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청산리 전투

색인 청산리 전투

청산리 전투(靑山里 戰鬪) 또는 청산리 대첩(靑山里 大捷)은 1920년 10월 김좌진, 나중소(羅仲昭), 서일, 이범석 등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홍범도가 지휘하는 대한독립군, 대한신민단 예하 신민단 독립군 등 주축으로 활약한 만주 독립군 연합 부대가 중화민국 길림성 화룡현 청산리 백운평(白雲坪)·천수평(泉水坪)·완루구(完樓溝) 등지의 10여 차례에 간도에 출병한 일본 제국 육군과 전투를 벌인 총칭이.

138 처지: 러시아, 독립군, 독립군 (조선), 독립신문 (대한민국 임시 정부), 룽징 시, 망원경, 만주, 마술피리, 무산군, 백두산, 간도, 간도참변, 강근호, 박은식, 경찰, 경찰서, 보병, 봉오동 전투, 관동군, 북로군정서, 기독교, 블라디보스토크, 김규식, 김규식 (북로군정서), 김좌진, 대종교, 대통령, 대한독립군,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대한광복단, 대한국민회, 대한제국, 교련, 국민부, 국민군, 국민회, 국방부, 두만강, 남만주, 나중소, 니콜라옙스크 사건, 요양, 자유시 참변, 장쭤린, 펑톈 성, 이민화, 이범윤, 이범석, 이범석 (1900년), ..., 이광수, 이우석, 이흥수, 일본, 일본 제국, 일본 제국 육군, 일본군, 일본인, 일송정 푸른 솔은, 의군부, 정의부, 정치범, 조선, 조선군 (일본군), 조선인, 조선총독부, 중국, 중국인,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지청천, 참의부, 청일 전쟁, 청산리, 천보산, 육군, 상해임시정부, 수류탄, 영사관, 옌볜 조선족 자치주, 옌지 시, 최진동, 허룽 시, 사단, 삼둔자 전투, 프리모르스키 지방, 선양 시, 서로군정서, 서일, 통화 사건, 함경도, 함경북도, 야마다, 야영, 한국독립군,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안무 (1883년), 안정근, 신민부, 훈춘 사건, 훈춘 시, 후테이센진, 홍범도, KBS 1TV, 10월, 10월 10일, 10월 15일, 10월 16일, 10월 18일, 10월 19일, 10월 20일, 10월 21일, 10월 22일, 10월 23일, 10월 24일, 10월 25일, 10월 26일, 10월 28일, 10월 2일, 1919년, 1920년, 1921년, 1월 26일, 2010년, 2월, 3·1 운동, 6월, 6월 7일, 7월 11일, 7월 16일, 8월, 8월 17일, 9월, 9월 17일, 9월 20일, 9월 25일, 9월 7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88 더) »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러시아 · 더보기 »

독립군

독립군(獨立軍)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독립군 · 더보기 »

독립군 (조선)

1907년해산 군인이 합류한 이후 의병의 모습. 독립군(獨立軍)은 한국사에서 조선이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를 받고 있던 동안 조선의 독립을 위해 활동하였던 무장 단체를 총칭하여 가리키는 단어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독립군 (조선) · 더보기 »

독립신문 (대한민국 임시 정부)

독립신문, 1919년 8월 21일자 《독립신문(獨立新聞)》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발행했던 기관지의 이름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독립신문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룽징 시

용정(·) 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룽징 시 · 더보기 »

망원경

스커버리 우주왕복선에서 바라본 허블 우주망원경 망원경(望遠鏡)은 렌즈나 거울 등의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가시광선·적외선·자외선·엑스선 등의 전자기파를 모아 멀리 있는 물체를 관측하는 장치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망원경 · 더보기 »

만주

붉은색은 둥베이(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지방이고, 조금 연한 부분은 내몽골 자치구 동부 지역, 가장 연한 부분은 외만주이다. 만주()는 동북아시아 압록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만주 · 더보기 »

마술피리

《마술피리》(혹은 마적(魔笛),, K. 620)는 모차르트가 죽기 두 달 전에 완성한 징슈필로 지금까지도 널리 사랑받는 오페라 중 하나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마술피리 · 더보기 »

무산군

무산군(茂山郡)은 함경북도 중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무산군 · 더보기 »

백두산

백두(白頭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함경북도 혜산군 무산군 과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걸쳐있는 화산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백두산 · 더보기 »

간도

(間島)는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 북쪽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 말로, 간도의 범위에 관하여는 여러 이견이 있. 일반적으로 간도라 하면 현재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가리키며, 두만강 북쪽인 연변 지역을 '북간도'(또는 '동간도'), 그 서쪽인 압록강 북쪽 지역을 '서간도'라 부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간도 · 더보기 »

간도참변

변(間島慘變) 또는 경신참변(庚申慘變) 1920년 일제는 만주의 관동군에 조선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 병력까지 합류시킨 대규모 정규군을 간도로 보내, 독립군을 토벌한다는 명목으로 그 지방에 살고 있던 무고한 한국인을 대량으로 학살하였.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간도참변 · 더보기 »

강근호

강근호(姜槿虎, 1888년 11월 3일 ~ 1960년 2월 24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강근호 · 더보기 »

박은식

박은식(朴殷植, 1859년 10월 25일(음력 9월 30일) ~ 1925년 11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학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교육자, 애국계몽운동가, 정치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박은식 · 더보기 »

경찰

독일 함부르크의 경찰관 일본의 경찰관 경찰(警察)은 사회의 일반적인 법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정부의 행정 활동, 또는 그러한 목적을 위해 조직된 국가 기관을 말. 대부분의 나라에서 경찰은 공무원에 속. 따라서 경찰은 국가 행정기관을 뜻하는 말로도 흔하게 쓰이며, 이를 위한 행정 활동은 공권력이라고 표현.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경찰 · 더보기 »

경찰서

경찰서(警察署)는 경찰 행정을 맡아 하는 관청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경찰서 · 더보기 »

보병

보병(步兵)은 주로 소화기를 가지고 전투를 수행하는 병사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며, 육군의 병과 중 하나를 뜻. 보병전투는 공군, 포병, 기갑 등과의 긴밀한 협동과 지원하에 수행되는 것이 보통이며, 화력과 육박전으로 육상 전투를.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보병 · 더보기 »

봉오동 전투

봉오동 전투(鳳梧洞戰鬪)는 1920년 6월 6일~6월 7일 만주에 주둔 중이던 홍범도(洪範圖), 최진동(崔振東, 일명 최명록(崔明錄)), 안무 등이 이끄는 대한군북로독군부(大韓軍北路督軍府)의 독립군 연합부대와 신민단 예하 이흥수, 한경세의 신민단 독립군 1개 중대가 연합, 중국 지린 성(吉林省) 허룽현(和龍縣) 봉오동에서 일본군 제19사단 월강추격대대, 남양수비대 예하 1개 중대와 싸운 전투이다. 병력은 교전 당시 대한북로독군부 소속 한국인 독립군은 천 2백여 명이었고, 일본군은 5백여 명 정도였다. 삼둔자 전투에서의 패전 이후 일본군 제19사단은 병력을 출병하여 간도 내의 독립군단 토벌에 나선다. 1920년 6월 7일 북로 제1군 사령부(간도국민대) 부장 홍범도는 군무 도독부군, 국민회 독립군과 연합하여 대한북로독군부를 결성하고 봉오동 골짜기 인근에 포위진을 짜고 제3소대 분대장 이화일을 시켜 일본군을 유인해 오도록 하였다. 그러나 소나기가 내리쳤고, 일본군 부대는 선봉으로 올라가던 일본군 부대를 독립군으로 오인하여 사격을 가하면서 교전했다. 고지 꼭대기까지 올라간 홍범도 부대는 이를 내려다보고 남은 일본군에게 사격을 가했다. 6월 7일 오후 1시쯤, 일본군이 봉오동 상동(上洞) 남쪽 300m 지점 갈림길까지 들어오자 홍범도는 신호탄을 올렸다. 중앙선데이 제257호 257호 2012.02.12 삼면 고지에 매복한 독립군이 일제히 사격을 개시하면서 시작된 봉오동 전투는 3시간 이상 계속되었다. 사상자가 늘자 월강추격대대는 도주하기 시작했는데, 강상모(姜尙模)가 2중대를 이끌고 쫓아가 다시 큰 타격을 입혔다. 임시정부 군무부는 봉오동 승첩에서 일본군은 157명이 전사한 반면 아군은 불과 4명만 전사했다고 발표했다. 상해 임시정부의 발표에 의하면, 이 전투에서 일본군 측 피해는 전사자 157, 중상 200, 경상 100명이며 독립군 측 피해는 전사자 4, 중상 2명에 불과했다고 발표하였다. 이후 일본군의 대대적인 탄압을 받게 된 북로독군부군은 청산리로 옮겨가 김좌진의 북로군정서군과 연합하여 청산리 대첩을 전개해 나간다.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봉오동 전투 · 더보기 »

관동군

동군()은 일본 제국이 세운 괴뢰 정권이었던 만주국에 상주(常駐)한 일본 제국 육군의 주력을 이루는 부대 가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관동군 · 더보기 »

북로군정서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는 1919년 북간도에서 만든 무장독립운동 단체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북로군정서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기독교 · 더보기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중국조선말: 블라지보스또크)는 러시아의 도시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블라디보스토크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김규식 · 더보기 »

김규식 (북로군정서)

식(金奎植, 1882년 3월 4일 (음력 1월 15일) ~ 1931년 5월 10일 (음력 3월 23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김규식 (북로군정서) · 더보기 »

김좌진

좌진(金佐鎭, 1889년 12월 16일 ~ 1930년 1월 2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자 독립운동가이었.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김좌진 · 더보기 »

대종교

종교(大倧敎)는 한민족의 교조로 여겨지는 단군을 신봉하는 신흥 종교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대종교 · 더보기 »

대통령

통령(大統領, president)은 공화제 국가의 국가원수로서 나라에 따라 임기가 다르고, 선출하는 방식도 국민의 직접 투표 혹은 의회에서 선출하는 방식으.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대통령 · 더보기 »

대한독립군

독립군(大韓獨立軍)은 1919년 홍범도가 사령관이 되어 의병 출신을 중심으로 중국 지린성에서 만든 항일 독립군 부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대한독립군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국무총리의 휘장 국무총리(國務總理)는 대한민국의 정무직 공무원으로 현행 대한민국 헌법 하에서 대통령을 보좌하며, 행정에 관하여 대통령의 명령을 받아 행정 각부를 통할(통괄 및 관할)하는 역할을 맡는다(헌법 제86조 제2항).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 더보기 »

대한광복단

광복단(大韓光復團)은 1913년 조직된 독립운동 단체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대한광복단 · 더보기 »

대한국민회

국민회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대한국민회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대한제국 · 더보기 »

교련

'''교련 수업 때 착용한 의복'''셔츠, 바지, 모자, 허리띠로 구성되었다. 대한민국의 교련(敎鍊)은 사관생도나 학군후보생, 군사학과 등 군사교육이수자가 아닌, 고등학교 이상의 교육기관에 재학중인 일반 학생들에게 실시된 군사 관련 교육훈련 과목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교련 · 더보기 »

국민부

국민부(國民府)는 일제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단체, 군정부(軍政府)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국민부 · 더보기 »

국민군

국민군은 다음과 같.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국민군 · 더보기 »

국민회

국민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국민회 · 더보기 »

국방부

국방부(國防部, Ministry of National Defense)는 국방을 담당하는 행정기관으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행정부 부처 이름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국방부 · 더보기 »

두만강

만강의 위치 두만강 图们江 두만강(豆滿江)은 백두산의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유입되는 강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국경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러시아 국경 (ru:Российско-северокорейская граница)을 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두만강 · 더보기 »

남만주

만주(南滿州)는 만주 남부를 가리키는 말로, 일찍이 만주국이 있던 지역을 가리키는 지역 호칭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남만주 · 더보기 »

나중소

중소(羅仲昭, 1866년 ~ 1928년)은 경기도 고양 출신의 독립운동가로 자는 영훈(泳薰), 호는 포석(抛石), 아명(雅名)은 나봉길(羅奉吉), 본관은 나주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나중소 · 더보기 »

니콜라옙스크 사건

옙스크 사건 으로 불타서 내려앉은 니콜라옙스크 일본영사관 1920년 6월 욱일기를 내거는 니콜라옙스크 주둔 일본 제국 해군 육전대 니콜라옙스크 사건은 1920년 2월과 3월 사이,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붉은 군대가 하바롭스크 지방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에 출병한 일본군과 전투를 벌인 총칭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니콜라옙스크 사건 · 더보기 »

요양

요양(姚襄, 331년 ~ 357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 강족(羌族)의 수장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요양 · 더보기 »

자유시 참변

자유시 참변(自由市慘變)은 1921년 6월 28일 러시아 스보보드니(알렉세예프스크, 자유시)에서 소련군이 대한독립군단 소속 독립군들을 포위, 사살한 사건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자유시 참변 · 더보기 »

장쭤린

장쭤린(1873년 3월 19일 ~ 1928년 6월 4일)은 중화민국 국민정부 만저우 지방 베이양 군벌 계파 시대의 봉계군벌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장쭤린 · 더보기 »

펑톈 성

펑톈 성()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펑톈 성 · 더보기 »

이민화

이민화(李珉和, 1953년 12월 8일 ~)은 경상북도 군위 출신의 교수, 기업인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이민화 · 더보기 »

이범윤

이범윤(李範允, 1863년 12월 29일 ~ 1940년 10월 20일)은 대한제국의 간도관리사를 지낸 구한말 시대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이범윤 · 더보기 »

이범석

이범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이범석 · 더보기 »

이범석 (1900년)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이범석 (1900년) · 더보기 »

이광수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조선,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언론인, 시인, 문학평론가, 작가, 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장남 안원대군의 후손이다. 사상가, 기자, 번역가, 자유주의 운동가이기도 했다. 일제 강점기에 한민족 독립 운동에 참여, 신한청년당,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고, 임정 사료편찬위원회 그리고 신한청년당의 독립운동지 신한청년(新韓靑年)에도 주필로서 참여하였다. 그는 아시아 근대 문학과 지성의 태동기에서 대한의 재생과 광복을 꿈꾸고 기획하였으며, 여성 해방과 자유 연애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언론인 활동으로 일제 강점기에서 동아일보 편집국장과 조선일보 부사장을 지냈고 또한 문학 번역가로도 활동하며 영미권의 작품을 한글로 번안하여 국내에 소개하기도 했다. 1909년 첫 작품 사랑인가를 발표한 이후 일본 유학 중에 소설과 시, 논설 등을 발표하였고, 귀국 후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망명, 1919년 도쿄(東京)의 조선인 유학생의 2·8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 2·8 독립 선언서를 기초한 후 3·1 운동 전후 상하이로 건너가 상하이 임시정부에 참가하고 그후 독립운동지 신한청년 등에서 주필을 역임하였다. 또한 임시정부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대한제국의 독립의 정당성과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데 노력했다. 또한 임시정부에서 발간하는 기관지인 《독립신문사》 사장을 맡아 활동했다. 하지만 허영숙이 상하이로 찾아와 귀국을 종용하자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접고 1921년 3월 귀국하여 허영숙과 결혼하였다. 종학원에서 철학, 윤리, 심리, 종교 등을 강의했고 경성학교와 경신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잡지《개벽》에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출판법위반으로 입건되었다가 석방되었으며 1922년 5월 개벽지(誌)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우리민족이 쇠퇴한 것은 도덕적 타락 때문이라고 했다. 1923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조선일보》 부사장을 거치는 등 언론계에서 활약하면서 《재생(再生)》, 《마의태자(麻衣太子)》, 《단종애사(端宗哀史)》, 《흙》 등 많은 작품을 쓰는 등 독립운동을 계속해서 전개하였다. 1937년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반 년 만에 병보석되었는데, 이때부터 본격적인 친일 행위로 기울어져 1939년에는 친일어용단체인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 회장이 되었으며 같은 달 20일 조선문인협회 회장으로 협회 주체 전선(戰線) 병사 위문대·위문문 보내기 행사를 주도하였다. 1940년 2월 15일자 『매일신보』에 「국민문학의 의의」를 게재하고 황민화운동을 지지하였으며, 2월 20일자 『매일신보』의 「창씨(創氏)와 나」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향산광랑(香山光郞)으로 바꾼 이유를 밝히고, 일제의 창씨개명 정책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3월부터 7월까지 『녹기(綠旗)』에 「진정 마음이 만나서야말로」를 연재하였으며, 9월 직접 작사한 노래 「지원병 장행가(壯行歌)」가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에서 방송되었다. 12월에는 『국민총력』에 지원병훈련소 참관기인 「지원병훈련소의 하루」를 발표하였고, 황도학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41년 일본어 산문집 『동포에 부침』이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간행되었다. 8월 임전대책협의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41년 9월 3∼5일자 『매일신보』에 「반도민중의 애국운동」을 게재해 일본의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을 지지하였다.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전시생활부장으로, 영미타도대강연회에서 ‘사상 함께 영미를 격멸하라’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기도 하였다. 1942년 5월 조선임전보국단이 주최한 징병제도 연설회에서는 ‘획기적 대선물’이라는 제목으로 연설하였으며, 『신시대』 1942년 4월호 「징병과 여성」을 게재해 징병제 실시를 환영하는 입장을 보였다. 6월 조선문인협회 주최의 ‘일본 군인이 되는 마음가짐’을 듣는 좌담회, 11월 도쿄에서 열린 제1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가하였다. 1943년 4월 조선문인보국회 이사로 선출되었고, 11월 임시특별지원병제도 경성익찬회 종로위원회 실행위원과 연사로 활동하였다. 같은 달 최남선 등과 함께 일본 내 한국인 유학생들의 입대를 권유하는 ‘선배 격려대’에 참여하였다. 1944년 6월 조선문인보국회 평의원, 결전태세즉응(決戰態勢卽應) 재선(在鮮) 문학자 총궐기대회 의장을 맡았다. 8월 적국항복 문인대강연회에서 ‘전쟁과 문학’이란 제목으로 강연을하였으며, 11월 제3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석하였다. 1945년 2월 대화동맹 준비위원 겸 이사, 6월 조선언론보국회 명예회원과 대의당(大義黨) 위원이 되었다. 해방 이후로 백범일지의 교정, 윤문과 안창호의 일대기 집필을 직접 맡아 주관하기도 했다. 1949년 반민특위에 기소가 제기됐으나 석방되었고, 1950년 6월 한국 전쟁때는 서울에 있다가 북한 인민군에게 납북되었다. 그간 생사불명이다가 1950년 만포(滿浦)에서 병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순한글체 소설을 쓰는 등 소설 문학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기도 하였다. 소설가로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 시대 동안 '만인의 연인'이라는 별명과 함께 청소년 남녀 문인들의 우상이었고, 최남선, 홍명희와 더불어 조선의 3대 천재로 대표되었던 인물이었다. 자는 보경(寶鏡), 호는 춘원(春園)·고주(孤舟)·외배·올보리·장백산인(長白山人)이며, 필명으로 춘원생, 경서학인(京西學人), 노아자닷뫼당백, Y생, 장백, 장백산인 등을 썼다.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이광수 · 더보기 »

이우석

이우석(李雨錫, 1896년 ~ 1994년 6월 26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이우석 · 더보기 »

이흥수

이흥수는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이흥수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일본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 혹은 대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 일본 제국의 육군으로 창설되었으며 1945년 일본국 헌법 9조항에 의하여 무력 이용을 포기함으로써 없어지게 되었.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일본 제국 육군 · 더보기 »

일본군

일본군(日本軍,)은 일본 제국의 군대를 가리.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일본군 · 더보기 »

일본인

일본인(にっぽんじん; 닛폰진으로도 읽힘)은 일본 열도에 사는 야마토 민족, 류큐 민족, 아이누 민족, 윌타 민족, 니브히 민족, 오로치 민족 등을 총칭.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일본인 · 더보기 »

일송정 푸른 솔은

《일송정 푸른 솔은》은 1983년 8월 27일에 개봉한 청산리 전투를 다룬 영화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일송정 푸른 솔은 · 더보기 »

의군부

의군부(義軍府)는 일제강점기 한국의 무장독립운동단체, 군정부(軍政府)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의군부 · 더보기 »

정의부

정의부(正義府)는 1924년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항일 무장독립운동 단체, 군정부(軍政府)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정의부 · 더보기 »

정치범

정치범(政治犯) 또는 확신범(確信犯)은 범죄의 동기가 종교·도덕·정치상의 신념에 기초되는 것을 말하며 도덕적으로 파렴치한 종류의 일반적 범죄와는 달리 취급을.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정치범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조선 · 더보기 »

조선군 (일본군)

일본 제국 조선군(朝鮮軍) 또는 조선 주둔 일본군(朝鮮 駐屯 日本軍)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이 조선 지역을 수비하기 위한 일환으로 주둔군이었.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조선군 (일본군) · 더보기 »

조선인

조선인(朝鮮人)은 한국인을 뜻하는 다른 말로서, 다음 뜻으로도 쓰인.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조선인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중국 · 더보기 »

중국인

칭하이의 티베트족. 중국인(中國人)은 중국(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의 여러 민족을 총칭하거나, 중국의 국민을 뜻하는 말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중국인 · 더보기 »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공화국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중화민국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지린성

림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의 성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지린성 · 더보기 »

지청천

청천(池靑天, 1888년 2월 15일 ~ 1957년 1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항일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었으며, 만주에서 독립군 활동을 지휘하다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광복군 창설에 참여하여 광복군사령관·광복군 총사령관 등을 역임하였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정치가 겸 정당인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지청천 · 더보기 »

참의부

민국 임시정부 육군주만참의부(大韓民國臨時政府陸軍駐滿參議府)는 일제강점기 1924년 6월부터 1929년 10월까지 활동한 무장독립운동단체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참의부 · 더보기 »

청일 전쟁

청일 전쟁(淸日戰爭)은 청나라와 일본 제국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청일 전쟁 · 더보기 »

청산리

청산리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청산리 · 더보기 »

천보산

보산은 의정부 양주 포천지역에 걸쳐져있는 산으로, 높이는 337m 이. 서쪽으로는 중랑천, 호명산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경기도제2청사, 동쪽으로는 용암산, 동남쪽으로는 부용산 서남쪽으로는 사패산, 도봉산 이 있. 한국전쟁 당시 큰 산불이 일어나서 나무가 한때 듬성듬성했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는 빡빡산이라고도 불렸었.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천보산 · 더보기 »

육군

육군(陸軍)은 지상 전투를 주임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육군 · 더보기 »

상해임시정부

상하이 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는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설립된 임시정부로 대한민국의 망명정수의 하나였.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상해임시정부 · 더보기 »

수류탄

MK II 수류탄 투척 훈련을 하는 미군 병사. 제2차 세계 대전 중. 수류탄(手榴彈, hand grenade)은 손으로 던지는 근접 전투용 소형 폭탄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수류탄 · 더보기 »

영사관

주재 대한민국 총영사관 영사관(領事館) 또는 총영사관(總領事館)은 영사가 주재국에서 직무를 보는 기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영사관 · 더보기 »

옌볜 조선족 자치주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동북 지역 지린 성(吉林省)의 자치주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옌볜 조선족 자치주 · 더보기 »

옌지 시

옌지 시(연길시) 는 중국 동북지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주정부가 위치하고 있는 현급시이자 주도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옌지 시 · 더보기 »

최진동

동(崔振東, 1883년 ~ 1945년 11월 2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최진동 · 더보기 »

허룽 시

룽(화룡)은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속하며, 면적은 5,069km2, 인구는 22만명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허룽 시 · 더보기 »

사단

사단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사단 · 더보기 »

삼둔자 전투

삼둔자 전투(三屯子戰鬪)는 1920년 6월 4일 새벽 5시부터 6월 6일 자정까지 대한북로독군부(大韓軍北路督軍府)의 독립군 연합부대와 신민단 예하 이흥수의 신민단 독립군 1개 중대가 연합, 만주 북간도 화룡현(和龍縣) 월신강변 삼둔자(三屯子)에서 니히미 지로 중위가 이끄는 (일본군 남양수비대(南陽守備隊) 예하 1개 중대를 격파한 소규모 전투였다. 한국인 독립군이 국내 진공을 목적으로 일본군을 선제 공격한 사건이기도 하다. 봉오동 전투로 이어지며 넓게는 봉오동 전투의 일부로 보기도 한다. 6월 4일 새벽에 북간도 화룡현 삼둔자에서 출발한 독립군 홍범도, 최진동 부대의 1개소대와 신민단 독립군 예하 1개 소대가 당일 새벽 5시 경 함경북도 종성군 강양동의 일본군 헌병 초소를 선제 습격함으로써 발생하였다. 이후 6월 6일 월강추격대대가 이들을 추격하여 불법으로 중국 영토인 삼둔자에 왔으나 독립군이 보이지 않아 보복으로 양민을 살육하였다. 삼둔자 범진령 고개에 숨어있던 독립군 부대는 매복한 지점 한가운데까지 이들이 들어오기를 기다려 궤멸, 퇴각시켰다. 1920년 6월 7일의 봉오동 회전은 그 직전에 있은 화룡현 월신강(月新江) 삼둔자 전투에서 비롯되었다. 삼둔자 전투는 독립군이 그동안 통상적으로 수행하던 소규모의 국내 진입작전이 도화선이 됐다.윤병석, 《간도역사의 연구》(국학자료원, 2006) 75페이지 동시에 일본군 육군이 최초로 중국 대륙을 침공한 사건이기도 하다.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삼둔자 전투 · 더보기 »

프리모르스키 지방

리모르스키 지방 프리모르스키 지방()은 러시아 극동에 위치한 러시아의 지방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프리모르스키 지방 · 더보기 »

선양 시

선양 시(瀋陽市; 심양시)는 중국 랴오닝 성의 성도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선양 시 · 더보기 »

서로군정서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는 서간도 혹은 남만주에 있던 한국의 독립혁명단체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서로군정서 · 더보기 »

서일

서일(徐一, 1881년 2월 26일 ~ 1921년 8월 28일)은 조선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서일 · 더보기 »

통화 사건

중화민국지린 성퉁화 시 통화 사건은 1946년 2월 3일 인민해방군, 독립군이 지린 성 퉁화 시에서 일본군 패잔병과 전투를 벌인 총칭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통화 사건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함경도 · 더보기 »

함경북도

경북도(咸鏡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함경북도 · 더보기 »

야마다

야마다()의 이름을 쓰는 것에는 아래 항목들이 있.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야마다 · 더보기 »

야영

암스테르담에 있는 야영지 야영(野營) 또는 캠핑()은 야외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야영 · 더보기 »

한국독립군

국독립군(韓國獨立軍)은 일제강점기 북만주 지역에서 창립, 활동한 한국독립당의 당군(黨軍)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한국독립군 · 더보기 »

한국독립운동지혈사

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역사학자 박은식이 1920년에 집필하고, 상하이의 유신사(維新社)에서 간행한 한국의 항일 독립운동에 관한 한문으로 된 역사서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더보기 »

안무 (1883년)

안무(安武, 1883년 음력 6월 29일 ~ 1924년 양력 9월 8일)는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안무 (1883년) · 더보기 »

안정근

안정근(安定根, 1885년 1월 17일 ~ 1949년 3월 17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안정근 · 더보기 »

신민부

신민부(新民府)는 한국의 항일 독립운동단체, 군정부(軍政府)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신민부 · 더보기 »

훈춘 사건

훈춘 사건(琿春 事件)은 1920년 일본 제국이 봉오동 전투에서의 패배를 만회하기 위해 일본군이 중국 마적단과 내통해 고의로 일본 관공서를 습격한 사건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훈춘 사건 · 더보기 »

훈춘 시

훈춘()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동부에 위치한 현급시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러시아에 인접해 있어 국경 개방 도시로 지정되어 있. 시의 인구는 25만여 명이고, 이 중 한민족이 약 45%를.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훈춘 시 · 더보기 »

후테이센진

불령선인()은 일본 제국이 일제 강점기 식민지통치에 반대하는 조선인을 불온하고 불량한 인물로 지칭한 용어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후테이센진 · 더보기 »

홍범도

홍범도(洪範圖, 1868년 10월 12일(음력 8월 27일) ~ 1943년 10월 25일)는 조선 말기의 의병장이며, 일제 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 군인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홍범도 · 더보기 »

KBS 1TV

KBS 1TV(정식명칭은 KBS 제1텔레비전)는 KBS에서 방송되는 TV 채널로서, KBS 2TV와 달리 뉴스·교양·다큐멘터리·스포츠 프로그램 등을 방송.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KBS 1TV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 더보기 »

10월 10일

10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3번째(윤년일 경우 2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10일 · 더보기 »

10월 15일

10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8번째(윤년일 경우 2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15일 · 더보기 »

10월 16일

10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9번째(윤년일 경우 29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16일 · 더보기 »

10월 18일

10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1번째(윤년일 경우 2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18일 · 더보기 »

10월 19일

10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2번째(윤년일 경우 29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19일 · 더보기 »

10월 20일

10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3번째(윤년일 경우 2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20일 · 더보기 »

10월 21일

10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4번째(윤년일 경우 29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21일 · 더보기 »

10월 22일

10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5번째(윤년일 경우 29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22일 · 더보기 »

10월 23일

10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6번째(윤년일 경우 2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23일 · 더보기 »

10월 24일

10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7번째(윤년일 경우 29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24일 · 더보기 »

10월 25일

10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8번째(윤년일 경우 29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25일 · 더보기 »

10월 26일

10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9번(윤년일 경우 30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26일 · 더보기 »

10월 28일

10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1번째(윤년일 경우 30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28일 · 더보기 »

10월 2일

10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5번째(윤년일 경우 27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0월 2일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919년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920년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921년 · 더보기 »

1월 26일

1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번째(윤년일 경우도 2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1월 26일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2010년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2월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3·1 운동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6월 · 더보기 »

6월 7일

6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8번째(윤년일 경우 15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6월 7일 · 더보기 »

7월 11일

7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2번째(윤년일 경우 19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7월 11일 · 더보기 »

7월 16일

7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7번째(윤년일 경우 19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7월 16일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8월 · 더보기 »

8월 17일

8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9번째(윤년일 경우 23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8월 17일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9월 · 더보기 »

9월 17일

9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0번째(윤년일 경우 2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9월 17일 · 더보기 »

9월 20일

9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3번째(윤년일 경우 2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9월 20일 · 더보기 »

9월 25일

9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8번째(윤년일 경우 26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9월 25일 · 더보기 »

9월 7일

9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0번째(윤년일 경우 25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산리 전투와 9월 7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청산리 대첩, 청산리 싸움, 청산리독립전쟁, 청산리대첩, 청산리전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