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장헌식

색인 장헌식

장헌식(張憲植, 1869년 음력 9월 21일 ~ 1950년 양력 8월 20일)은 대한제국 말기부터 일제 강점기 동안 관료를.

155 처지: 도쿄 대학, 동민회, 만주사변, 미 군정, 민대식,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간토 대지진, 강원도, 가나가와현, 경기도, 경성부, 게이오기주쿠 대학, 광복회, 관립한성외국어학교, 궁내부, 대성중학교,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대화동맹, 교토부,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국민총력조선연맹, 용인시, 평양부, 평안북도, 평안남도, 이토 히로부미, 이왕직, 인동 장씨, 일본, 일본 법무성, 일본 대장성, 일제 강점기, 음력 9월 21일, 전라북도, 전라남도, 전라남도지사, 조선임전보국단,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중추원, 종로도서관, 중일 전쟁, 청주시, 충청북도, 충청북도지사,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 친일인명사전, 친일파 708인 명단, 치질, 팔괘장, 현내면, 최송설당, 행정법, 사무관, 사회주의, 석진형, 서대문형무소, 애국금차회, 함경북도, 함경남도, 한일 병합 조약, 한성부판윤, 안중근, 학부, 원응상, 훈등, 황해도, 10월, 10월 16일, 10월 18일, 10월 21일, 10월 24일, 10월 2일, 11월, 11월 25일, 12월, 12월 1일, 12월 20일, 12월 27일, 1869년, 1895년, 1897년, 1898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5년, 1906년, 1907년, 1909년, 1910년, 1915년, 1917년, 1920년, 1921년, 1922년, 1923년, 1924년, 1926년, 1928년, 1930년, 1931년, 1933년, 1935년, 1937년, 1938년, 1940년, 1941년, 1945년, 1946년, 1948년, 1949년, 1950년, 1월, 1월 15일, 1월 16일, 1월 25일, 1월 3일, 2002년, 2008년, 2009년, 2월, 2월 12일, 2월 14일, 2월 15일, 2월 22일, 3·1 운동, 3월, 3월 15일, 3월 18일, 3월 1일, 3월 5일, 3월 9일, 4월, 5월, 5월 7일, 6월 12일, 6월 16일, 6월 24일, 7월, 7월 11일, 7월 13일, 7월 22일, 7월 31일, 8월, 8월 14일, 8월 15일, 8월 20일, 9월 27일, 9월 2일, 9월 4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5 더) »

도쿄 대학

학 발상지 비(도쿄도 지요다 구) 도쿄 대학()은 일본에 있는 국립 대학 법인이.

새로운!!: 장헌식와 도쿄 대학 · 더보기 »

동민회

동민회(同民會)는 일제 강점기에 반일 운동에 대항하기 위해 조직되어 활동했던 단체이.

새로운!!: 장헌식와 동민회 · 더보기 »

만주사변

만주 사변(滿洲事變) 혹은 9·18 사변은 일본 제국이 1931년 9월 18일 류탸오후 사건(柳條湖事件)을 조작해 일본 관동군이 만주를 중국 침략을 위한 전쟁의 병참 기지로 만들고 식민지화하기 위해 벌인 침략 전쟁을 말. 제1차 세계 대전 종전(1918년) 이후, 일본이 지원하는 중국의 군벌 봉천파(장쭤린)는 장제스의 국민혁명군에 밀리기 시작하여 일본 본국 정부는 장쭤린에게 퇴각을 권고했고, 만주에서 그를 보호하려 하였.(1927년) 일본 정부의 시각에 반발해, 관동군의 일부 참모들이 모의하여 장쭤린을 암살(1928년)하는데 성공하였.

새로운!!: 장헌식와 만주사변 · 더보기 »

미 군정

미 군정(美軍政, 米軍政)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장헌식와 미 군정 · 더보기 »

민대식

민대식(閔大植, 1882년 ~ ?)은 일제 강점기의 은행가이.

새로운!!: 장헌식와 민대식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民族問題硏究所)는 재야운동가 임종국의 유지를 잇는다는 명분으로 설립된 단체로서, 1991년 2월 27일 '반민족문제연구소'로 시작하여 1995년 '민족문제연구소'로 개칭한 민간 단체이.

새로운!!: 장헌식와 민족문제연구소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이 문서는 민족문제연구소가 2009년 11월 8일에 편찬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자들에 관한 명단을.

새로운!!: 장헌식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더보기 »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약칭:민족정기의원모임)은 대한민국 국회 의원들 가운데 친일파 청산 및 독립 정신 선양,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 반대, 현대사의 재조명 등의 문제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2001년 조직한 단체이.

새로운!!: 장헌식와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 · 더보기 »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 약칭 반민특위(反民特委)는 일제 강점기 시대에 일본제국과 적극적으로 협조하여 악질적으로 반민족적 행위를 한 자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헌국회에서 설치한 특별위원회이.

새로운!!: 장헌식와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 더보기 »

간토 대지진

화재가 일어난 마루노우치. 요코하마에서 본 간토 대지진의 피해 간토 대지진()은 1923년 9월 1일 11시 58분 32초(일본 표준시)에 일본 가나가와현 사가미 만을 진앙지로 발생했던 큰 지진이.

새로운!!: 장헌식와 간토 대지진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장헌식와 강원도 · 더보기 »

가나가와현

와 현()은 일본 간토 지방 남서부에 위치하며 도쿄도 남쪽에 인접하는 현이.

새로운!!: 장헌식와 가나가와현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장헌식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성부

경성부(京城府) 또는 게이조 부()는 일제 강점기 때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경성부 · 더보기 »

게이오기주쿠 대학

이오기주쿠 대학()은 일본의 명문 사립 대학이.

새로운!!: 장헌식와 게이오기주쿠 대학 · 더보기 »

광복회

광복회(光復會, Liberation Association)는 대한민국의 독립 운동가와 그 후손, 유족들이 구성한 단체로서 민족정기 선양 및 회원간 친목을 목적으로 하고 있. 1965년에 설립되었으며 초대 회장에는 3·1 운동의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었던 이갑성이 취임.

새로운!!: 장헌식와 광복회 · 더보기 »

관립한성외국어학교

립한성외국어학교(官立漢城外國語學校)는 개화기인 대한제국 시기에 관립으로 설립된 외국어 학교이.

새로운!!: 장헌식와 관립한성외국어학교 · 더보기 »

궁내부

궁내부(宮內府)는 조선 말기인 1894년 제1차 갑오개혁 때 신설되어 왕실 업무를 총괄한 관청이.

새로운!!: 장헌식와 궁내부 · 더보기 »

대성중학교

성중학교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장헌식와 대성중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반민규명위 보고서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大韓民國 親日反民族行爲眞相糾明委員會, 약칭 반민규명위)는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이 2004년 3월 22일 공포되면서 이 법률의 시행령에 따라 2005년 5월 31일 대통령 소속으로 발족한 기구이.

새로운!!: 장헌식와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장헌식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화동맹

화동맹(大和同盟)은 일제 강점기 말기인 1945년에 경성부에서 결성된 단체이.

새로운!!: 장헌식와 대화동맹 · 더보기 »

교토부

부()는 일본 긴키 지방에 있는 행정 구역이.

새로운!!: 장헌식와 교토부 · 더보기 »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國民精神總動員朝鮮聯盟)는 1938년에 동아일보의 김성수, 조선일보의 방응모, 이화여대의 김활란 등이 결성한 전시동원 선전조직으로 그 회원의 수가 삼만여 명에 이루었.

새로운!!: 장헌식와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 더보기 »

국민총력조선연맹

국민총력조선연맹(國民總力朝鮮聯盟)은 일제 강점기 말기에 결성된 관제 단체이.

새로운!!: 장헌식와 국민총력조선연맹 · 더보기 »

용인시

용인시(龍仁市)는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장헌식와 용인시 · 더보기 »

평양부

평양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헌식와 평양부 · 더보기 »

평안북도

평안북도(平安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장헌식와 평안북도 · 더보기 »

평안남도

평안남도(平安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장헌식와 평안남도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1841년 10월 16일 ~ 1909년 10월 26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이자 일본 제국의 헌법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장헌식와 이토 히로부미 · 더보기 »

이왕직

이왕직(李王職)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대한제국 황족의 의전 및 대한제국 황족과 관련된 사무를 담당하던 기구로, 대한제국 시기에 황실 업무를 담당하던 궁내부를 형식적으로 계승한 기구이.

새로운!!: 장헌식와 이왕직 · 더보기 »

인동 장씨

인동 장씨(仁同 張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인동동(仁同洞)을 관향(貫鄕)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장헌식와 인동 장씨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장헌식와 일본 · 더보기 »

일본 법무성

법무성(Ministry of Justice, 약칭: MOJ)은 일본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장헌식와 일본 법무성 · 더보기 »

일본 대장성

장성(Ministry of the Treasury)는 일본의 과거 중앙 행정기관으로서 2001년의 중앙 성청 개편으로 사라졌.

새로운!!: 장헌식와 일본 대장성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장헌식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음력 9월 21일

음력 9월 21일은 음력 9월의 21번째 날이.

새로운!!: 장헌식와 음력 9월 21일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장헌식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장헌식와 전라남도 · 더보기 »

전라남도지사

전라남도지사(全羅南道知事)는 전라남도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자치단체장이.

새로운!!: 장헌식와 전라남도지사 · 더보기 »

조선임전보국단

조선임전보국단(朝鮮臨戰保國團)은 일제 강점기 말기인 1941년 9월에 태평양 전쟁 지원을 위해 여러 단체들이 통합되어 조직된 연합 단체이.

새로운!!: 장헌식와 조선임전보국단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새로운!!: 장헌식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중추원

조선총독부 중추원(中樞院)은 일제 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의 자문기관으로 존재한 기관이.

새로운!!: 장헌식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 더보기 »

종로도서관

종로도서관은 1920년 11월 5일 종로구 가회동 취운정에 경성도서관이란 이름으로 설립된 서울 최초의 근대적 도서관이.

새로운!!: 장헌식와 종로도서관 · 더보기 »

중일 전쟁

중일 전쟁(中日戰爭)은 1937년 7월 7일 일본의 중국 대륙 침략으로 시작되어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계속된 중화민국과 일본제국 사이의 전쟁이.

새로운!!: 장헌식와 중일 전쟁 · 더보기 »

청주시

청주시(淸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충청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장헌식와 청주시 · 더보기 »

충청북도

충청북도(忠淸北道)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이.

새로운!!: 장헌식와 충청북도 · 더보기 »

충청북도지사

충청북도지사(忠淸北道知事)는 충청북도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

새로운!!: 장헌식와 충청북도지사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親日反民族行爲705人名單)은 2009년 11월 27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반민규명위, 위원장 성대경)가 이명박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일제 강점기 말기 친일반민족행위 관련자 705명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장헌식와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 더보기 »

친일인명사전

일인명사전(親日人名辭典)은 민족문제연구소가 일제 강점기에 민족 반역, 부일 협력 등 친일반민족행위를 자행한 한국인(친일파)의 목록을 정리해 2009년 11월 8일에 발간한 인명 사전이.

새로운!!: 장헌식와 친일인명사전 · 더보기 »

친일파 708인 명단

일파 708인 명단(親日派 708人 名單)은 2002년 2월 28일 대한민국 국회의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회장 김희선)이 발표한 주요 친일 인사 708명 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장헌식와 친일파 708인 명단 · 더보기 »

치질

수치질 치질(痔疾, hemorrhoid, piles)은 항문 바로 위 직장의 정맥들의 모인 정맥총이 부풀어 오른 것이.

새로운!!: 장헌식와 치질 · 더보기 »

팔괘장

학 삽입 그림 팔괘장(八卦掌)은 중국 무술 중의 하나이.

새로운!!: 장헌식와 팔괘장 · 더보기 »

현내면

현내면(縣內面)은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의 면이.

새로운!!: 장헌식와 현내면 · 더보기 »

최송설당

송설당(崔松雪堂, 1855(철종 6) ~ 1939)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이.

새로운!!: 장헌식와 최송설당 · 더보기 »

행정법

행정법(行政法)이란 행정조직, 작용 및 행정구제를 다루는 공법(公法)을 말.대영문화사 출판, 《1/2급 공인행정관리사 문제연구》.한국행정정보연구원.

새로운!!: 장헌식와 행정법 · 더보기 »

사무관

사무관(事務官)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의 직급 중의 하나로서 주사(6급)의 위이며 서기관(4급) 아래이.

새로운!!: 장헌식와 사무관 · 더보기 »

사회주의

사회주의(社會主義, Socialism)는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와 소수 관리에 반대하고 공동체주의와 최대 다수의 행복 실현을 최고 가치로 하는 공동 이익 인간관 을 사회 또는 윤리관의 기반으로 삼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며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협동 경제와 모든 민중이 노동의 대가로서 정당하고 평등하게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 다양한 사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또는 그 과정을 의미.

새로운!!: 장헌식와 사회주의 · 더보기 »

석진형

석진형(石鎭衡, 1877년 9월 29일 ~ 1946년 2월 24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 기업인이.

새로운!!: 장헌식와 석진형 · 더보기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 형무소(西大門刑務所), 서대문 감옥(西大門監獄)은 1907년(융희 원년) 대한제국을 점령한 한국통감부가 서울에 건설한 형무소이.

새로운!!: 장헌식와 서대문형무소 · 더보기 »

애국금차회

애국금차회(愛國金釵會)는 1937년 조직된 여성 친일단체이.

새로운!!: 장헌식와 애국금차회 · 더보기 »

함경북도

경북도(咸鏡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장헌식와 함경북도 · 더보기 »

함경남도

경남도(咸鏡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장헌식와 함경남도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장헌식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장헌식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안중근

안중근(安重根, 1879년 9월 2일 ~ 1910년 3월 26일) 의사는 대한제국의 항일 의병장 겸 정치 사상가이.

새로운!!: 장헌식와 안중근 · 더보기 »

학부

학부(學部)는 대학의 학사 과정을 일컫는 말로, 대학원 과정에 대비되는 말로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나 본래는 일본에서 건너온 말로써 현재 한국 대학의 "대학" 혹은 "칼리지"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학부 · 더보기 »

원응상

원응상 원응상(元應常, 1869년 8월 20일 ~ 1958년 8월 20일)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미군정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장헌식와 원응상 · 더보기 »

훈등

훈등(勲等)은 공훈에 대해 수여된 등급이.

새로운!!: 장헌식와 훈등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장헌식와 황해도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장헌식와 10월 · 더보기 »

10월 16일

10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9번째(윤년일 경우 29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10월 16일 · 더보기 »

10월 18일

10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1번째(윤년일 경우 2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10월 18일 · 더보기 »

10월 21일

10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4번째(윤년일 경우 29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10월 21일 · 더보기 »

10월 24일

10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7번째(윤년일 경우 29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10월 24일 · 더보기 »

10월 2일

10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5번째(윤년일 경우 27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10월 2일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장헌식와 11월 · 더보기 »

11월 25일

11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9번째(윤년일 경우 33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11월 25일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장헌식와 12월 · 더보기 »

12월 1일

12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5번째(윤년일 경우 33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12월 1일 · 더보기 »

12월 20일

12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4번째(윤년일 경우 3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12월 20일 · 더보기 »

12월 27일

1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1번째(윤년일 경우 3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12월 27일 · 더보기 »

1869년

186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869년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895년 · 더보기 »

1897년

189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897년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898년 · 더보기 »

1902년

190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02년 · 더보기 »

1903년

190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03년 · 더보기 »

1904년

190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04년 · 더보기 »

1905년

190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05년 · 더보기 »

1906년

190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06년 · 더보기 »

1907년

190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07년 · 더보기 »

1909년

190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09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10년 · 더보기 »

1915년

191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15년 · 더보기 »

1917년

191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17년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20년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21년 · 더보기 »

1922년

192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22년 · 더보기 »

1923년

192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23년 · 더보기 »

1924년

192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24년 · 더보기 »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26년 · 더보기 »

1928년

192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28년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30년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31년 · 더보기 »

1933년

193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33년 · 더보기 »

1935년

193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35년 · 더보기 »

1937년

193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37년 · 더보기 »

1938년

193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38년 · 더보기 »

1940년

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40년 · 더보기 »

1941년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41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45년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46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48년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49년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1950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장헌식와 1월 · 더보기 »

1월 15일

1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번째(윤년일 경우도 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1월 15일 · 더보기 »

1월 16일

1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번째(윤년일 경우도 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1월 16일 · 더보기 »

1월 25일

1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번째(윤년일 경우도 2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1월 25일 · 더보기 »

1월 3일

1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1월 3일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장헌식와 2002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2008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장헌식와 2009년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장헌식와 2월 · 더보기 »

2월 12일

2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3번째(윤년일 경우도 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2월 12일 · 더보기 »

2월 14일

2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5번째(윤년일 경우도 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2월 14일 · 더보기 »

2월 15일

2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6번째(윤년일 경우도 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2월 15일 · 더보기 »

2월 22일

2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3번째(윤년일 경우도 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2월 22일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새로운!!: 장헌식와 3·1 운동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장헌식와 3월 · 더보기 »

3월 15일

3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4번째(윤년일 경우 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3월 15일 · 더보기 »

3월 18일

3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7번째(윤년일 경우 7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3월 18일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3월 1일 · 더보기 »

3월 5일

3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4번째(윤년일 경우 6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3월 5일 · 더보기 »

3월 9일

3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8번째(윤년일 경우 6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3월 9일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장헌식와 4월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장헌식와 5월 · 더보기 »

5월 7일

5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7번째(윤년일 경우 128번째), 뒤에서부터는 2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5월 7일 · 더보기 »

6월 12일

6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3번째(윤년일 경우 1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6월 12일 · 더보기 »

6월 16일

6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7번째(윤년일 경우 16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6월 16일 · 더보기 »

6월 24일

6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5번째(윤년일 경우 17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6월 24일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장헌식와 7월 · 더보기 »

7월 11일

7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2번째(윤년일 경우 19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7월 11일 · 더보기 »

7월 13일

7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4번째(윤년일 경우 19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7월 13일 · 더보기 »

7월 22일

7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3번째(윤년일 경우 2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7월 22일 · 더보기 »

7월 31일

7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2번째(윤년일 경우 21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7월 31일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장헌식와 8월 · 더보기 »

8월 14일

8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6번째(윤년일 경우 22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8월 14일 · 더보기 »

8월 15일

8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7번째(윤년일 경우 2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8월 15일 · 더보기 »

8월 20일

8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2번째(윤년일 경우 23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8월 20일 · 더보기 »

9월 27일

9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0번째(윤년일 경우 27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9월 27일 · 더보기 »

9월 2일

9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5번째(윤년일 경우 2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9월 2일 · 더보기 »

9월 4일

9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7번째(윤년일 경우 24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헌식와 9월 4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취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