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철령위

색인 철령위

령위(鐵嶺衛)는, 고려말(高麗末) 우왕13년, 중국 명(明)이 요동 지역에 설치한 군사적 행정기구이.

32 처지: 동녕부, 목호의 난, 명나라, 강원도 (북), 고려, 고려 공민왕, 고려 우왕, 고려의 행정 구역, 고산군, 회양군, 요동 정벌, 요양, 평안도, 조선, 조선 태조, 지린성, 지안 시 (퉁화 시), 철령, 쌍성총관부, 위화도, 위화도 회군, 최영, 표전문제, 설장수, 성호사설, 한성부, 압록강, 원나라, 홍무제, 1387년, 1388년, 1961년.

동녕부

원 간섭기 시기 고려의 영토이다. 갈색이 동녕부 동녕부(東寧府)는 원나라가 고려 서경을 편입한 후 설치한 통치기관이.

새로운!!: 철령위와 동녕부 · 더보기 »

목호의 난

목호의 난(牧胡의 亂)은, 고려 공민왕 23년(1374년)에 당시 원(元)의 목장이 있던 제주도(濟州島)에서 말을 기르던 목호(하치)들이 주동해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철령위와 목호의 난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철령위와 명나라 · 더보기 »

강원도 (북)

강원도(江原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철령위와 강원도 (북)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철령위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새로운!!: 철령위와 고려 공민왕 · 더보기 »

고려 우왕

우왕(禑王, 1365년 7월 25일 (음력 7월 7일) ~ 1389년 12월 31일 (음력 12월 14일))은 고려 제32대 국왕(재위: 1374년 ~ 1388년)이.

새로운!!: 철령위와 고려 우왕 · 더보기 »

고려의 행정 구역

의 행정 구역은 성종 초부터 정비되었으며, 전국을 5도 양계와 경기로 크게 나뉘었.

새로운!!: 철령위와 고려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고산군

산군(高山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원도에 속해 있는 군이.

새로운!!: 철령위와 고산군 · 더보기 »

회양군

회양군(淮陽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원도에 속해 있는 군이.

새로운!!: 철령위와 회양군 · 더보기 »

요동 정벌

요동 정벌(遼東 征伐)은 명나라가 철령 이북 지역에 철령위를 설치하려는 것에 반발하여 고려가 요동을 경략(經略)하기 위해 일으킨 전쟁이.

새로운!!: 철령위와 요동 정벌 · 더보기 »

요양

요양(姚襄, 331년 ~ 357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 강족(羌族)의 수장이.

새로운!!: 철령위와 요양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철령위와 평안도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철령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철령위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지린성

림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의 성이.

새로운!!: 철령위와 지린성 · 더보기 »

지안 시 (퉁화 시)

안 또는 집안()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吉林省) 퉁화 시(通化市)의 현급시이.

새로운!!: 철령위와 지안 시 (퉁화 시) · 더보기 »

철령

령(鐵嶺)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고산군과 회양군 사이에 있는 고개이.

새로운!!: 철령위와 철령 · 더보기 »

쌍성총관부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는 1258년에 원나라가 화주(和州)에 설치한 통치기구이.

새로운!!: 철령위와 쌍성총관부 · 더보기 »

위화도

250px 위화도(威化島)는 압록강(鴨綠江) 하류에 있는 하중도(河中島)이.

새로운!!: 철령위와 위화도 · 더보기 »

위화도 회군

위화도 회군(威化島 回軍)은 고려 말기 1388년(우왕 14) 음력 5월, 요동 정벌차 군사를 이끌고 압록강 하류의 위화도까지 이른 우군 도통사(右軍 都統使) 이성계가 개경(開京)으로 회군(回軍)한 사건이.

새로운!!: 철령위와 위화도 회군 · 더보기 »

최영

영(崔瑩, 1316년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장군 겸 정치가이다. 본관은 동주(東州)이다. 아버지는 최원직(崔元直)이고, 어머니는 봉산 지씨(鳳山智氏)이다.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우왕의 왕비인 영비 최씨는 그의 서녀였다. 군관으로 출사하여 우달치에 임명된 뒤 관직은 육도 도순찰사, 양광, 전라도 왜적 체복사 등을 거쳐 문하시중에 이르렀다. 1374년에는 제주도에서 일어난 목호(牧胡)의 난을 진압했고, 1376년(우왕 2)에는 왜구의 침략 때, 육군을 이끌고 논산군 연산의 개태사(開泰寺)로 올라오는 왜구를 홍산(鴻山)에서 크게 무찔러 철원 부원군(鐵原府院君)에 봉작되었으며, 여러 번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었다. 이인임 등을 멀리하였고 1388년 이인임, 염흥방을 제거하였다. 유교 사대부와 동맹을 맺은 이성계와 대립하다가 명나라가 서북면을 요구하자 요동정벌을 주장하여 요동정벌군 총사령관 겸 팔도도통사에 임명되었으나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의 반군에 의해 피살되었다. 우왕은 그의 서녀 영비 최씨를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고, 이후 우왕의 정치적 후견인이 되었다. 평소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아버지 최원직의 유언을 받들어 평생 여색과 재물을 멀리하였다. 사위는 사공민(司空敏)이고, 손녀 사위는 조선 초기에 좌의정을 역임한 재상 맹사성이다.

새로운!!: 철령위와 최영 · 더보기 »

표전문제

전문제는 조선 초 명나라에 보낸 표전이 문제를 일으켜 두 나라 사이에 불화를 가져온 일이.

새로운!!: 철령위와 표전문제 · 더보기 »

설장수

설장수(偰長壽, 1341년∼1399년 11월 5일(음력 10월 19일))은, 여말선초의 문신이.

새로운!!: 철령위와 설장수 · 더보기 »

성호사설

《성호사설》(星湖僿說)은 실학자인 성호 이익(李瀷)의 문답집을 엮은 저술이.

새로운!!: 철령위와 성호사설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철령위와 한성부 · 더보기 »

압록강

'''압록강'''(鴨綠江) 압록강(鴨綠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경을 이루는 한반도 북서부의 강이.

새로운!!: 철령위와 압록강 · 더보기 »

원나라

원나라(元朝)은 13세기 몽골 제국이 세운 국가이.

새로운!!: 철령위와 원나라 · 더보기 »

홍무제

명 태조(明太祖, 원 천력 원년 9월 18일(1328년 10월 21일) ~ 홍무 31년 윤 5월 10일(1398년 6월 24일) 또는 홍무제(洪武帝)는 명나라(明)의 태조(재위: 1368년 ~ 1398년)이다.

새로운!!: 철령위와 홍무제 · 더보기 »

138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철령위와 1387년 · 더보기 »

138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철령위와 1388년 · 더보기 »

1961년

196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철령위와 1961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