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홍순언 (1530년)

색인 홍순언 (1530년)

홍순언(洪純彦, 1530년 ∼ 1598년)은 조선 중기의 한어 통역관, 외교관으로 본관은 남양(南陽)이.

57 처지: 랴오둥반도, 도요토미 히데요시, 명나라, 박지원, 베이징 시, 병조, 광국공신, 대간, 대제학, 남양군, 난징 시, 당상관, 장안, 임진왜란, 평양부, 이인임, 이익, 이지방 (1466년), 이여송, 이항복, 일본, 정재숭, 정인보, 조선, 조선 광해군, 조선 효종, 조선 태조, 조선 환조, 참판, 청나라, 추증, 상서, 태조실록, 호조, 예조, 열하일기, 허봉, 석성, 석성 (명나라), 성호사설, 서울특별시, 한성부, 한확, 압록강, 홍성민, 1530년, 1531년, 1539년, 1574년, 1588년, ..., 1592년, 1598년, 1612년, 1640년, 1920년, 1928년, 4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 더) »

랴오둥반도

오둥 반도의 위치 랴오둥 반도() 또는 요동 반도(문화어,: 료동 반도)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遼寧省) 남부의 반도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랴오둥반도 · 더보기 »

도요토미 히데요시

요토미 히데요시(1537년 3월 17일 ~ 1598년 9월 18일)는 센고쿠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정치가이며 다이묘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명나라 · 더보기 »

박지원

박지원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박지원 · 더보기 »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베이징 시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병조 · 더보기 »

광국공신

광국공신(光國功臣)이란 조선 선조 때에 종계변무(宗系辨誣)에 공이 있는 사람들에게 내린 공신명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광국공신 · 더보기 »

대간

(臺諫)은 관리의 감찰과 간언을 하는 벼슬아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대간 · 더보기 »

대제학

제학(大提學)은 고려와 조선의 관직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대제학 · 더보기 »

남양군

양군(南陽郡)은 경기도의 옛 행정구역으로, 지금의 화성시 서부(남양읍 등)와 안산시 대부동,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일대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남양군 · 더보기 »

난징 시

징()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쑤 성의 성도인 부성급시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난징 시 · 더보기 »

당상관

당상관(堂上官)은 조선의 관직 가운데 정책 결정에 참여하고 정치적 책임을 갖는 정 3품 이상의 자리를 가리.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당상관 · 더보기 »

장안

장안중심고루유적 장안의 위치 장안에서 발굴된 한나라 시기의 유물 주대부터 청대까지의 시안. 회색은 주의 풍경과 호경, 파란색은 진의 함양과 아방궁, 분홍색은 한대 장안, 빨간색은 당대 장안, 보라색은 송대 경조부, 노란색은 명대 이후의 시안이다. 장안()은 중국의 고도(古都)로 현재 산시 성(陝西省)의 성도(省都) 시안 시(西安市)에 해당.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장안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평양부

평양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평양부 · 더보기 »

이인임

이인임(李仁任, ?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간신(奸臣), 권신(權臣)이자 시인(詩人)이었.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이인임 · 더보기 »

이익

이익(利益)은 단순히 말해 수입에서 지출을 뺀 현금흐름(캐시 플로, cash flow)을 가리.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이익 · 더보기 »

이지방 (1466년)

이지방(李之芳, 1466년 10월 15일 - 1537년 12월 1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이지방 (1466년) · 더보기 »

이여송

이여송(1549년 ~ 1598년)은 명나라 말기의 장수로 임진왜란 때 파견된 명나라 장군의 한사람으로 요동(遼東) 철령위(鐵嶺衛) 출생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이여송 · 더보기 »

이항복

이항복(李恒福, 1556년 ~ 1618년 7월 4일(음력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정치가·시인·작가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이항복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일본 · 더보기 »

정재숭

정재숭(鄭載嵩, 1632년 ~ 169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정재숭 · 더보기 »

정인보

정인보(鄭寅普, 음력 1893년 5월 6일/양력 1893년 6월 19일 ~ 1950년 9월 7일)는 일제 강점기의 한학자·역사학자·작가이며,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작가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정인보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환조

이자춘(李子春, 1315년 ~ 1361년 6월 3일(음력 4월 30일))은 원의 관료이자 고려의 무신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조선 환조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참판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청나라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추증 · 더보기 »

상서

상서(尙書)는 고려시대 상서성의 정3품 관직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상서 · 더보기 »

태조실록

《태조강헌대왕실록》(太祖康獻大王實錄)은 조선 태조 원년(1392년)부터 태조 7년(1398년)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조선왕조실록의 한 부분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태조실록 · 더보기 »

호조

호조(戶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호조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예조 · 더보기 »

열하일기

《열하일기》(熱河日記)는 조선 정조 때의 북학파인 박지원이 44세 때인 1780년(정조 4년)에 삼종형(8촌 형) 박명원(朴明源)이 청나라 건륭제의 만수절(萬壽節, 칠순 잔치) 사절로 북경(당시의 연경)에 갈 때 따라가서 보고 들은 것을 남긴 견문기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열하일기 · 더보기 »

허봉

봉(許篈, 1551년~158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허봉 · 더보기 »

석성

석성(石城)은 돌로 쌓은 성을 말.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석성 · 더보기 »

석성 (명나라)

석성(생년 미상 ~ 만력 27년(1599년)은 명나라의 문신이다. 자는 공진(拱辰), 호는 동천(東泉). 북직례 동명현(현재의 산둥 성 둥밍 현) 출신.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석성 (명나라) · 더보기 »

성호사설

《성호사설》(星湖僿說)은 실학자인 성호 이익(李瀷)의 문답집을 엮은 저술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성호사설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한성부 · 더보기 »

한확

확(韓確, 1400년 ~ 1456년 음력 9월 11일)은 조선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외교관이며 명나라의 문신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한확 · 더보기 »

압록강

'''압록강'''(鴨綠江) 압록강(鴨綠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경을 이루는 한반도 북서부의 강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압록강 · 더보기 »

홍성민

홍성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홍성민 · 더보기 »

15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1530년 · 더보기 »

15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1531년 · 더보기 »

153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1539년 · 더보기 »

15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1574년 · 더보기 »

1588년

15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1588년 · 더보기 »

1592년

15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1592년 · 더보기 »

1598년

15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1598년 · 더보기 »

1612년

16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1612년 · 더보기 »

1640년

164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1640년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1920년 · 더보기 »

1928년

192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1928년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홍순언 (1530년)와 4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동고 홍순언, 당릉군, 당릉군 홍순언, 당성군, 당성군 홍순언, 홍덕룡, 홍순언 (역관), 홍사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