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하위지

색인 하위지

위지(河緯地, 1412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이며 조선 단종 때 사육신의 한 사람이.

118 처지: 더 넛츠, 동학사, 박팽년, 강원도, 거열, 경상도, 경상북도, 경연, 고려, 계유정난, 봉석주, 관찰사, 권람, 부제학, 금성대군, 김문기, 김종서, 김종서 (1383년), 김질, 김질 (1422년), 김숙자 (1389년), 김시습, 교리, 군수, 남효온, 나주시, 노량진동, 논산시, 우의정, 우찬성, 이개, 이조, 이징옥, 이징옥의 난, 이치우, 이수형 (1435년), 이시애, 이시애의 난, 의금부, 의정부, 의정부서사제, 의성군, 전라도, 정보 (조선), 정창손, 정여창, 조려, 조선, 조선 문종, 조선 단종, ..., 조선 숙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좌의정, 좌찬성, 주나라, 집현전, 진주 하씨, 참의, 참판, 충청남도, 춘추관, 추증, 판서, 유자미, 유응부, 유성원, 육조, 파천무, 생육신, 생원, 영의정, 영풍군 (왕족), 영월군, 혜빈 양씨, 예조, 최만리, 역대병요, 사례교위부, 사가독서, 사직, 사육신, 사육신묘, 사헌부, 선산, 선산군, 성균관, 성담수, 성승, 성삼문, 세조찬위, 서울특별시, 안평대군, 하진, 하연, 하원, 하원 (조선), 신숙주, 원호, 훈민정음, 황보인, 왕세자, 1387년, 1412년, 1435년, 1438년, 1440년, 1444년, 1446년, 1450년, 1451년, 1453년, 1454년, 1455년, 1456년, 1468년, 6조직계제, 9월 6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8 더) »

더 넛츠

넛츠(The Nuts)는 대한민국의 2인조 남성 가수 그룹이.

새로운!!: 하위지와 더 넛츠 · 더보기 »

동학사

동학사동학사(東鶴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하위지와 동학사 · 더보기 »

박팽년

박팽년(朴彭年, 1417년 ~ 145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겸 학자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하위지와 박팽년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하위지와 강원도 · 더보기 »

거열

투팍 아마루 2세의 거열 거열(車裂) 또는 환열(轘裂), 오우분시(五牛分屍) 또는 오마분시(五馬分屍)는 죄인의 사지와 머리를 말이나 소에 묶고 각 방향으로 달리게 하여 사지를 찢는 형벌이.

새로운!!: 하위지와 거열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하위지와 경상도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하위지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경연

명 신종 경연 경연(經筵)은 왕에게 유학의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진강(進講)해 드리고 논의(論議)를 받는 학술제도이.

새로운!!: 하위지와 경연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하위지와 고려 · 더보기 »

계유정난

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과 세종의 여러 대군들을 귀양보내거나 제가하며 마지막으로 단종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 이 정변이 계유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유정난이.

새로운!!: 하위지와 계유정난 · 더보기 »

봉석주

봉석주(奉石柱, ? - 1465년 4월 19일)는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장군, 정치인이며, 계유정난과 세조 찬위에 공을 세운 공신이.

새로운!!: 하위지와 봉석주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하위지와 관찰사 · 더보기 »

권람

(權擥, 1416년 ~ 1465년 2월 6일)은 조선 초의 문신, 역사학자, 작가, 문인이.

새로운!!: 하위지와 권람 · 더보기 »

부제학

부제학(副提學)은 조선시대 정3품 당상관직이.

새로운!!: 하위지와 부제학 · 더보기 »

금성대군

성대군 이유(錦城大君 李瑜, 1426년 5월 5일/음력 3월 28일~1457년 11월 7일/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하위지와 금성대군 · 더보기 »

김문기

문기(金文起1399년 ~ 1456년)는 초명은 효기(孝基), 자는 여공(汝恭), 호는 백촌(白村) 혹은 마암(馬巖), 김녕 김씨(金寧 金氏) 충의공파(忠毅公派)의 파조(派祖)이.

새로운!!: 하위지와 김문기 · 더보기 »

김종서

종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하위지와 김종서 · 더보기 »

김종서 (1383년)

종서(金宗瑞, 1383년 ~ 1453년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가이다.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국경(國卿), 호는 절재(節齋)이다. 도총제(都摠制) 김추(金錘)의 아들이다. 단종의 충신 3 상신(相臣) 중 한명이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새로운!!: 하위지와 김종서 (1383년) · 더보기 »

김질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하위지와 김질 · 더보기 »

김질 (1422년)

(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하위지와 김질 (1422년) · 더보기 »

김숙자 (1389년)

숙자(金叔滋, 1389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자배(子培), 호는 강호(江湖)·강호산인(江湖散人)으로 불. 선산 출신의 도학자이자 유학자이.

새로운!!: 하위지와 김숙자 (1389년) · 더보기 »

김시습

시습(金時習, 1435년 ~ 1493년)은 조선 초기의 문인, 학자이.

새로운!!: 하위지와 김시습 · 더보기 »

교리

리(敎理, doctrina)는 체계화된 종교의 본질적인 가르침을 뜻. 대부분의 종교는 각자 독자적인 교리를 채택하고 있. 교리는 그 종교를 믿는 사람들에게 믿음의 근거와 가치 판단의 기준을 제공.

새로운!!: 하위지와 교리 · 더보기 »

군수

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하위지와 군수 · 더보기 »

남효온

효온의 글씨 남효온(南孝溫, 1454년~149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고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

새로운!!: 하위지와 남효온 · 더보기 »

나주시

주시(羅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하위지와 나주시 · 더보기 »

노량진동

량진동(鷺梁津洞)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으며 행정동으로 노량진1동과 노량진2동으.

새로운!!: 하위지와 노량진동 · 더보기 »

논산시

산시(論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하위지와 논산시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하위지와 우의정 · 더보기 »

우찬성

우찬성(右贊成)은 종1품 숭정대부와 숭록대부에 해당되는 조선 시대의 관직이.

새로운!!: 하위지와 우찬성 · 더보기 »

이개

이개(李塏, 1417년 ~ 1456년)는 조선시대 전기의 학자이자 관리이며, 성삼문, 신숙주 등과 함께 훈민정음의 창제에 참여하였.

새로운!!: 하위지와 이개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하위지와 이조 · 더보기 »

이징옥

이징옥(李澄玉, 1399년 ~ 1453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하위지와 이징옥 · 더보기 »

이징옥의 난

이징옥의 난(李澄玉-亂)은 함길도 도절제사 이징옥이 수양대군 일파의 권력 장악과 자신의 파직에 대해 불만을 품고 여진족 등과 함께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하위지와 이징옥의 난 · 더보기 »

이치우

이치우(李致雨, 1939년 4월 19일 ~)는 대한민국의 성우 겸 연기자이.

새로운!!: 하위지와 이치우 · 더보기 »

이수형 (1435년)

이수형(李秀亨, 1435년 ~ 1528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새로운!!: 하위지와 이수형 (1435년) · 더보기 »

이시애

이시애(李施愛, ? ~ 1467년 8월 12일)는 조선 초기의 무신이자, 군인, 반란자이.

새로운!!: 하위지와 이시애 · 더보기 »

이시애의 난

이시애의 난(李施愛-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하위지와 이시애의 난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하위지와 의금부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하위지와 의정부 · 더보기 »

의정부서사제

의정부서사제(議政府署事制)는 조선 태조가 건국 초기부터 도입하여 추진한 국가 통치체제이.

새로운!!: 하위지와 의정부서사제 · 더보기 »

의성군

의성군(義城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앙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하위지와 의성군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하위지와 전라도 · 더보기 »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하위지와 정보 (조선) · 더보기 »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새로운!!: 하위지와 정창손 · 더보기 »

정여창

정여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하위지와 정여창 · 더보기 »

조려

원주 치악산의 삼공제명암 (오른쪽 첫 번째가 원호 (관란), 가운데는 조려 (어계), 왼쪽은 이수형 (도촌)) 조려(趙旅, 1420년 ~ 1489년)는 조선 세종, 문종, 단종 때의 문신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하위지와 조려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하위지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문종

문종(文宗, 1414년 11월 15일 (음력 10월 3일) ~ 1452년 6월 1일 (음력 5월 14일), 재위 1450년 ~ 1452년)은 조선의 제5대 임금이.

새로운!!: 하위지와 조선 문종 · 더보기 »

조선 단종

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

새로운!!: 하위지와 조선 단종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하위지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하위지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하위지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하위지와 좌의정 · 더보기 »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새로운!!: 하위지와 좌찬성 · 더보기 »

주나라

주(周,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56년)나라는 상나라를 이어 중국에 존재했던 나라이.

새로운!!: 하위지와 주나라 · 더보기 »

집현전

집현전(集賢殿)은 정이품아문으로, 고려 말 조선 초의 학문 연구 및 국왕의 자문 기관이자, 왕실 연구기관이.

새로운!!: 하위지와 집현전 · 더보기 »

진주 하씨

주 하씨(晋州 河氏)는 경상남도 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하위지와 진주 하씨 · 더보기 »

참의

의(參議)는 관직의 이름으로, 조선과 전근대 및 메이지 시대의 일본에 존재.

새로운!!: 하위지와 참의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하위지와 참판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하위지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춘추관

(春秋館)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관청이.

새로운!!: 하위지와 춘추관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하위지와 추증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새로운!!: 하위지와 판서 · 더보기 »

유자미

유자미(柳自湄, ? ~ 1462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하위지와 유자미 · 더보기 »

유응부

유응부(兪應孚, ? ~ 1456년)는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하위지와 유응부 · 더보기 »

유성원

유성원(柳誠源, ?~ 1456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하위지와 유성원 · 더보기 »

육조

육조(六曹)는 고려와 조선에서 행정을 각각 분담하여 집행하였던 여섯 개의 중앙 관서를 가리.

새로운!!: 하위지와 육조 · 더보기 »

파천무

《파천무》는 KBS 2TV에서 1990년 4월 2일부터 1990년 10월 30일까지 방영되었던 역사 드라마이.

새로운!!: 하위지와 파천무 · 더보기 »

생육신

생육신(生六臣)은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명의 신하를 말. 세조의 찬위 사건을 불의의 행위로 단정하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원칙에 따라 두문(杜門) 혹은 방랑으로 일생을 보. 이들은 벼슬을 버리고 단종을 추모하면서 절개를.

새로운!!: 하위지와 생육신 · 더보기 »

생원

생원(生員).

새로운!!: 하위지와 생원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하위지와 영의정 · 더보기 »

영풍군 (왕족)

영풍군 이전(永豊君 李瑔, 1434년 9월 17일 (음력 8월 17일) ~ 1456년 7월 22일 (음력 6월 20일))은 조선의 왕족으로 세종대왕의 서자이며 본관은 전주(全州), 단종을 기른 혜빈 양씨의 셋째 아들이.

새로운!!: 하위지와 영풍군 (왕족) · 더보기 »

영월군

영월군(寧越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하위지와 영월군 · 더보기 »

혜빈 양씨

혜빈 양씨(惠嬪 楊氏, 생년미상 ~ 1455년 음력 11월 9일)은 조선 제4대 왕 세종의 후궁이.

새로운!!: 하위지와 혜빈 양씨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하위지와 예조 · 더보기 »

최만리

만리(崔萬理, ? ~ 1445년 10월 23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자 철학자, 법학자이.

새로운!!: 하위지와 최만리 · 더보기 »

역대병요

역대병요(歷代兵要)는 수양대군이 세종의 명을 받아 총재하여 편찬된 동국 전쟁 사서이.

새로운!!: 하위지와 역대병요 · 더보기 »

사례교위부

사예교위부(司隸校尉部)는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 중 하나이며, 한나라 당시 사예교위(司隸校尉)가 관장하며 행정을 감독하는 지역을 일컫.

새로운!!: 하위지와 사례교위부 · 더보기 »

사가독서

사가독서(賜暇讀書)는 조선 시대 젊은 문신들이 임금의 명으로 직무를 쉬면서 글을 읽고 학문을 닦던 제도이.

새로운!!: 하위지와 사가독서 · 더보기 »

사직

미국의 대통령 리처드 닉슨의 사임 사직(辭職,Resign)이란, 자신의 직장을 그만두거나 직위를 포기하는 공식적인 행위이.

새로운!!: 하위지와 사직 · 더보기 »

사육신

량진공원 의절사 사육신(死六臣)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하위지와 사육신 · 더보기 »

사육신묘

사육신묘(死六臣墓)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 사육신묘지공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육신(死六臣)을 모신 곳이.

새로운!!: 하위지와 사육신묘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하위지와 사헌부 · 더보기 »

선산

선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하위지와 선산 · 더보기 »

선산군

선산군(善山郡)은 경상북도에 있던 군이.

새로운!!: 하위지와 선산군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하위지와 성균관 · 더보기 »

성담수

성담수(成聃壽, ?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은일사로, 세조 때 단종 폐위에 분개하여 벼슬을 사직한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하위지와 성담수 · 더보기 »

성승

성승(成勝, ?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무신, 군인이며 단종 복위 운동의 가담자의 한사람이.

새로운!!: 하위지와 성승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하위지와 성삼문 · 더보기 »

세조찬위

세조찬위(世祖簒位) 또는 세조반정(世祖反正)은 조선의 첫 번째 반정으로 1455년(단종 3)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은 일이.

새로운!!: 하위지와 세조찬위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하위지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안평대군

안평대군 이용(安平大君 李瑢, 1418년 10월 18일(음력 9월 19일) ~ 1453년 11월 18일(음력 10월 18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이자 서예가, 서화가, 시인, 작가이.

새로운!!: 하위지와 안평대군 · 더보기 »

하진

(何進, ? ~ 189년 9월 22일(음력 8월 25일))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수고(遂高)이며 남양군 완현(宛縣) 사람이.

새로운!!: 하위지와 하진 · 더보기 »

하연

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하위지와 하연 · 더보기 »

하원

원(下院, Lower House)는 상원(上院)과 함께 양원제를 구성하는 국회 중 하나이.

새로운!!: 하위지와 하원 · 더보기 »

하원 (조선)

원(河源, 1451년~1518년)은 조선시대의 무신이.

새로운!!: 하위지와 하원 (조선)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하위지와 신숙주 · 더보기 »

원호

원호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하위지와 원호 · 더보기 »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새로운!!: 하위지와 훈민정음 · 더보기 »

황보인

황보 인(皇甫仁, 1387년 ~ 1453년)은 조선 전기의 문관 겸 정치가이며, 단종의 충신 3 상신(相臣) 중 한명이.

새로운!!: 하위지와 황보인 · 더보기 »

왕세자

왕세자(王世子)는 왕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왕자를 일컫는 말이며, 부인은 왕세자빈(王世子嬪)이라 부른.

새로운!!: 하위지와 왕세자 · 더보기 »

138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387년 · 더보기 »

14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412년 · 더보기 »

14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435년 · 더보기 »

143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438년 · 더보기 »

14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440년 · 더보기 »

144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444년 · 더보기 »

14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446년 · 더보기 »

14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450년 · 더보기 »

14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451년 · 더보기 »

14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453년 · 더보기 »

14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454년 · 더보기 »

14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455년 · 더보기 »

14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456년 · 더보기 »

14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하위지와 1468년 · 더보기 »

6조직계제

6조직계제(六曹直啓制)는 기존의 의정부서사제와는 달리 6조의 판서들이 국왕에게 직접 보고를 올리고 정책을 결정할 수 있게 한 제도이.

새로운!!: 하위지와 6조직계제 · 더보기 »

9월 6일

9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9번째(윤년일 경우 2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하위지와 9월 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단계 하위지, 단계공 하위지, 적촌, 적촌 하위지, 충렬공 하위지, 연풍 하위지, 하단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