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십사사

색인 이십사사

이십사사(二十四史)는 중국에서 정사(正史)로 인정받는 역사서 24종의 통칭이.

57 처지: 명사, 방현령, 반고, 건륭제, 베이징 시, 범엽, 북제서, 북사, 금사, 구당서, 구오대사, 구양수, 남제서, 남사, 요사, 장정옥, 이백약, 이연수, 이십사사, 제2차 세계 대전, 주서, 중국, 중국 국민당, 중국공산당, 중국의 역사,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진수 (서진), 진서, 진서 (남조), 청나라, 청사고, 유후, 위징, 위서 (역사서), 수서 (역사서), 영호덕분, 양서, 사마천, 사기 (역사서), 삼국지, 설거정, 토크토아, 송렴, 송사, 송서, 한서, 신당서, 신오대사, 신원사 (역사서), ..., 심약, 십팔사략, 원사, 후한서, 1961년, 2002년, 2016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 더) »

명사

명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십사사와 명사 · 더보기 »

방현령

방현령 방현령(房玄齡, 578년 ~ 648년)은 당(唐)나라의 재상, 정치가로 능연각 24공신이며, 18학사의 일원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방현령 · 더보기 »

반고

반고는 다음과 같은 대상을 가리.

새로운!!: 이십사사와 반고 · 더보기 »

건륭제

보친왕 시절의 건륭제 건륭제(乾隆帝, 강희(康熙) 50년 음력 8월 13일 (1711년 9월 25일) ~ 가경(嘉慶) 4년 음력 1월 3일 (1799년 2월 7일))는 청나라의 제6대 황제(재위 1735년 ~ 1796년)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건륭제 · 더보기 »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베이징 시 · 더보기 »

범엽

범엽(范曄, 398년 ~ 445년)은, 중국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 시대 남조(南朝) 송(宋)의 정치가이자 문장가, 역사가로서 《후한서(後漢書)》의 저자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범엽 · 더보기 »

북제서

《북제서》(北齊書)는 당나라 이백약이 쓴 기전체 역사서로 이십사사 중의 하나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북제서 · 더보기 »

북사

북사(北史)는 중국 북조의 역사서로 이대사에 의해 편찬이 시작되었고, 그의 아들인 이연수에 의해 완성된 이십사사 중의 하나인 역사서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북사 · 더보기 »

금사

《금사》(金史)는 중국의 이십사사 중 하나로서, 금나라에 대한 역사책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금사 · 더보기 »

구당서

당서(舊唐書)는 당나라(唐)의 정사(正史)로 이십사사(二十四史)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구당서 · 더보기 »

구오대사

《구오대사》(舊五代史)는 중국 북송 시대에 설거정 등이 태종의 명에 의해 편찬한 역사서로, 중국 정사 이십사사 중 하나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구오대사 · 더보기 »

구양수

양수 구양수(歐陽脩, 1007년 ~ 1072년)는 중국 송나라 인종 ~ 신종 때의 정치가ㆍ시인ㆍ문학자ㆍ역사학자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구양수 · 더보기 »

남제서

제서(南齊書)는 남조 양나라 때인 537년에 소자현이 편찬한 것으로, 남조 제나라(479년~502년)의 역사를 담았.

새로운!!: 이십사사와 남제서 · 더보기 »

남사

사(南史)는 중국의 남조에 대해 쓰여진 역사서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남사 · 더보기 »

요사

요사(遼史)는 중국의 정사인 이십사사(청나라 건륭제가 정한 24종의 기전체 역사서) 중의 하나로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의 역사를 다룬 116권의 사서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요사 · 더보기 »

장정옥

장정옥(1672년 ~ 1755년)은 청나라의 대신으로 청대 초기 대학사 장영(張英)의 차남으로 한족 출신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장정옥 · 더보기 »

이백약

이백약(李百藥, Li Baiyao, 564년 ~ 647년)은 중국 수나라 때부터 당나라 때에 걸쳐 활약했던 관료이자 역사가로, 그의 뛰어난 문학적 재능으로 많은 사람들에게서 존경받았으며, 아버지 이덕림이 편찬을 시작했던 남북조시대 북제의 공식 역사서 중의 하나인 북제서를 완성한 것으로 유명.

새로운!!: 이십사사와 이백약 · 더보기 »

이연수

이연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십사사와 이연수 · 더보기 »

이십사사

이십사사(二十四史)는 중국에서 정사(正史)로 인정받는 역사서 24종의 통칭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이십사사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또는 World War II)은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치러진,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남긴 가장 파괴적인 전쟁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주서

주서(周書)는 당나라의 영호덕분 등이 당나라 당 태종의 칙명에 의해서 저술한 기전체의 단대사로, 이십사사 중 하나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주서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중국 · 더보기 »

중국 국민당

1945년 3월 촬영된 중국 국민당의 지도자 장제스 1924년에 열린 중국 국민당의 제 1회 당 대회 1938년, 티베트에서 촬영된 사진. 중국 국민당의 당기가 보인다. 신장에서의 중국 국민당 중일 전쟁 당시의 국민혁명군 2006년까지 타이베이 시에 존재했던 중국 국민당의 이전 중앙 당사 2004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 당시, 중국 국민당과 범람연맹 지지 세력들의 시위 2006년 6월에 촬영된 타이베이 시에 위치한 현재 중국 국민당의 중앙 당사 중국 국민당은 전 세계의 차이나 타운에 사무당사를 두는데, 미국의 중국 국민당 중앙 당사는 샌프란시스코 차이나 타운에 위치해 있다. 캐나다 밴쿠버의 차이나 타운에 위치한 중국 국민당의 당사 북벌 성공 이후 1928년 7월 6일에 촬영된 중국 국민당의 당원들. 장제스 등 여러 장군들의 모습이 보인다. 중국 국민당(Kuomintang of China)은 중화민국의 정당으로, 1894년에 홍콩에서 결성된 '흥중회', 1905년에 결성된 '중국동맹회', 1914년 일본 도쿄에서 결성된 '중화혁명당'을 계승 발전하여 현재의 형태로 완성되었.

새로운!!: 이십사사와 중국 국민당 · 더보기 »

중국공산당

중화인민공화국을 선포하는 마오쩌둥(1949년 10월 1일) 이오시프 스탈린의 생일을 축하하는 중국 공산당 당원들(1949년 12월 18일)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 위치한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동상 중국공산당(Communist Party of China)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집권 정당으로, 일당 독재 체제로 국가를 통치하는 공산당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중국공산당 · 더보기 »

중국의 역사

중국의 역사 황하 황하 문명 탄생 이래 중국 본토에서는 하나라, 은나라, 주나라 이래 약 5000년 동안 수많은 왕조가 흥망을 반복해 왔. 한나라 때 중화민족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족의 기틀을 세웠고, 당나라는 서방의 페르시아, 이슬람 제국, 동로마 제국과의 교류도 성하였.

새로운!!: 이십사사와 중국의 역사 · 더보기 »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공화국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중화민국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진수 (서진)

수(陳壽, 233년 ~ 297년)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 ~ 서진의 관료로, 자는 승조(承祚)이며 익주(益州) 파서군(巴西郡) 안한현(安漢縣) 사람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진수 (서진) · 더보기 »

진서

서(晉書)는 중국 진나라(晉)의 기록을 담은 역사서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진서 · 더보기 »

진서 (남조)

서(陳書)는 당나라의 사학가인 요사렴이 636년에 편찬한 사서이며, 이십사사 중 하나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진서 (남조)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이십사사와 청나라 · 더보기 »

청사고

청사고(淸史稿)는 중국의 신해혁명에 의한 중화민국 성립 후 조이손(趙爾巽)이 중심이 되어 약 100여명의 학자들과 함께 편찬한 이십사사를 잇는 청나라 1대를 다룬 기전체 역사서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청사고 · 더보기 »

유후

유후(劉昫, 887년 ~ 946년)는 중국 오대 십국 시대 후진의 역사가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유후 · 더보기 »

위징

위징 위징(魏徵, 580년 - 643년)은 당나라의 정치가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위징 · 더보기 »

위서 (역사서)

《위서》(魏書)는 중국 북제의 위수(魏收)가 편찬한 북위의 정사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위서 (역사서) · 더보기 »

수서 (역사서)

《수서》(隋書)는 수나라의 역사서로, 당 고조 이연 때부터 시작하여, 당 태종, 당 고종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 완성된 총 85권의 수나라 역사 통사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수서 (역사서) · 더보기 »

영호덕분

영호덕분() (583년 ~ 666년)은 중국 당나라의 역사가였.

새로운!!: 이십사사와 영호덕분 · 더보기 »

양서

양서(梁書)는 중국 남조 양나라(梁, 502년 ~ 557년) 시대의 기록을 한 역사서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양서 · 더보기 »

사마천

사마천 사마 천(기원전 145년? - 기원전 86년?)은 중국 전한(前漢)시대의 역사가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사마천 · 더보기 »

사기 (역사서)

《사기》(史記)는, 중국 전한 왕조 무제 시대에 사마천이 저술한 중국의 역사서이며, 중국 이십사사의 하나이자 정사의 으뜸으로 꼽힌.

새로운!!: 이십사사와 사기 (역사서) · 더보기 »

삼국지

《삼국지》(三國志)는 서진의 진수가 쓰고 송나라의 배송지가 내용을 보충한 중국 삼국시대의 사찬(私撰) 역사서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삼국지 · 더보기 »

설거정

설거정(薛居正, 912년 ~ 981년)은 중국 송나라의 역사가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설거정 · 더보기 »

토크토아

아 (1314년 ~ 1355년)는 원나라의 승상이자 권신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토크토아 · 더보기 »

송렴

송렴(宋濂, 1310년 ~ 1381년)은, 중국 명 초기의 정치가이자 유학자, 문인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송렴 · 더보기 »

송사

《송사》(宋史)는 중국 이십사사 중의 하나로, 중국 북송과 남송시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 원나라 중서우승상(中書右丞相) 탁극탁(한자: 托克托 몽골어: ᠲᠣᠭᠲᠠᠭᠠ 또는 토크토, 1314년~1355년)을 중심으로 7명의 총재관(總裁官)들과 23명의 사관(史官)들이 1343년에 저술을 시작하여 1345년에 완성하였.

새로운!!: 이십사사와 송사 · 더보기 »

송서

송서(宋書)는 488년에 남제(南濟) 무제(武帝)의 명을 받아 심약이 편찬한 기전체 역사서로, 동진의 뒤를 이은 남조의 왕조인 유송(劉宋, 420년~479년)의 역사를 담았다. 본기 10권, 열전60권, 지(志) 30권으로 모두 10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 24사의 하나로 꼽힌다. 본기나 열전이 1년 정도 걸려 완성된 것과는 달리 지를 완성하는데 10년이 걸려 양(梁) 시대에 이르러서야 완성된다. 유송이 멸망하고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유송의 역사와 관련된 많은 사람들이 생존해 있던 시대에 편찬된 덕분에 동시대의 자료를 많이 수록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은 역사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새로운!!: 이십사사와 송서 · 더보기 »

한서

《한서》(漢書)는 반고가 편찬한 전한의 역사를 서술한 역사서로, 중국 이십사사에.

새로운!!: 이십사사와 한서 · 더보기 »

신당서

《신당서》(新唐書)는 북송 인종이 《구당서》(舊唐書)의 내용이 왜곡된 것이 많고 너무 부실하다고 하여 구양수 등에 명하여 1044년 ~ 1060년에 걸쳐 완성한 당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책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신당서 · 더보기 »

신오대사

신오대사(新五代史)는 북송의 구양수가 지은 중국의 오대 십국 시대를 다룬 역사서.

새로운!!: 이십사사와 신오대사 · 더보기 »

신원사 (역사서)

신원사(新元史)는 중화민국 성립 후 크샤오민(柯劭忞)(1850-1933, 청사초 임시 편찬 위원이기도 했다)이 편찬하고 1919년 완성된 원나라 1대 기전체 역사서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신원사 (역사서) · 더보기 »

심약

심약(441년 ~ 513년)은 중국 위진 남북조 시대 송나라, 제나라, 양나라의 공신, 정치인, 관료, 학자, 역사가, 시인, 문인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심약 · 더보기 »

십팔사략

《십팔사략》(十八史略)은 원(元)의 한족 학자 증선지가 지은 중국 고대사를 담은 역사서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십팔사략 · 더보기 »

원사

원사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이십사사와 원사 · 더보기 »

후한서

《후한서》(後漢書)는 중국 이십사사 중의 하나로 후한의 역사를 남북조 시대 송나라의 범엽(398년 ~ 445년)이 정리한 책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후한서 · 더보기 »

1961년

196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1961년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2002년 · 더보기 »

2016년

20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십사사와 2016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24사, 이십육사, 이십오사, 전사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