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고려 현종

색인 고려 현종

현종(顯宗, 992년 8월 1일(음력 7월 1일)《고려사》〈세가〉권5 ~ 1031년 6월 17일(음력 5월 25일)은 고려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 1031년)이다. 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이었고, 묘호는 현종, 시호는 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大孝德威達思元文大王)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선재(禪齋)이다. 태조의 아들 안종(安宗)과 헌정왕후 황보씨(皇甫氏)의 아들이다. 안종 왕욱과 경종의 계비 헌정왕후의 사통으로 출생하여 암살 위기를 모면하고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5촌 조카이자 이종사촌 형인 목종이 폐위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후 거란의 두 차례 침입으로 피난을 다녀오기도 했다. 1009년 2월부터 1031년 6월까지 재위하는 동안 1009년 2월부터 이듬해 1010년 11월까지 강조(康兆)가 섭정하였고 1010년 11월부터 1031년 6월 붕어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90 처지: 문화왕후, 묘호, 개성특급시, 강감찬, 강조, 강조의 정변, 강수한, 거란, 경목현비, 경성왕후, 법명, 고려, 고려 덕종, 고려 목종, 고려 문종, 고려 경종, 고려 대종, 고려 정종 (10대), 고려 태조, 고려 현종, 고려 성종, 고려 안종, 고려의 역대 국왕, 불교, 김인위, 김은부, 김진우 (2006년), 김지훈 (1981년), 김치양, 김훈 (고려), 나주시, 효정공주, 효사왕후, 승려, 자 (이름), 이름, 이허겸, 인평왕후, 음력 5월 25일, 음력 7월 1일, 정간왕, 진관사, 지채문, 천추태후 (드라마), 팔관회, 최수한, 연등회, 연창궁부인, 헌정왕후, 헌애왕후, ..., 사천시, 선릉 (고려), 선의왕후 (고려), 섭정, 서희, 송나라, 한국방송공사, 신라, 신성왕후, 시호, 원목왕후, 원용왕후, 원평왕후, 원정왕후, 원질귀비, 원순숙비, 원혜왕후, 원성왕후, 원화왕후, , 왕충 (고려 현종), 1006년, 1009년, 1010년, 1014년, 1015년, 1018년, 1022년, 1024년, 1025년, 1031년, 11월, 2월, 6월, 6월 17일, 8월 1일, 981년, 992년, 996년, 997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0 더) »

문화왕후

문화왕후 김씨(文和王后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 성종의 왕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문화왕후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고려 현종와 묘호 · 더보기 »

개성특급시

성특급시(開城特級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개성특급시 · 더보기 »

강감찬

강감찬(姜邯贊 또는 姜邯瓚, 948년 12월 22일(음력 11월 19일) ~ 1031년 9월 9일(음력 8월 20일))은 고려의 문관(文官)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강감찬 · 더보기 »

강조

강조(康兆, 964년 ~ 1010년 12월 31일(음력 11월 24일))는 고려 시대의 무장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강조 · 더보기 »

강조의 정변

강조의 정변(康兆의 政變)은 강조가 1009년 목종을 폐위시킨 정변으로, 제2차 고려-거란 전쟁의 원인이 되었.

새로운!!: 고려 현종와 강조의 정변 · 더보기 »

강수한

강수한(2000년 10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강수한 · 더보기 »

거란

1000년경 거란의 영향권. 유목민의 생활 거란(契丹(글안▽)) 또는 키탄(Khitan)은 4세기 중엽부터 내몽골의 시라무렌 강 유역에 나타나 거주하던 몽골계와 퉁구스계의 혼혈족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거란 · 더보기 »

경목현비

경목현비 왕씨(敬穆賢妃 王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9대 왕 덕종의 제2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경목현비 · 더보기 »

경성왕후

경성왕후 김씨(敬成王后 金氏, ? ~ 1086년 음력 7월 23일)는 고려의 제9대 왕 덕종의 제1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경성왕후 · 더보기 »

법명

법명(法名)은 불교에서 불교 승려가 되는 이에게 종파에서 지어 주는 이름인데 참고로 여담이지만 불교 승려의 출가 이전 속가 이름, 즉 불교 승려의 본명을 속명(俗名)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법명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덕종

덕종(德宗, 1016년 6월 9일 (음력 5월 2일) ~ 1034년 10월 31일 (음력 9월 17일))은 고려 제9대 국왕(재위: 1031년 ~ 1034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고려 덕종 · 더보기 »

고려 목종

목종(穆宗, 980년 7월 5일 (음력 5월 20일) ~ 1009년 3월 2일 (음력 2월 3일))은 고려 제7대 국왕(재위: 997년~1009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고려 목종 · 더보기 »

고려 문종

문종(文宗, 1019년 12월 29일 (음력 12월 1일) ~ 1083년 9월 2일 (음력 7월 18일)은 고려 제11대 황제(재위 1046년 ~ 1083년)이다. 초명은 서(緖), 휘는 휘(徽), 자는 촉유(燭幽), 묘호는 문종, 시호는 강정명대장성인효황제(剛定明大章聖仁孝皇帝)이다. 불교 중흥에 힘썼으므로 특별히 인효성황제(仁孝聖皇帝)이라고도 부른다. 문종의 치세 이래를 고려의 황금기라고 한다. 즉위 초 문하시중 최충에게 명하여 율령(律令)·서산(書算)을 정리하도록 명하였으며, 그의 치세기간 중 이자연과 최충을 통해 문치 정책을 펼쳤다. 현종(顯宗)과 원혜왕후 김씨(金氏)의 셋째 아들이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고려 문종 · 더보기 »

고려 경종

경종(景宗, 955년 11월 9일 (음력 윤 9월 22일) ~ 981년 8월 13일 (음력 7월 11일))은 고려 제5대 국왕(재위: 975년 ~ 981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고려 경종 · 더보기 »

고려 대종

종(戴宗, ? ~ 969년 11월)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추존왕(追尊王)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고려 대종 · 더보기 »

고려 정종 (10대)

정종(靖宗) 1018년 8월 31일 (음력 7월 18일) ~ 1046년 6월 24일 (음력 5월 18일)은 고려 제10대 국왕(제위: 1034년 ~ 1046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고려 정종 (10대)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 현종

현종(顯宗, 992년 8월 1일(음력 7월 1일)《고려사》〈세가〉권5 ~ 1031년 6월 17일(음력 5월 25일)은 고려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 1031년)이다. 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이었고, 묘호는 현종, 시호는 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大孝德威達思元文大王)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선재(禪齋)이다. 태조의 아들 안종(安宗)과 헌정왕후 황보씨(皇甫氏)의 아들이다. 안종 왕욱과 경종의 계비 헌정왕후의 사통으로 출생하여 암살 위기를 모면하고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5촌 조카이자 이종사촌 형인 목종이 폐위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후 거란의 두 차례 침입으로 피난을 다녀오기도 했다. 1009년 2월부터 1031년 6월까지 재위하는 동안 1009년 2월부터 이듬해 1010년 11월까지 강조(康兆)가 섭정하였고 1010년 11월부터 1031년 6월 붕어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고려 현종 · 더보기 »

고려 성종

성종(成宗, 961년 1월 15일 (960년 음력 12월 26일) ~ 997년 11월 29일 (음력 10월 27일))은 고려 제6대 국왕(재위: 981년 ~ 997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고려 성종 · 더보기 »

고려 안종

안종(安宗, ? ~ 996년 음력 7월 7일(7월 24일))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추존 국왕(追尊 國王)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고려 안종 · 더보기 »

고려의 역대 국왕

의 역대 황제는 흔히 조, 종의 묘호로 부르나, 원나라의 내정간섭이 시작된 충렬왕 이후부터는 묘호를 사용하지 못하여 시호를 통칭으로 사용하며, 우왕과 창왕은 성명이 통용.

새로운!!: 고려 현종와 고려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불교 · 더보기 »

김인위

인위(金因謂,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김인위 · 더보기 »

김은부

은부(金殷傅, ? ~ 1017년 6월 11일(음력 5월 15일))는 고려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현종의 장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김은부 · 더보기 »

김진우 (2006년)

우(2006년 3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김진우 (2006년) · 더보기 »

김지훈 (1981년)

훈(1981년 5월 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김지훈 (1981년) · 더보기 »

김치양

양(金致陽, ? ~ 1009년)은 고려의 문신, 무신, 권신, 정치가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김치양 · 더보기 »

김훈 (고려)

훈(金訓, ?~1015년)은 고려 현종 때 반역자이며, 무신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김훈 (고려) · 더보기 »

나주시

주시(羅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나주시 · 더보기 »

효정공주

효정공주(孝靖公主 또는 孝靜公主, ? ~ 1030년 음력 7월 13일)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효정공주 · 더보기 »

효사왕후

효사왕후 김씨(孝思王后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9대 왕 덕종의 제3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효사왕후 · 더보기 »

승려

이의 불교 수도승 승려(僧侶)는 불교의 출가 수행자를 가리카는 말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승려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고려 현종와 자 (이름) · 더보기 »

이름

왕족 이름을 뜻한다. 이름은 "이르다"의 명사형으로, 물건, 사람, 장소, 생각, 개념 등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부르는 말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이름 · 더보기 »

이허겸

이허겸(李許謙, ? - ?)은 고려의 외척으로 고려 문종의 장인 이자연의 할아버지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이허겸 · 더보기 »

인평왕후

인평왕후 김씨(仁平王后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 제11대 왕 문종의 제1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인평왕후 · 더보기 »

음력 5월 25일

음력 5월 25일은 음력 5월의 25번째 날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음력 5월 25일 · 더보기 »

음력 7월 1일

음력 7월 1일은 음력 7월의 1번째 날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음력 7월 1일 · 더보기 »

정간왕

정간왕(靖簡王, 1021년 8월 ~ 1069년 11월)은 현종의 넷째 아들로, 고려 전기의 왕족, 문신이며 추존왕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정간왕 · 더보기 »

진관사

사(津寬寺)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 소재한 사찰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진관사 · 더보기 »

지채문

문(智蔡文, 964년 ~ 1026년)은 고려 전기의 무신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지채문 · 더보기 »

천추태후 (드라마)

《천추태후》(千秋太后)는 KBS가 2009년 1월 3일부터 2009년 9월 27일까지 방영한 대하드라마이며 집필자 중 한 명인 손영목 작가는 해당 작품에 앞서 2002년 7월 방영될 예정이었던 무협드라마 의 집필자로 낙점됐지만 제작비 문제, 주요 배우 캐스팅 섭외 등으로 편성이 무산.

새로운!!: 고려 현종와 천추태후 (드라마) · 더보기 »

팔관회

회(八關會)는 신라 때 시작되어 고려 때까지 이어진 불교 의식(儀式)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팔관회 · 더보기 »

최수한

수한(1997년 8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최수한 · 더보기 »

연등회

연등회(燃燈會)는 한국에서 부처님오신날을 즈음해서 등불을 밝혀 세상을 밝히고자 하는 불교 행사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연등회 · 더보기 »

연창궁부인

연창궁부인 최씨(延昌宮夫人 崔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6대 왕 성종의 제3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연창궁부인 · 더보기 »

헌정왕후

정왕후(獻貞王后, ~992년 음력 7월 1일 또는 993년 음력 3월 19일)는 고려의 왕족으로, 고려의 제5대 왕 경종의 제4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헌정왕후 · 더보기 »

헌애왕후

애왕후(獻哀王后, 964년 ~ 1029년 1월 20일 (음력 1월 3일)는 고려의 왕족, 왕비로 고려의 5대 왕 경종의 세 번째 왕비이다. 7대 왕 목종의 모후로, 태조의 아들인 대종과 선의왕후에서 출생하였다. 시호로는 응천계성정덕왕태후(應天啓聖靜德王太后)라 하며 흔히 천추태후(千秋太后)라고도 한다. 경종 사후 궐밖에 나가 살다가 외가 쪽 친척인 김치양과 자주 만나던 중 사통하여 아들을 얻었고, 목종 즉위 후 섭정을 하였으나 자신의 친조카 대량원군을 암살하려 하였다. 경종의 제1비인 헌숙왕후와는 고종 사촌간이었고, 제4비 헌정왕후는 그의 친동생이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헌애왕후 · 더보기 »

사천시

사천시(泗川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사천시 · 더보기 »

선릉 (고려)

선릉(宣陵)은 개풍군 중서면 곡령리에 위치한 고려 제8대 현종의 능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선릉 (고려) · 더보기 »

선의왕후 (고려)

선의왕후 유씨(宣義王后) 또는 선의왕태후 유씨는 고려의 추존왕 대종(戴宗)의 비(妃)로, 성종(成宗)의 모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선의왕후 (고려) · 더보기 »

섭정

섭정(攝政)은 군주(군왕)가 통치하는 국가(군주국)에서 군주가 아직 어려서 정무를 수행할 능력이 없거나 병으로 정사를 돌보지 못할 때 국왕을 대신해서 통치권을 받아 국가를 다스리던 사람이나 그 일을 가리.

새로운!!: 고려 현종와 섭정 · 더보기 »

서희

서희(徐熙, 942년 ~ 998년 8월 8일 (음력 7월 14일))는 고려 초의 문신, 군인, 외교관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서희 · 더보기 »

송나라

송(宋, 960년 ~ 1279년)은 중국의 옛 왕조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송나라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고려 현종와 신라 · 더보기 »

신성왕후

신성왕태후 김씨(神成王太后 金氏) 또는 신성왕후(神成王后)는 신라의 왕족 출신 고려의 왕후로 고려 태조 왕건의 제5왕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신성왕후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고려 현종와 시호 · 더보기 »

원목왕후

원목왕후 서씨(元穆王后 徐氏, ? ~ 1057년 음력 5월 12일)는 고려의 제8대 왕 현종의 제6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원목왕후 · 더보기 »

원용왕후

원용왕후 유씨(元容王后 柳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8대 왕 현종의 제5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원용왕후 · 더보기 »

원평왕후

원평왕후 김씨(元平王后 金氏, ? ~ 1028년 음력 10월)는 고려 현종의 제7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원평왕후 · 더보기 »

원정왕후

원정왕후(元貞王后, ?~1018년)은 고려 제6대 왕 성종(成宗)과 문화왕후 김씨(文和王后 金氏)의 딸이자 고려 제8대 왕 현종의 제1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원정왕후 · 더보기 »

원질귀비

원질귀비 왕씨(元質貴妃 王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8대 왕 현종의 제9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원질귀비 · 더보기 »

원순숙비

원순숙비 김씨(元順淑妃 金氏, ? ~ 1055년 음력 12월 이전)는 고려의 제8대 왕 현종의 제8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원순숙비 · 더보기 »

원혜왕후

원혜태후 김씨(元惠太后 金氏, ? ~ 1022년 음력 6월 30일)는 고려 현종의 제4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원혜왕후 · 더보기 »

원성왕후

원성왕태후 김씨(元成王太后 金氏, ? ~ 1028년 8월 15일(음력 7월 22일))는 고려의 제8대 왕 현종의 제3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원성왕후 · 더보기 »

원화왕후

원화왕후 최씨(元和王后 崔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8대 왕 현종의 제2비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원화왕후 · 더보기 »

국왕(國王) 또는 왕(王) (영어;king)은 군주 칭호의 일종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왕 · 더보기 »

왕충 (고려 현종)

왕충(王忠, 생몰년 미상)은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왕충 (고려 현종) · 더보기 »

10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1006년 · 더보기 »

10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1009년 · 더보기 »

10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1010년 · 더보기 »

10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1014년 · 더보기 »

10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1015년 · 더보기 »

10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1018년 · 더보기 »

10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1022년 · 더보기 »

10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1024년 · 더보기 »

10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1025년 · 더보기 »

10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1031년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고려 현종와 11월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고려 현종와 2월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고려 현종와 6월 · 더보기 »

6월 17일

6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8번째(윤년일 경우 16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고려 현종와 6월 17일 · 더보기 »

8월 1일

8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3번째(윤년일 경우 2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고려 현종와 8월 1일 · 더보기 »

9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981년 · 더보기 »

9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992년 · 더보기 »

9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996년 · 더보기 »

99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현종와 997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량원군, 원문대왕, 왕순, 현종 왕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