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주기파

색인 주기파

주기파(主氣派)는 ‘심즉기(心卽氣)’를 주장하는 이이가 기발설(氣發說)을 옹호한 조선시대 성리학의 2대 분파중의 하나이.

12 처지: 기호학파, 임로, 임성주, 이기론, 이이, 이황, 조선, 주리파, 성리학, 서경덕, 송시열, 한원진.

기호학파

호학파(畿湖學派)는 조선시대 이이의 학설을 따르는 주기적 경향의 성리학자들을 말하며 주. 주기론자들은 대부분 기호 지방(경기·충청 일원)에 거주했으므로 '기호학파'라고 부르게 되었.

새로운!!: 주기파와 기호학파 · 더보기 »

임로

임로(任魯, 1755 ~ 1828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주기파와 임로 · 더보기 »

임성주

임성주(任聖周, 1711년 ~ 1788년)는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주기파와 임성주 · 더보기 »

이기론

이기론(理氣論)은 자연의 존재법칙을 연구하는 성리학의 이론이.

새로운!!: 주기파와 이기론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주기파와 이이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주기파와 이황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주기파와 조선 · 더보기 »

주리파

주리파(主理派)는 이황의 이기호발설을 옹호하여 이(理) 일변도의 ‘심즉리(心卽理)’를 주장한 조선 성리학의 양대 산맥 중의 하나이.

새로운!!: 주기파와 주리파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주기파와 성리학 · 더보기 »

서경덕

서경덕(徐敬德, 1489년 3월 18일(음력 2월 17일)~1546년 8월 13일(음력 7월 7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서, 주기파(主氣派)의 거유이.

새로운!!: 주기파와 서경덕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주기파와 송시열 · 더보기 »

한원진

원진의 초상화 한원진(韓元震, 1682년 ~ 1751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이.

새로운!!: 주기파와 한원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주기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