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화엄교학

색인 화엄교학

화엄교학(華嚴敎學)은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현수대사 법장(法藏: 643-712)이 대성한 화엄종의 교학이.

34 처지: 동진, 무상, 법계, 법계 (불교), 법장 (당나라), 법신, 불교, 부처,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비로자나불, 교종, 교상판석, 의상 (신라), 중국의 불교, 진리, 지관 (불교), 지의, 지엄, 천태교학, 천태종, 유마경, 수미산, 오교십종, 현상, 연기 (불교), 열반, 열반경, 세계, 십이연기설, 화엄경, 화엄경탐현기, 화엄교학, 화엄종, 화엄오교장.

동진

동진(東晉, 317년 ~ 420년)은 중국의 서진(西晉) 왕조가 유연(劉淵)의 전조(前趙)에게 멸망한 후, 사마예(司馬睿)에 의해 강남(江南)에 세워진 진(晉)의 망명 왕조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동진 · 더보기 »

무상

무상(無常) 또는 비상(非常)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멸(生滅)하며 시간적 지속성이 없음을 말. 즉 영원하지 않은 것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무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무상: 無常 무상이란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멸(生滅)하며 시간적 지속성이 없음을 말. 불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제행무상(諸行無常)'이라는 명제로써 무상을 설명.

새로운!!: 화엄교학와 무상 · 더보기 »

법계

법계(法系)는 인종·민족·문명권에 기초를 둔 법질서의 계통을 말. 로마법계·영미법계·대륙법계와 같은 것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법계 · 더보기 »

법계 (불교)

법계(法界)는 산스크리트어 다르마다투(Dharmadhatu)의 역어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법계 (불교) · 더보기 »

법장 (당나라)

법장(法藏: 643~712)은 중국 당나라 시대의 승려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법장 (당나라) · 더보기 »

법신

법신(法身)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카야(धर्म काय, Dharmakāya)의 번역어로 문자 그대로의 뜻은 진리의 몸(truth body) 또는 실재의 몸(reality body)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법신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불교 · 더보기 »

부처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부처 또는 여래(如來), 세존(世尊), 붓다()는 인도 불교에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뜻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부처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화엄교학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비로자나불

비로자나불은 바이로차나(Vairocana).

새로운!!: 화엄교학와 비로자나불 · 더보기 »

교종

종(敎宗)이란 부처의 교설 및 그것을 문자로 나타낸 경전을 바탕으로 하는 종지(宗旨)를 뜻하며, 불어종(佛語宗)이라고도 하고, 부처의 일심(一心)을 전하는 불심종(佛心宗)으로서의 선종(禪宗)의 입장에서 불교를 판별(判別)하여 교선2종(敎禪二宗)으로 나눈 데에서 비롯.

새로운!!: 화엄교학와 교종 · 더보기 »

교상판석

상판석(敎相判釋)은 중국 불교에서 유래한 불교 용어로, 수천 권에 달하는 불교 경전은 고타마 붓다가 일생 동안 행한 설법의 집대성이라고 보고 불교 경전을 설법의 형식방법순서내용교리에 따라 분류 및 체계화하고 가치판단을 행하는 것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학연구의 발달 > 교상판석,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교상판석은 교상(敎相)교판(敎判) 또는 판교(判敎).

새로운!!: 화엄교학와 교상판석 · 더보기 »

의상 (신라)

의상(義湘, 625년 ~ 702년)은 고대 통일신라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고승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의상 (신라) · 더보기 »

중국의 불교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

새로운!!: 화엄교학와 중국의 불교 · 더보기 »

진리

리(眞理)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참된 도리'이며, 사실이 분명하게 맞아 떨어지는 명제, 또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보편적이고 불변적인 사실 혹은 참된 이치나 법칙을 뜻. 참, 진실 등으로 불리.

새로운!!: 화엄교학와 진리 · 더보기 »

지관 (불교)

(止觀, śamatha-vipaśyanā)은 불교의 수행법인 지(止)와 관(觀)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지(止)는 산스크리트어 사마타(śamatha)를 뜻에 따라 번역한 것이고, 관(觀)은 산스크리트어 비파사나(vipaśyanā 비파스야나)를 뜻에 따라 번역한 것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지관 (불교) · 더보기 »

지의

사 지의(智顗: 538~597)는 수나라(581~618) 시대의 승려로, 천태종의 개조(開祖)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지의 · 더보기 »

지엄

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화엄교학와 지엄 · 더보기 »

천태교학

학(天台敎學)은 《법화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천태종의 개조인 천태지자대사(天台智者大師) 지의(智顗: 538-597)가 대성한 중국 불교의 교학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천태교학 · 더보기 »

천태종

종(天台宗TiantaiTendaiLotus School)은 《법화경》(法華經Lotus Sūtra)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천태종 · 더보기 »

유마경

《유마경(維摩經)》은 원명을 비말라키르티 수트라(Vimalakīrti Sūtra)라고 하며 《반야경》에 이어 나타난 초기 대승경전 중에서도 그 성립이 오랜 것 중의 하나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유마경 · 더보기 »

수미산

수미산의 그림 수미산(須彌山)은 불교의 세계관에서 세계의 중심에 솟아있다는 상상의 산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수미산 · 더보기 »

오교십종

오교십종(五敎十宗)은 불교를 5교(五敎: 다섯 가르침)와 10종(十宗: 열 가지 종파 또는 종지)으로 분류하고 판석한 화엄종(華嚴宗)의 교판(敎判)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오교십종 · 더보기 »

현상

현상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화엄교학와 현상 · 더보기 »

연기 (불교)

연기(緣起)는 인연생기(因緣生起) 즉 인(因: 직접적 원인)과 연(緣: 간접적 원인)에 의지하여 생겨남 또는 인연(因緣: 통칭하여, 원인)따라 생겨남의 준말로,운허 &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새로운!!: 화엄교학와 연기 (불교) · 더보기 »

열반

열반(涅槃)은 "(바람 등이) 불기를 멈추다(촛불 등을) 불어서 끄다(촛불 등이) 불어서 꺼진 상태"라는 뜻의를 음을 따라 번역한 말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열반 · 더보기 »

열반경

《열반경》(涅槃經)은 불교의 경전으로, 소승 불교의 열반경(소승열반경)과 대승 불교의 열반경(대승열반경) 두 가지가 있.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열반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소승 불교의 열반경은 붓다의 열반 전후의 이야기를 기록한 《마하빠리닙바나 숫따》(Mahāparinibbāna Sutta, D16)이며, 대승 불교의 열반경은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열반경 · 더보기 »

세계

인공위성 합성사진 (낮) 인공위성 합성사진 (밤) 세계 지도 세계(世界,World) 또는 누리는 우리가 사는 지구, 또는 세계의 모든 나라, 또는 인류 사회 전체를 일컫는 명칭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세계 · 더보기 »

십이연기설

THDL: tendrel yenlak chunyi THDL: tendrel yenlak chunyi --@> |th.

새로운!!: 화엄교학와 십이연기설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화엄교학와 화엄경 · 더보기 »

화엄경탐현기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K.1513, T.1733)는 당나라 시대 때, 화엄종을 크게 일으킨 법장(法藏: 643~712)이 687년에서 695년 사이에 저술한 《화엄경》에 대한 주석서로,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60권 화엄경》에 대한 주석서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화엄경탐현기 · 더보기 »

화엄교학

화엄교학(華嚴敎學)은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현수대사 법장(法藏: 643-712)이 대성한 화엄종의 교학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화엄교학 · 더보기 »

화엄종

화엄종(華嚴宗)은 《화엄경(華嚴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화엄종 · 더보기 »

화엄오교장

《화엄오교장(華嚴五敎章)》은 화엄종의 대성자(大成者)인 당나라의 승려 현수대사 법장(賢首大師 法藏: 643~712)의 저서로서, 자세한 책명은 《화엄일승교의분제장(華嚴一乘敎義分齊章)》 또는 《화엄일승교의분제의(華嚴一乘敎義分齊義)》이.

새로운!!: 화엄교학와 화엄오교장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4법계, 4법계관, 6상설, 6상원융, 법계무진연기, 법계연기, 이법계, 이사무애법계, 일즉일체, 일체즉일, 중중무진, 육상설, 육상원융, 사법계, 사법계관, 사사무애, 사사무애법계, 십현문, 십현연기무애법문의, 화엄교리, 화엄의 교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