 더보기 »

화성성역의궤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는 조선 후기 화성 성곽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 의식 등을 수록한 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화성성역의궤 · 더보기 »

1601년

16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1601년 · 더보기 »

1866년

186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1866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의궤, 조선 의궤, 조선의궤, 조선왕조 의궤, 조선왕실 의궤, 조선왕실의궤.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