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남북통일

색인 남북통일

통일된 한반도의 상징인 한반도기 2018년 3월 대북특사로 임명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김정은에게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있다. 6·15 남북 공동선언을 기념하는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남북통일(南北統一) 또는 한국의 재통일()은 한반도에 존재하는 두 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하나의 국가로 통일하는 것을 의미.

124 처지: 러시아, 데탕트, 무장, 문재인 정부, 문화어, 미 군정, 미군, 민족공동체통일방안, 민족주의,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 개성공업지구, 강광식, 박근혜 정부, 박정희 정부, 강화 조약, 경제, 공동체, 북방 정책, 북위 38도, 북한이탈주민, 김규식, 김대중 정부, 김구, 김두봉, 김일성, 김정은, 김영삼, 김영삼 정부,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제5공화국,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헌법,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교역, 국민 총생산, 군정기, 남북 관계, 남북 기본합의서, 남북국 시대, 남북정상회담, 남북협상, 노무현 정부, 노태우, 노태우 정부, 뉴라이트전국연합, 우익, ..., 자유한국당, 이명박 정부, 이북5도위원회, 일본, 일제 강점기, 적화통일, 제2차 세계 대전, 전쟁, 전체주의, 정주영,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좌우합작운동, 종로구, 중립, 중화인민공화국, 천안함 침몰 사건, 침략 전쟁, 케임브리지 대학교, 유라시아, 유엔, 현대그룹, 햇볕정책, 연평도 포격, 연평해전, 연합국, 프랑크, 선진통일당, 서울특별시, 소련, 통일반대론, 한민족,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 한반도, 한반도 군사 분계선, 한반도 평화협정,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 한국 전쟁, 한국경제신문, 한국의 통일 방안, , 핵전쟁, 신냉전, 신탁통치령, 후삼국 시대, 10월 4일, 1945년, 1948년, 1962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80년, 1989년, 1991년, 1993년, 1994년, 1997년, 1998년, 2000년, 2007년, 2011년, 2014년, 2018년 북미정상회담, 4월 19일, 6·15 남북 공동선언, 6·23 평화통일 외교정책 선언, 7·4 남북 공동 성명, 8월 10일, 8월 15일, 8월 7일, 9월 11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4 더) »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러시아 · 더보기 »

데탕트

회담 중인 소련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왼쪽)과 미국의 리처드 닉슨 대통령(오른쪽) 데탕트(Détente)는 프랑스어로 ‘긴장 완화’ 를 뜻하는 낱말로,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이후 냉전 양극 체제가 다극 체제로 전환되면서 미소 간의 긴장이 완화되던 현상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데탕트 · 더보기 »

무장

무장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남북통일와 무장 · 더보기 »

문재인 정부

문재인 정부(文在寅政府, 2017년 ~)는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일곱 번째 대한민국 정부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문재인 정부 · 더보기 »

문화어

문화어(文化語)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표준어를 말. 《조선말대사전》(1992년)에 의하면 “주권을 잡은 로동계급의 당의 령도밑에 혁명의 수도를 중심지로 하고 수도의 말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로동계급의 지향과 생활감정에 맞게 혁명적으로 세련되고 아름답게 가꾸어진 언어”라고 되어있.

새로운!!: 남북통일와 문화어 · 더보기 »

미 군정

미 군정(美軍政, 米軍政)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남북통일와 미 군정 · 더보기 »

미군

주한 미군의 기계화 보병. 공군의 기초군사훈련 모습. 1991년 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가한 미군 F-15E. 일본에 배치된 F-22. 미합중국 군대() 또는 미국군(美國軍) 혹은 단순히 미군(美軍)은 미국의 군대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미군 · 더보기 »

민족공동체통일방안

민족공동체통일방안 (民族共同體統一方案)은 대한민국의 14대 대통령인 김영삼이 제시한 통일방안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민족공동체통일방안 · 더보기 »

민족주의

민족주의(民族主義) 또는 혈통적 국민주의()는 민족(ethnic group)에 대해 가지는 소속감이나 애착심, 그리고 그것을 강조하려는 생각이나 정치적 운동을 말. 대표적인 예로 1992년 독립을 선포한 압하스인들의 자신들의 민족만의 나라를 건설하고 이민족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압하지야 공화국이나 근대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일어난 통일 국가 수립 운동이 있.

새로운!!: 남북통일와 민족주의 · 더보기 »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 (民族和合民主統一方案)은 1982년 1월 22일 대한민국의 12대 대통령인 전두환이 국정연설에서 발표한 통일방안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 · 더보기 »

개성공업지구

성공업지구(오픈스트리트맵) 개성공업지구(開城工業地區)는 흔히 개성공단(開城工團)으로 불리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합작으로 추진하고 있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특구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개성공업지구 · 더보기 »

강광식

강광식(姜光植, 1944년~2018, 충남 출생)은 한반도 통일을 연구한 대한민국의 외교학자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강광식 · 더보기 »

박근혜 정부

박근혜 정부(朴槿惠政府, 2013년 ~ 2017년)는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여섯 번째 대한민국 정부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박근혜 정부 · 더보기 »

박정희 정부

박정희 정부는 1961년 박정희가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후 1979년 10·26 사건으로 사망할 때까지의 정부를 말. 박정희는 1962년 3월 24일부터 1963년 12월 16일까지 윤보선 대통령의 사퇴로 제2공화국의 대통령 권한을 대행했으며, 제5대 대통령 선거를 통해 1963년 12월 17일 정식으로 대통령에 취임.

새로운!!: 남북통일와 박정희 정부 · 더보기 »

강화 조약

강화 조약(講和條約, peace treaty)은 전쟁 및 전쟁상태를 종결시켜 평화를 회복시키기 위한 교전국 간의 조약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강화 조약 · 더보기 »

경제

경제(經濟)는 재화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인간행위를 말.경제란 무엇인가, 《글로벌 세계 대백과》 또는, 특정 국가 혹은 다른 나라의 생산, 교환, 분배 그리고 재화 및 서비스의 소비와 관련된 인간의 모든 활동을 가리.

새로운!!: 남북통일와 경제 · 더보기 »

공동체

공동체(共同體) 또는 커뮤니티(community)는 같은 관심과 의식으로 환경을 공유하는 사회 집단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공동체 · 더보기 »

북방 정책

북방 정책(北方政策)은 1988년 노태우 정부가 집권을 하면서 수립한 대한민국의 대공산권 정책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북방 정책 · 더보기 »

북위 38도

북위 38도(北緯三十八度)는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으로 38도를 지나는 위선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북위 38도 · 더보기 »

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北韓離脫住民) 또는 탈북자(脫北者), 탈북민(脫北民) 혹은 새터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이탈하여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주민을 가리.

새로운!!: 남북통일와 북한이탈주민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남북통일와 김규식 · 더보기 »

김대중 정부

중 정부(金大中 政府, 1998년 ~ 2003년)는 대한민국의 제6공화국의 세 번째 정부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김대중 정부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김구 · 더보기 »

김두봉

봉(金枓奉, 1889년 2월 16일 ~ 1961년?)은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한글학자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김두봉 · 더보기 »

김일성

일성(金日成, 1912년 4월 15일 ~ 1994년 7월 8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독재자.

새로운!!: 남북통일와 김일성 · 더보기 »

김정은

정은(金正恩, 1983년 1월 8일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 지도자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김정은 · 더보기 »

김영삼

영삼(金泳三, 1927년 12월 20일 ~ 2015년 1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제14대 대통령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김영삼 · 더보기 »

김영삼 정부

영삼 정부(金泳三 政府, 1993년 ~ 1998년)는 대한민국의 제6공화국의 두 번째 정부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김영삼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회

민국 국회(大韓民國 國會)는 대한민국의 의회이며 대한민국 입법부의 주축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대한민국 국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공화국

민국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지속된 첫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대한민국 제1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5공화국

민국 제5공화국(第五共和國)은 1979년 12·12 군사 반란과 1980년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이후 헌법 개정을 통해 탄생한 대한민국의 다섯 번째 공화국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대한민국 제5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5월 10일에 실시된 남한 총선거의 벽보용 선거 홍보물. 낱장 칼라본. 전면에 태극기를 가로질러 건 독립문과 당시 군정청 건물로 선거하러 가는 인물들이 그려지고, 상단에 총선거 일시(5월 10일)가 표시됨. 중앙에 ‘총선거로 독립문이 열린다’, ‘중앙정부수립’, 좌우로 ‘기권은 국민의 수치’, ‘투표는 애국민의 의무’라는 표어가 인쇄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또는 9.99 총선거는 1999년 9월 9일에 제헌 국회를 구성할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적 선거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헌법

전쟁기념관에 전시 중인 제헌 헌법. 사진은 첫 장이다. 대한민국 헌법(大韓民國憲法)은 대한민국의 최고 기본법으로, 인적으로는 대한민국의 국민에게 적용되고, 장소적으로는 대한민국의 영역내에서 적용되는 헌법을 말. 1919년 3.1운동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처음으로 대한민국 임시 헌법을 제정하였.

새로운!!: 남북통일와 대한민국 헌법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은 대한민국 정당사에서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진보주의, 자유보수주의, 민주주의, 운동권 세력 등이 서로 이합집산하면서 수차례 정계개편을 통해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정당 계통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민국의 보수정당(大韓民國의 保守政黨)은 대한민국 정당사에서 보수주의적 반공주의세력이 만든 정당으로, 대체적으로 강경우파 및 반공주의, 국가주의, 민족주의적인 성격이 강한 정당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민국 진보세력의 흐름 대한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은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사회주의 혹은 사회민주주의 정당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더보기 »

교역

''Intérêts des nations de l'Europe, dévélopés relativement au commerce'', 1766 교역(交易)은 재화와 서비스의 자발적인 교환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교역 · 더보기 »

국민 총생산

국민 총생산(國民總生産, Gross National Product, 약어로 GNP)은 일국의 농업·공업·서비스업 등 생산물(서비스를 포함)을 그때의 시장가격으로 합계한 것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국민 총생산 · 더보기 »

군정기

정기(軍政期)란, 군사 정부가 권력을 쥐고 나라를 통치하는 시기 또는 외국 군대가 점령 및 통치하는 시기를 의미.

새로운!!: 남북통일와 군정기 · 더보기 »

남북 관계

민국의 국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기 남북 관계(南北關係)는 현재 분단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관계를 말.

새로운!!: 남북통일와 남북 관계 · 더보기 »

남북 기본합의서

북 기본합의서(南北基本合意書)는 1991년 12월 13일에 분단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한국의 재통일과 관련하여 합의한 뒤 이듬해 1992년 2월 18일 정식으로 효력을 발생시킨 문건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남북 기본합의서 · 더보기 »

남북국 시대

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698년는 1784년에 유득공에 의해 창조된 북부의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의 건국 이후 남부의 한반도에 있는 신라와 공존하던 시대를 일컫는 역사 용어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남북국 시대 · 더보기 »

남북정상회담

북정상회담(南北頂上會談)은 한반도의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상 사이의 회담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남북정상회담 · 더보기 »

남북협상

북협상(南北協商) 또는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全朝鮮諸政黨社會團體代表者連席會議), 또는 남북 연석회의(南北連席會議) 는 남한만의 단독정부(현 대한민국) 수립을 반대하는 남북의 정당·사회단체 대표들이 5·10 단독선거를 저지하고 통일민주국가 수립을 위해 대책을 논의한 회담을 말. 1948년 4월 19일부터 시작된 이 회의는, 김구, 김규식 등 남한 단독 총선에 반대하는 남한 일부 정파 대표들과, 소련의 대리인으로 북한의 실질 권력을 장악해 가던 김일성 및 김두봉과 같은 남북의 인사들이 다수 참석하였으며, 실현 가능성도 없는 합의문을 채택하고 아무런 성과도 없이 끝나고 말았.

새로운!!: 남북통일와 남북협상 · 더보기 »

노무현 정부

무현 정부(盧武鉉 政府, 2003년~2008년)는 대한민국의 제6공화국의 네 번째 정부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노무현 정부 · 더보기 »

노태우

우(盧泰愚, 1932년 12월 4일 ~)는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노태우 · 더보기 »

노태우 정부

우 정부(盧泰愚政府, 1988년 ~ 1993년)는 6월 항쟁의 결과로 성립된 제6공화국의 첫 번째 정부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노태우 정부 · 더보기 »

뉴라이트전국연합

이트전국연합(-全國聯合)은 대한민국의 우.

새로운!!: 남북통일와 뉴라이트전국연합 · 더보기 »

우익

우파(右派) 또는 우익(右翼)은 정치적 성향의 분포에서 좌파 또는 좌익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회적 안정(보수)화를 바탕으로 온건한 개혁을 주장하는 개인이나 단체를 말. 우파는 주로 보수적인 정치적 성향을.

새로운!!: 남북통일와 우익 · 더보기 »

자유한국당

자유한국당(自由韓國黨)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정당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자유한국당 · 더보기 »

이명박 정부

이명박 정부(李明博政府, 2008년 ~ 2013년) 또는 사용 빈도는 낮지만 별칭으로 실용 정부(實用政府)는 제6공화국의 다섯 번째 정부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이명박 정부 · 더보기 »

이북5도위원회

이북5도위원회(以北五道委員會)는 이북5도 사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한 행정기구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이북5도위원회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남북통일와 일본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적화통일

적화통일(赤化統一)이란 분단국가(分斷國家)에서 적국의 이념으로 하고 있는 측의 주도로 분단의 상대방 정부를 전복·흡수하여 공산 통일을 하는 것을 말. 1949년 중국과 1975년 베트남의 공산통일이 대표적인 예이며, 북한이 1950년에 일으킨 한국 전쟁 역시 대표적인 적화통일 시도(試圖)의 예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적화통일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또는 World War II)은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치러진,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남긴 가장 파괴적인 전쟁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전쟁

전쟁(戰爭)이란 국가 또는 정치 집단 사이의 폭력이나 무력을 사용하는 상태 또는 행동을 말. 특별히 둘 이상의 국가 간에 어떤 목적을 두고 수행되는 싸움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전쟁 · 더보기 »

전체주의

전체주의()는 국가나 집단의 전체를 개인보다도 우위에 두고, 개인은 전체의 존립과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사상이며, 극우와 권위적 극좌의 정치 성향에서 공통분모로 나타나는 성향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전체주의 · 더보기 »

정주영

정주영(鄭周永, 1915년 11월 25일 ~ 2001년 3월 21일)은 현대그룹을 창업한 대한민국의 기업가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정주영 · 더보기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2012년 8월 모습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祖國統一三大憲章記念塔)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락랑구역에 있는 기념탑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문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면서 야기된 국제 문제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 더보기 »

좌우합작운동

좌우합작운동(左右合作運動) 혹은 좌우합작위원회(左右合作委員會)는 1946년에 일제 강점기 이후의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조선의 좌우 세력이 합작하여 연대를 추진하였던 운동을 말. 이 운동에는 중도파 세력 인사들이 주축으로 구성되어 전개되었.

새로운!!: 남북통일와 좌우합작운동 · 더보기 »

종로구

종로구(鐘路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중북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종로구 · 더보기 »

중립

의 중립국 중립(中立)은 국가 사이의 분쟁이나 전쟁에 관여하지 아니하고 중간 입장을 지키는 것을 말.

새로운!!: 남북통일와 중립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천안함 침몰 사건

300px 천안함 침몰 사건은 2010년 3월 26일에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인 PCC-772 천안이 피격되어 침몰한 사건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천안함 침몰 사건 · 더보기 »

침략 전쟁

략 전쟁(侵略 戰爭, war of aggression)이란 자위권 행사가 아닌 군대의 공격 행위를 말. 침략 전쟁을 일으키는 행위를 침략 범죄(侵略 犯罪)라 하며 전쟁 범죄의 일종으로 본. 유엔 헌장의 무력 사용 금지 원칙(1조 4항)에 의해, 모든 유엔 회원국의 군대는 국방군이 원칙이기 때문에, 전 세계의 유엔 회원국은 자위권 행사가 아닌 경우에 무력 사용을 하면 국제법인 유엔 헌장 위반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침략 전쟁 · 더보기 »

케임브리지 대학교

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는 영국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영어권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을 가진 대학 중 하나이며, 공립 연구중심 대학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 더보기 »

유라시아

유라시아()는 아시아와 유럽을 하나의 대륙으로 보는 이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유라시아 · 더보기 »

유엔

유엔() 또는 국제 연합(國際 聯合)은 세계 거의 모든 나라를 아우르는 국제 기구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유엔 · 더보기 »

현대그룹

현대그룹(現代그룹)은 1950년 1월 10일 출범한 현대건설을 모태로 하여 정주영 회장이 창업한 대한민국의 대기업이었.

새로운!!: 남북통일와 현대그룹 · 더보기 »

햇볕정책

햇볕정책(-政策)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대한민국의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대외 정책으로, 북한에 협력과 지원을 함으로써 평화적인 통일을 목적으로 하는 정책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햇볕정책 · 더보기 »

연평도 포격

K-9 자주포 연평도 포격(延坪島 砲擊)은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 경, 북한이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의 대연평도를 향해 포격을 가한 사건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연평도 포격 · 더보기 »

연평해전

연평해전이란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대한민국과 북한간의 해전을 뜻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을 뜻.

새로운!!: 남북통일와 연평해전 · 더보기 »

연합국

연합국(聯合國)은 제1차 세계 대전의 동맹국(독일 제국·오스트리아-헝가리·오스만 제국), 제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나치 독일·일본 제국·이탈리아 왕국)에 대항해 싸운 국가 연합을 말.

새로운!!: 남북통일와 연합국 · 더보기 »

프랑크

랑크(Frank)는 게르만어로 '자유'라는 뜻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프랑크 · 더보기 »

선진통일당

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선진통일당(先進統一黨)은 대한민국의 정당이었.

새로운!!: 남북통일와 선진통일당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소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또는 소련(蘇聯) 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

새로운!!: 남북통일와 소련 · 더보기 »

통일반대론

국의 통일반대론은 한국의 재통일에 반대하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다른 국가로 존속하는 것에 찬성하는 것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통일반대론 · 더보기 »

한민족

민족(韓民族)은 한반도와 그 주변의 만주, 연해주 등지에 살면서 공동 문화권을 형성하고 한국어를 사용하는 아시아계 민족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한민족 · 더보기 »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

민족공동체통일방안(韓民族共同體統一方案)은 1989년 9월 11일 대한민국의 국회에서 노태우 대통령 특별선언을 통해 발표되었.

새로운!!: 남북통일와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한반도 · 더보기 »

한반도 군사 분계선

비무장지대 북쪽의 철조망 한반도의 군사 분계선(韓半島軍事分界線)은 한반도의 남북을 분단하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계를 이루는 지도상의 선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한반도 군사 분계선 · 더보기 »

한반도 평화협정

반도 평화협정은 1950년 한국전쟁 이후 UN의 중재하에 1953년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의 후속 조치로서 한반도에서 공식적으로 전쟁을 종료하고,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이루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 제네바 협정 (1954년) 에서 구체적 논의가 되어야 했지만, 미국측의 고의적인 협상 회피로 인해서 실질적으로 깊은 논의가 되지 못하였.

새로운!!: 남북통일와 한반도 평화협정 · 더보기 »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韓半島의 非核化에 關한 共同宣言)은 1992년 1월 31일 남북간에 체결된 조약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 더보기 »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

국휴전협정 (韓國休戰協定)은 한국 전쟁에서의 전쟁 행위를 멈추게 한 휴전협정(armistice)을 말. 휴전 협정의 의무 조항으로 평화 협정을 3개월 안에 휴전 협정 당사국 간에 논의가 되어야.

새로운!!: 남북통일와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경제신문

국경제신문(韓國經濟新聞, The Korea Economic Daily, Hankyung)은 대한민국의 종합경제 일. 종합경제 일간지로는 매일경제와 파이낸셜뉴스 등이 있. 한경으로 약칭.

새로운!!: 남북통일와 한국경제신문 · 더보기 »

한국의 통일 방안

국의 통일 방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통일책을 말.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에서 통일방법에 대한 남북정상간의 큰 틀의 합의와 계속되는 남북 정상 회담에도 불구하고, 2013년에 이르러서도 그 세부적인 통일방안에 대해 약간의 견해 차이가 있.

새로운!!: 남북통일와 한국의 통일 방안 · 더보기 »

핵(核)은 어떤 것의 중심을 말.

새로운!!: 남북통일와 핵 · 더보기 »

핵전쟁

Mt급인 W53 핵탄두를 장착한다. 이것은 냉전 시대에 미국이 보유한 최고 폭발력의 핵탄두 중 하나이다. 핵전쟁(核戰爭)은 핵무기를 사용하는 전쟁을 말. 핵무기의 역사에서 국가단위의 전쟁에서 핵무기는 두 번 사용되었고, 미국만 사용.

새로운!!: 남북통일와 핵전쟁 · 더보기 »

신냉전

신냉전이란 미국과 러시아 간에 냉전이 탈냉전으로 되었다가 다시 옛날의 냉전과 같이 군사적 대립으로 치닫는 현상을 말. 영어로는 Cold War II, New Cold War, Second Cold War, Cold War 2.0라고 부른.

새로운!!: 남북통일와 신냉전 · 더보기 »

신탁통치령

1945년의 세계, 신탁통치령은 초록색으로 표시되어있다. 신탁통치령(信託統治領) 혹은 신탁통치지역(信託統治地域)은 국제 연맹 위임통치령의 후신으로 2차 세계대전 후 국제 연맹이 유엔으로 대체됨에 따라 생.

새로운!!: 남북통일와 신탁통치령 · 더보기 »

후삼국 시대

후삼국 시대(後三國時代, 892년 ~ 936년)는 남북국 시대의 신라와 발해가 병립(竝立)하고 있을 때로, 892년 비장 견훤이 서남부의 무진주(현 광주)를 점령 후 왕이라 칭하지 않고 대신 개국공을 칭한 후부터 936년 고려의 왕건이 신라와 후백제를 정복해 통일하기까지의 시기를 가리.

새로운!!: 남북통일와 후삼국 시대 · 더보기 »

10월 4일

10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7번째(윤년일 경우 27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북통일와 10월 4일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1945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1948년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1962년 · 더보기 »

1970년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1970년 · 더보기 »

1971년

197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1971년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1972년 · 더보기 »

1980년

198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1980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1989년 · 더보기 »

1991년

1991년 9월 17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 (사진은 유엔 본사) 19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1991년 · 더보기 »

1993년

8월 7일 ~ 11월 7일 동안 열린 '''대전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상징 조형물인 '''한빛탑'''. 19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1993년 · 더보기 »

1994년

19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1994년 · 더보기 »

1997년

19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1997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1998년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2000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2007년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2011년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2014년 · 더보기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北美頂上會談), 북한명 조미수뇌상봉(朝米首腦相逢)은 2018년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대한민국의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통해 미국의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에게 전달한 회담 제의를 트럼프가 수락하여,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한과 미국 간 정상회담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2018년 북미정상회담 · 더보기 »

4월 19일

4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9번째(윤년일 경우 1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북통일와 4월 19일 · 더보기 »

6·15 남북 공동선언

경기도 파주 통일전망대에 전시된 6·15 남북 공동선언 원문 6·15 남북 공동선언(6·15 南北 共同宣言)은 2000년 6월 15일 평양에서 대한민국의 김대중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정상회담을 통해서 발표한 공동 선언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6·15 남북 공동선언 · 더보기 »

6·23 평화통일 외교정책 선언

6·23 평화통일 외교정책 선언(약칭 6·23 선언)은 1973년 6월 23일 박정희 대통령이 발표한 선언으로서,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공산주의 국가에의 문호 개방 등이 담겨 있.

새로운!!: 남북통일와 6·23 평화통일 외교정책 선언 · 더보기 »

7·4 남북 공동 성명

7·4 남북 공동 성명(7·4 南北 共同 聲明)은 1972년 7월 4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이 국토 분단 이후 최초로 통일과 관련하여 합의, 발표한 공동성명이.

새로운!!: 남북통일와 7·4 남북 공동 성명 · 더보기 »

8월 10일

8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2번째(윤년일 경우 22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북통일와 8월 10일 · 더보기 »

8월 15일

8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7번째(윤년일 경우 2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북통일와 8월 15일 · 더보기 »

8월 7일

8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9번째(윤년일 경우 22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북통일와 8월 7일 · 더보기 »

9월 11일

9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4번째(윤년일 경우 2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북통일와 9월 1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북남조선의 재통일, 북남조선의 통일, 북남통일, 북남한의 재통일, 북남한의 통일, 남북 통일, 남북조선의 재통일, 남북조선의 통일, 남북한의 재통일, 남북한의 통일, 조선반도의 재통일, 조선반도의 통일, 조선의 재통일, 조선의 통일, 조선통일, 통일한국, 한국 통일, 한국의 남북통일, 한국의 재통일, 한국의 통일, 한국통일, 한반도 통일, 한반도의 재통일, 한반도의 통일.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