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지장보살

색인 지장보살

장보살(地藏菩薩, 산스크리트어: क्षितिगर्भ, 크시티가르바)은 석가모니불의 열반 후 세상에 내려올 때까지의 무불 시대(말법 시대)에 육도 중생(六道衆生)을 교화하겠다는 큰 서원을 세운 보살(대비보살)이.

44 처지: 데메테르, 돈황, 명나라, 문수보살, 미륵보살, 가나가와현, 가이아, 가사 (옷), 법상종, 고려, 고려 태조, 보현보살, 보살, 관세음보살, 그리스 신화, 극락, 긴키 지방, 김교각, 당나라, 요코하마 시, 임진왜란, 조선, 주화산, 중국, 중생, 진표, 천관녀, 수나라, 오대산, 현장, 여의보주, 열반, 푸퉈산, 사천, 산스크리트어, 석가모니, 석장, 서울 지장사 지장시왕도, 서유기, 손오공, 안후이성, 아미산, 신라, 실차난타.

데메테르

메테르()는 그리스 신화의 곡물과 수확의 여신이며 올림포스의 12신의 하나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데메테르 · 더보기 »

돈황

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지장보살와 돈황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명나라 · 더보기 »

문수보살

문수보살(文殊菩薩, 산스크리트어: मञ्जुश्री, 만주슈리)은 ‘훌륭한 복덕(福德)을 가진’ 혹은 ‘완전한 지혜를 가진’ 불교 보살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문수보살 · 더보기 »

미륵보살

미륵보살(彌勒菩薩,,, 음역(音譯) 미륵彌勒, 의역(意譯) 자씨(慈氏)은 현재는 보살이지만 다음 세상에 부처로 나타날 것이라고 불교에서 믿고 있는 미래의 부처이다. 의역에 '慈(사랑 자)'라는 한자가 들어가는 이유는 미륵의 어원이 되는 산스크리트어 maitrī'가 'loving-kindness'라고 하는 뜻이기 때문이다. 불교교리에 따르면, 용화수 아래에서 고타마 붓다가 제도하지 못한 모든 중생을 제도할 부처로 수기를 받았다. 미륵보살 신앙 또는 미륵 신앙은 미륵보살이 이 세상에 미륵불(彌勒佛)로 출현하여 세상을 구원한다는 신앙이다.

새로운!!: 지장보살와 미륵보살 · 더보기 »

가나가와현

와 현()은 일본 간토 지방 남서부에 위치하며 도쿄도 남쪽에 인접하는 현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가나가와현 · 더보기 »

가이아

의 여신, 가이아. 가이아()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대지의 여신이기도 하고 세상을 모두 지배하는 지배여왕이라는 애칭도 있. 로마 신화의 텔루스() 영어 이름 테라와 동일시.

새로운!!: 지장보살와 가이아 · 더보기 »

가사 (옷)

장삼과 가사를 걸친 스님 모습 가사(袈裟, 산스크리트어: काषाय, 카사야)는 불교 승려가 회색 장삼 위에 입는 장방형의 포를 말.

새로운!!: 지장보살와 가사 (옷)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법상종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보현보살

보현보살(普賢菩薩, 산스크리트어:समन्तभद्र,, 사만타바드라)은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은 보살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보현보살 · 더보기 »

보살

거란의 요나라시기 제작된 관세음보살상: 유희좌 자세를 취하고 있다 보살(菩薩)은 부처(깨달은 사람 또는 존재)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초기불교 경전-니까야에서의 정의), 또는 여러 생을 거치며 선업을 닦아 높은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른 위대한 사람을 뜻. 특히 대승불교에서 강조되었.

새로운!!: 지장보살와 보살 · 더보기 »

관세음보살

세음보살(觀世音菩薩)은 불교의 보살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보살 중 하나로, 석가모니의 입적 이후 미륵이 출현할 때까지 중생들을 고통으로부터 지켜주는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보살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관세음보살 · 더보기 »

그리스 신화

오-클레멘티노 미술관, 원형 전시관) 그리스 신화(-神話)는 고대 그리스의 신과 영웅, 우주관, 그리고 그리스 고유의 종교 의례와 의식 행위의 기원 및 의미에 대한 신화와 전설을 말. 그리스 신화는 고대 그리스 종교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 현대의 학자들은 고대 그리스 문명의 신화를 토대로 한 연구를 통하여 고대 그리스의 종교와 정치 제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신화로 만들어지게 된 생성 원리를.

새로운!!: 지장보살와 그리스 신화 · 더보기 »

극락

극락(極樂)은 서방극락세계(西方極樂世界), 극락정토(極樂淨土), 극락국토(極樂國土)을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극락 · 더보기 »

긴키 지방

방() 또는 간사이 지방()은 남쪽은 기이 반도에서 북쪽은 와카사 만에 이르는, 주고쿠 지방과 주부 지방 사이에 위치한 일본의 지역을 말. 교토부, 오사카부의 2부와 시가현,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미에현의 5현을.

새로운!!: 지장보살와 긴키 지방 · 더보기 »

김교각

각(金喬覺, 697년~794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김교각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당나라 · 더보기 »

요코하마 시

요코하마 시()는 일본 가나가와현 동부에 있는 현청 소재지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요코하마 시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조선 · 더보기 »

주화산

화산의 대웅보전 구화산()은 중국 안후이 성 츠저우 시(池州市) 칭양 현(青阳县) 경내에 있는 불교사대성지 중의 하나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주화산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중국 · 더보기 »

중생

중생(衆生)은 산스크리트어 사트바(sattva)의 번역어로 유정(有情)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중생 · 더보기 »

진표

(眞表: fl. 752)는 신라 중기의 고승(高僧)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진표 · 더보기 »

천관녀

(天官女, ? ~ ?)는 신라 진평왕 시대의 김유신(金庾信)이 화랑 시절에 정을 두고 있던 기생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천관녀 · 더보기 »

수나라

수나라와 그 외 국가 형세 수(隋,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서진이 멸망한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약 300년 만에 재통일한 국. 그러나 제2대 황제인 양제 때 폭정으로 인해 약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멸망하였고, 그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였.

새로운!!: 지장보살와 수나라 · 더보기 »

오대산

오대산(五臺山)은 강원도 강릉시와 평창군 및 홍천군 경계에 있는 높이 1,563m의 산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오대산 · 더보기 »

현장

현장 현장(玄奘, 602년 4월 6일 ~ 664년 3월 7일)은 당나라 초기의 고승이자 번역가로 흔히 현장삼장(玄奘三藏)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현장 · 더보기 »

여의보주

여의보주(如意寶珠) 또는 여의주(如意珠)는 불교에서 신령스러움과 기묘함을 표현하는 보물 구슬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여의보주 · 더보기 »

열반

열반(涅槃)은 "(바람 등이) 불기를 멈추다(촛불 등을) 불어서 끄다(촛불 등이) 불어서 꺼진 상태"라는 뜻의를 음을 따라 번역한 말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열반 · 더보기 »

푸퉈산

보타산 관음상 보타산()은 중국 저장 성 항저우 만 끝자락에서 동쪽으로 약 100해리 밖의 저우산 군도에 있.

새로운!!: 지장보살와 푸퉈산 · 더보기 »

사천

사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지장보살와 사천 · 더보기 »

산스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간칭 범어(梵語)는 인도의 고전어로, 힌두교대승불교자이나ㆍ교 경전의 언어이자 수많은 인도 제어의 고급 어휘의 근간을 구성하는 언어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산스크리트어 · 더보기 »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Śākyamuni, 기원전 624년? ~ 544년? 생몰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설이 있지만,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이것(기원전 624년? ~ 544년)을 공식 채택하였다. 그 외 기원전 563년 ~ 483년, 기원전 565년 ~ 485년, 기원전 463년 ~ 383년설이 있다.)는 불교의 교조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석가모니 · 더보기 »

석장

석장 (화한삼재도회) 석장 (錫杖)은 유행승려가 휴대하는 도구 (비구십팔물)의 하나인 지팡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석장 · 더보기 »

서울 지장사 지장시왕도

서울 지장사 지장시왕도(서울 地藏寺 地藏十王圖)는 중생의 사후세계를 관장하는 지장보살과 명부(冥府)에서 중생들의 죄질을 심판하는 시왕들 그리고 그 권속들을 도설하고 있는 불화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서울 지장사 지장시왕도 · 더보기 »

서유기

16세기 중국 목판본 서유기 right 《서유기》(西遊記)는 중국 명대의 장편소설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서유기 · 더보기 »

손오공

손오공 손오공(孫悟空)은 중국의 4대 기서 가운데 하나인 《서유기》의 주인공인 원숭이로, 오공, 제천대성(齊天大聖, 하늘(제왕)과 같이 높은 성자(신선), 하늘나라 옥황상제와 동등한 위대한 신선을 이름), 혹은 미후왕(美猴王, 잘생긴 원숭이 왕)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지장보살와 손오공 · 더보기 »

안후이성

안후이 성(안휘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 창 강과 화이허 유역의 성이.

새로운!!: 지장보살와 안후이성 · 더보기 »

아미산

아미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지장보살와 아미산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지장보살와 신라 · 더보기 »

실차난타

실차난타(實叉難陀, 652~710)는 당나라 때의 승려로 '신역화엄경', '대승입능가경' 등을 한역하였.

새로운!!: 지장보살와 실차난타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지장신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