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중 관계

색인 한중 관계

국과 중국 사이에서 관계의 역사는 매우 깊은데, 과거부터 고구려와 백제, 신라는 양나라, 당나라 등과 문화, 무역 교류를 하였.

118 처지: 랴오닝성, 마건충, 명나라, 명주, 미하일 고르바초프, 갑신정변, 간도, 간도 협약, 박제순, 강홍립, 강화도, 고구려, 고조선, 공산주의, 병자호란, 부견, 부여,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김부식, 김윤식 (1835년), 대한민국,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중화민국 관계,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대한제국, 냉전, 국공 내전, 낙랑군, 단천시, , 장제스, 임둔군, 임진왜란, 임오군란, 흥선대원군, 이태원, 인조반정, 인천대학교, 인삼, 일본 제국, 음력 6월 10일, 음력 6월 19일, 음력 6월 27일, 음력 6월 29일, 음력 7월 12일, 음력 7월 16일, 음력 7월 7일, 을사조약, , ..., 전진 (오호 십육국), 전한, 전한 무제, 정묘호란, 정여창 (청나라),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조선, 조선 광해군, 조선 인조, 조선 태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조선의용대, 중러 관계, 중국 대륙, 중국공산당,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진번군, 진나라, 지린성, 창춘 시, 청나라, 청일 전쟁, 천명제, 유교,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위안스카이, 상하이 시, 타이완, 숭덕제, 순도 (고구려), 오장경, 오환, 현도군, 어윤중, 헤이룽장성, 사회주의, 삼국사기, 선비 (민족), 소련, 톈진 시, 함경도, 한국 전쟁, 한국의 독립운동, 한국의 유교, 한사군, 하나부사 요시모토, 아도, 신해혁명, 후금, 왕십리동, 12월, 1905년, 1907년, 1911년, 1948년, 1949년, 1989년, 1992년, 372년, 374년, 375년, 5월, 7월 24일, 8월 20일, 8월 25일, 8월 2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8 더) »

랴오닝성

오닝 성(요녕성,, 문화어·조선말: 료녕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의 성이다.

새로운!!: 한중 관계와 랴오닝성 · 더보기 »

마건충

마건충(1845년 2월 9일 - 1900년 8월 14일)은 청나라 말의 사상가, 외교관, 정치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마건충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명나라 · 더보기 »

명주

비단천을 갈무리하는 여인들을 표현한 그림 명주(明紬) 또는 주(紬)는 누에의 고치로부터 얻은 천연 단백질 섬유인 견사(絹絲, 곧 명주실) 및 명주실로 짠 천(견(絹))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명주 · 더보기 »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세르게예비치 고르바초프(1931년 3월 2일 ~)는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가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미하일 고르바초프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갑신정변 · 더보기 »

간도

(間島)는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 북쪽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 말로, 간도의 범위에 관하여는 여러 이견이 있. 일반적으로 간도라 하면 현재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가리키며, 두만강 북쪽인 연변 지역을 '북간도'(또는 '동간도'), 그 서쪽인 압록강 북쪽 지역을 '서간도'라 부르.

새로운!!: 한중 관계와 간도 · 더보기 »

간도 협약

협약(間島協約)은 일본제국이 1905년 제2차 한일 협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불법적으로 강탈한 상황에서 1909년 9월 4일 청나라와 체결한 조약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간도 협약 · 더보기 »

박제순

박제순(朴齊純, 1858년 12월 7일 ~ 1916년 6월 20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외교관, 대한제국의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박제순 · 더보기 »

강홍립

강홍립(姜弘立, 1560년 ~ 1627년 9월 6일(음력 7월 27일))은 조선의 문관, 군인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강홍립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강화도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고구려 · 더보기 »

고조선

조선(古朝鮮, ? ~ 기원전 108년)은 한국의 역사상 최초의 고대 국. 본래 국호는 조선(朝鮮)이나, 일반적으로 14세기 말 이성계(李成桂)가 건국한 같은 이름의 왕조(조선)와의 구분을 위해 '고조선'이라 부른.

새로운!!: 한중 관계와 고조선 · 더보기 »

공산주의

공산주의(共産主義, Communism)는 자본가 계급이 소멸되고, 노동자 계급이 주체가 된 생산수단의 공공 소유에 기반을 둔 무계급 사회 조직, 공동체 형성에 관한 이론, 또는 그러한 체제를 목표로 삼는다고 주장하는 다양한 정치 운동들을 일컫.

새로운!!: 한중 관계와 공산주의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병자호란 · 더보기 »

부견

세조 선소황제 부견(秦 世祖 宣昭皇帝 苻堅, 337년 ~ 385년, 재위: 357년 ~ 385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전진(前秦)의 3대 황제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부견 · 더보기 »

부여

부여(扶餘, 기원전 2세기 ~ 494년)는 한민족의 고대국가로 여겨지는 초기 국가(연맹 왕국)들 중 하나로, 지금의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지금의 만주 일대(하얼빈, 아청, 위수, 눙안, 창춘, 솽양, 지린, 옌지, 훈춘, 치치하얼, 룽장)를 지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 고구려에 의해 부여는 병합되었.

새로운!!: 한중 관계와 부여 · 더보기 »

의 원자 구조. 한자의 쇠 금 금(金)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Au(←), 원자 번호는 79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금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한중 관계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김부식

부식(金富軾, 1075년 ~ 1151년)은 《삼국사기》를 쓴 고려 시대 학자·문신·역사가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김부식 · 더보기 »

김윤식 (1835년)

윤식(金允植, 1835년 ~ 1922년 1월 22일)은 문장가로 이름이 높던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문인, 학자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김윤식 (1835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중화민국 관계

민국과 중화민국 간의 관계는 1948년 8월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나, 1992년 8월 대한민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여 외교관계가 단절되었.

새로운!!: 한중 관계와 대한민국-중화민국 관계 · 더보기 »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중화인민공화국을 공식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오른쪽)이 시진핑(왼쪽)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주석과 악수를 나누고 있는 모습(2015년)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또는 한중 관계는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대륙) 간의 관계를 말. 대한민국의 대(對)중국 수출은 1421억2000만 미국 달러, 중국의 대(對)대한민국 수출은 978억6011만 미국 달러(각 2017년 12월)에 달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에 있어서 제1의 수출·수입국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냉전

냉전(冷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1991년까지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을 비롯한 양측 동맹국 사이에서 갈등, 긴장, 경쟁 상태가 이어진 대립 시기를 말. '냉전'이라는 표현은 버나드 바루크가 1947년에 트루먼 독트린에 관한 논쟁 중 이 말을 써서 유명해졌는데, 이것은 무기를 들고 싸운다는 의미의 전쟁인 열전(熱戰)과 다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냉전 · 더보기 »

국공 내전

국공 내전()은 1927년 이후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 사이에 일어난 두 차례의 내전을 말.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해방전쟁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한중 관계와 국공 내전 · 더보기 »

낙랑군

낙랑군을 분할하여 대방군을 설치(204년) 낙랑군(樂浪郡,, 기원전 108년~기원후 313년)은 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점령하고 세운 한사군 중 하나로, 현도군과 함께 최후까지 남은 변군(邊郡)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낙랑군 · 더보기 »

단천시

시(端川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의 북동쪽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단천시 · 더보기 »

잣. 까기 전후의 모습. 잣은 소나무속 나무에서 나오는, 먹을 수 있는 씨앗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잣 · 더보기 »

장제스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국부천대 사태 이후 1950년대 후반 시절의 장제스 장제스(), 창카이섹() 또는 장중정(1887년 10월 31일 ~ 1975년 4월 5일)은 중화민국의 군인, 정치·군사 지도자이자,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제2, 4대 총통 및 국부천대 이후 제1, 3대 총통(재임: 1925년 3월 18일 ~ 1975년 4월 5일)이었.

새로운!!: 한중 관계와 장제스 · 더보기 »

임둔군

기원전 106년 임둔군의 위치(강원도 북부 일부와 함경남도 남부 일부) 임둔군(臨屯郡)은 전한(前漢)의 무제(武帝)가 기원전 108년에 고조선(古朝鮮)을 멸하고 세운 한사군 중 하나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임둔군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임오군란

임오군란(壬午軍亂)은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연체된 봉급에 대해 정부가 불량쌀을 지급해 일어난 난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임오군란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태원

이태원 이태원(梨泰院)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의 지명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이태원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仁川大學校, Incheon National University)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국립대학법인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인천대학교 · 더보기 »

인삼

인삼(人蔘, Panax ginseng)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인삼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음력 6월 10일

음력 6월 10일은 음력 6월의 10번째 날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음력 6월 10일 · 더보기 »

음력 6월 19일

음력 6월 19일은 음력 6월의 19번째 날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음력 6월 19일 · 더보기 »

음력 6월 27일

음력 6월 27일은 음력 6월의 27번째 날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음력 6월 27일 · 더보기 »

음력 6월 29일

음력 6월 29일은 음력 6월의 29번째 날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음력 6월 29일 · 더보기 »

음력 7월 12일

음력 7월 12일은 음력 7월의 12번째 날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음력 7월 12일 · 더보기 »

음력 7월 16일

음력 7월 16일은 음력 7월의 16번째 날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음력 7월 16일 · 더보기 »

음력 7월 7일

음력 7월 7일은 음력 7월의 7번째 날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음력 7월 7일 · 더보기 »

을사조약

중명전에 전시된 을사조약 문서 을사조약(乙巳條約) 혹은 제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을사조약 · 더보기 »

은(銀) 또는 백은(白銀)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Ag(←), 원자 번호는 47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은 · 더보기 »

전진 (오호 십육국)

위진 남북조 시대(220~589) 왕조들의 계통도: 위진 시대는 220~420, 남북조 시대는 439~589 전진(前秦, 351년~394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때 티베트계 저족(氐族)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전진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전한

전한(前漢: 기원전 206년~기원후 8년)은 고조 유방(劉邦)이 항우(項羽)와 대륙 쟁탈 뒤에 세운 왕조로서 진(秦)에 이어서 중국을 두 번째로 통일한 왕조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전한 · 더보기 »

전한 무제

세종 효무황제 유철(漢 世宗 孝武皇帝 劉徹, 기원전 156년 7월 30일 ~ 기원전 87년 3월 29일)은 전한의 제7대 황제(재위 기원전 141년 ~ 기원전 87년)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전한 무제 · 더보기 »

정묘호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은 1627년(인조 5년)에 후금이 침입해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정묘호란 · 더보기 »

정여창 (청나라)

정여창 정여창(1836년 11월 18일 ~ 1895년 2월 12일)은 청의 군인으로서 청 후기에 일어난 여러 반란과 국외 문제에서 활약했으며 청일 전쟁 당시 대패하고 자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정여창 (청나라) · 더보기 »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은 1882년 8월 23일 조선과 청이 맺은 통상조약으로, 임오군란 이후 조선에 대한 청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과정 속에서 체결되었.

새로운!!: 한중 관계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조선과 중국과의 관계는 선사 시대 이후부터 시작된 오래된 관계이.(→ 한중 관계).

새로운!!: 한중 관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 더보기 »

조선의용대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또는 조선항일의용군(朝鮮抗日義勇隊) 혹은 국제여단(國際旅團)은 대장 김원봉과 조선민족혁명당의 주도로 1938년 10월 10일 중국 후베이 성 한커우(漢口)에서 결성된 독립군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조선의용대 · 더보기 »

중러 관계

시아 연방의 국기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기 중화민국의 국기 중러 관계는 1683년부터 시작된 청나라와 러시아 제국, 1924년부터 1949년까지 중화민국과 소비에트 연방, 1949년부터의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비에트 연방, 그리고 현재 중화인민공화국과 러시아 연방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이르는 말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중러 관계 · 더보기 »

중국 대륙

중국 대륙 중국 대륙()은 섬을 제외한 중화인민공화국의 통치 지역을 말하는 지정학적 용어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중국 대륙 · 더보기 »

중국공산당

중화인민공화국을 선포하는 마오쩌둥(1949년 10월 1일) 이오시프 스탈린의 생일을 축하하는 중국 공산당 당원들(1949년 12월 18일)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 위치한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동상 중국공산당(Communist Party of China)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집권 정당으로, 일당 독재 체제로 국가를 통치하는 공산당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중국공산당 · 더보기 »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공화국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중화민국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진번군

기원전 106년 진번군의 위치(황해도) 진번군(眞番郡)은 전한(前漢)의 무제(武帝)가 기원전 108년에 세운 한사군(漢四郡)중 하나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진번군 · 더보기 »

진나라

(秦, 기원전 221년 ~ 기원전 206년)은 진 시황제에 의해 전국 시대를 통일한 중국 역사상 최초의 통일 국가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진나라 · 더보기 »

지린성

림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의 성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지린성 · 더보기 »

창춘 시

창춘()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에 있는 부성급시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창춘 시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한중 관계와 청나라 · 더보기 »

청일 전쟁

청일 전쟁(淸日戰爭)은 청나라와 일본 제국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청일 전쟁 · 더보기 »

천명제

명제(天命帝, 1559년 2월 21일 ~ 1626년 9월 30일, 재위: 건주여진 1583년 ~ 1616년, 여진국 1616년 ~ 1618년, 대금국 1618년 ~ 1626년)는 후금를 건국한 한으로, 후에 청 제국의 초대 황제로 여겨지게 되었.

새로운!!: 한중 관계와 천명제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유교 · 더보기 »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1848년 ~ 1901년) 혹은 한국이름 목인덕(穆麟德)은 독일 출신의 외교관 겸 언어학자로 조선에서 외교 고문으로 활동한 전력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 더보기 »

위안스카이

위안스카이(1859년 8월 20일 ~ 1916년 6월 6일)는 중국 허난 성 쉬창 부 샹청 현 출신으로, 중국 청나라 말기의 무관(武官), 군인이며 중화민국 초기의 정치가이자 중화제국의 황제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위안스카이 · 더보기 »

상하이 시

상하이()는 중국 본토 동부의 창강() 하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상하이 시 · 더보기 »

타이완

이완 또는 대만()은 동아시아에 있는 섬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타이완 · 더보기 »

숭덕제

숭덕제(崇德帝, 1592년 11월 28일 ~ 1643년 9월 21일)는 후금의 제2대 한이자, 청 제국의 개국 황제(재위 1626년 ~ 1643년)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숭덕제 · 더보기 »

순도 (고구려)

순도(順道, 생몰년 미상)는 4세기 인물로 372년(고구려 소수림왕 2년)에 전진(前秦)의 왕 부견(符堅: 재위 357~385)의 사자를 따라 불교를 전했는데,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삼국시대의 사상 > 삼국시대의 불교사상 > 순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이것은 한국으로 불교가 공식적으로 최초로 전래된 기록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순도 (고구려) · 더보기 »

오장경

오장경(1834년 – 1884년)은 청나라 말기의 군인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오장경 · 더보기 »

오환

오환(烏桓 또는 烏丸)은 허베이 성, 랴오닝 성, 산시 성, 베이징 근처와 내몽골 등 중국의 북부에 거주한 유목민이었.

새로운!!: 한중 관계와 오환 · 더보기 »

현도군

현도군의 연도별 위치 이동로 현도군(玄菟郡)은 전한(前漢)의 무제(武帝)가 기원전 107년에 세운 한사군(漢四郡) 중 하나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현도군 · 더보기 »

어윤중

어윤중의 편지 서찰 어윤중(魚允中, 1848년 ~ 189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어윤중 · 더보기 »

헤이룽장성

헤이룽장 성(흑룡강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에 있는 성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헤이룽장성 · 더보기 »

사회주의

사회주의(社會主義, Socialism)는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와 소수 관리에 반대하고 공동체주의와 최대 다수의 행복 실현을 최고 가치로 하는 공동 이익 인간관 을 사회 또는 윤리관의 기반으로 삼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며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협동 경제와 모든 민중이 노동의 대가로서 정당하고 평등하게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 다양한 사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또는 그 과정을 의미.

새로운!!: 한중 관계와 사회주의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선비 (민족)

샨베이 벨트 버클 3-4세기 선비(기원전 1세기 ~ 6세기)는 몽골과 중국 화북 지방에서 살았던 유목 민족으로, 튀르크족의 조상 중 하나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선비 (민족) · 더보기 »

소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또는 소련(蘇聯) 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

새로운!!: 한중 관계와 소련 · 더보기 »

톈진 시

(천진)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의 직할시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톈진 시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함경도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의 독립운동

국의 독립운동(韓國-獨立運動)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역사운동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한국의 독립운동 · 더보기 »

한국의 유교

동아시아의 사상의 흐름은 크게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인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시켜 왔. 그 가운데서도 중국과는 지역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이 한국에 들어와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

새로운!!: 한중 관계와 한국의 유교 · 더보기 »

한사군

사군(漢四郡, 기원전 108년 ~ 314년) 또는 한군현(漢郡縣)은 기원전 108년 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뒤 그 영토를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낙랑군·진번군·임둔군·현도군의 4군과 그 속현을 말. 근대 이전에는 전통적으로 사군(四郡)이라 불렀고, 현대 한국사학계에서는 한군현, 동방변군 등으로 지칭.

새로운!!: 한중 관계와 한사군 · 더보기 »

하나부사 요시모토

부사 요시모토 하나부사 요시모토(1842년 2월 10일(덴포 13년 1월 1일) ~ 1917년(다이쇼 6년) 7월 9일)는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활동한 일본 제국의 외교관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하나부사 요시모토 · 더보기 »

아도

아도(阿道)는 아도(我道) 또는 아두(阿頭).

새로운!!: 한중 관계와 아도 · 더보기 »

신해혁명

신해혁명(辛亥革命)은 1911년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을 성립시킨 중국의 혁명이다. 이 혁명은 중국사에서 처음으로 공화국을 수립한 혁명이라서 공화혁명이라고도 불린다. 1900년의 의화단운동 이후 열강들의 침략이 한층 강화하는 가운데 청 조정은 정치개혁을 꾀하는 소위 '신정' 운동을 일으켰으나 납세 거부와 기독교 배척을 위시한 대중운동이 전국으로 번져 입헌군주제를 향한 운동으로 발전하였다.《한국근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년, p142 이런 정세하에서 쑨원은 1905년 중국혁명동맹회(중국동맹회)를 결성하고 삼민주의를 제창하는 일변 혁명파를 지휘, 반청(反淸) 무장투쟁을 전개했다. 1911년 청나라는 철도 국유령을 내려 민영이었던 철도를 담보로 열강에 차관을 얻어 재정난을 타개하려고 하자 반대하는 운동이 광범하게 일어나 대규모 무장투쟁인 쓰촨봉기로 결국 발전했다. 이를 계기로 10월 10일 혁명파가 한 공작으로 우창에서 신군이 봉기하여 신해혁명의 불길이 당겨져 약 한 달 만에 14 성(省)이 이에 호응하여 궐기했고 12월 말에는 17개 성으로 확대되어 청조에 독립을 선포하였다. 1912년 1월 난징에서 쑨원을 임시 대총통으로 하는 중화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나 혁명 주체의 단결력과 세력이 굳건하지 못한 탓에 청조에게 대권을 부여받은 위안스카이와 타협, 선통제의 퇴위로 청을 멸망시키는 데는 성공한 대신 쑨원이 사임하고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었다. 1911년이 신해년(辛亥年)이라서 신해혁명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혁명(제1차 혁명)으로 공화정이 수립됐지만, 곧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면서 이후 제제(帝制)의 야심을 품고 혁명파를 탄압하는 일편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가 시작되었는데 1913년 7월 국민당에서 '위안스카이를 타도'하려는 운동하면서 혁명을 호소하여 봉기했다. 이를 제2차 혁명이라고 하나 위안스카이는 군대를 동원해 이를 진압했다. 이후 위안스카이는 1915년 일본의 '21개 조 요구' 수락을 위시해 매판성을 드러내어 이런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에 민중은 극심하게 반발했는데 이를 ‘제3차 혁명’(호국전쟁)이라고 부르고 1916년 위안스카이 사후 내전과 군벌의 할거로 혼란이 계속되었다. 우창에서 최초로 봉기한 10월 10일을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신해혁명 기념일’로, 중화민국에서는 중요 국경일인 “쌍십절”로 기념한다. 신해혁명은 20세기 아시아에서 일어난 정치사에 관계된 중요한 사건으로 간주된다.

새로운!!: 한중 관계와 신해혁명 · 더보기 »

후금

후금(後金)은 아이신기오로 누르가치가 여진 여러 부족을 복속하여 1616년에, 여진국()의 여러 나라를 이롭게 하는 맑은 한() 된 뒤 1618년에 개국한 나라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후금 · 더보기 »

왕십리동

왕십리제2동(往十里第2洞)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동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왕십리동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12월 · 더보기 »

1905년

190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1905년 · 더보기 »

1907년

190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1907년 · 더보기 »

1911년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1911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1948년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1949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1989년 · 더보기 »

1992년

보스니아 내전으로 파괴된 도서관에서 한 첼리스트가 연주를 하고 있다. 19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1992년 · 더보기 »

37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중 관계와 372년 · 더보기 »

3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중 관계와 374년 · 더보기 »

3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중 관계와 375년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한중 관계와 5월 · 더보기 »

7월 24일

7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5번째(윤년일 경우 20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중 관계와 7월 24일 · 더보기 »

8월 20일

8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2번째(윤년일 경우 23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중 관계와 8월 20일 · 더보기 »

8월 25일

8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7번째(윤년일 경우 23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중 관계와 8월 25일 · 더보기 »

8월 29일

8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1번째(윤년일 경우 2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중 관계와 8월 2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중국-한국 관계, 중한 관계, 한국-중국 관계, 한중 관계의 역사, 한중관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