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오교 구산

색인 오교 구산

오교 구산(五敎九山)은 신라 중기에 성립된 교종의 5교와 신라 말기와 고려 초에 성립된 선종의 9산을 통칭하여 부르는 낱말이.

100 처지: 도교, 도굴산문, 도의, 도윤, 도헌, 동리산문, 명랑, 무염, 문경시, 미륵보살, 백제의 불교, 개성특급시, 강릉시, 가지산, 가지산문, 겸익, 경덕왕, 범일, 법상종, 법성종, 고려, 고려 숙종, 고려의 불교, 고구려의 불교, 곡성군, 보덕, 보령, 보림사, 계율종, 봉림사, 봉림산문, 봉암사, 불교, 불성, 분황사, 부석사, 금산사,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교종, 교상판석, 구산, 구산문, 구산팔해, 남북국 시대, 남원시, 당나라, 자장, 장흥, 흥왕사, 희양산문, ..., 이엄, 의천, 의상 (신라), 점찰법회, 절중, 조계종, 진언종, 진표, 지리산, 지눌, 지엄, 창원시, 체징, 천태종, 유가사지론, 유식설, 수미산문, 영주시, 영월군, 오교 구산, 오교 양종, 오교십종, , 혜능, 혜철, 현욱, 열반종, 사자산문, 선 (불교), 선덕왕, 선법, 설악산, 성주사, 성주산문, 송나라, 해주시, 한국의 불교 사상, 신라, 신라의 불교, 신라의 삼국통일, 신수, 신행, 실상사, 실상산문, 심희, 원효, 홍척, 화엄종, 7세기, 821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0 더) »

도교

(道敎)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로서, 신선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오행복서무축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

새로운!!: 오교 구산와 도교 · 더보기 »

도굴산문

산문, 도굴산파, 사굴산문(闍崛山門) 또는 사굴산파(闍崛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도굴산문 · 더보기 »

도의

승려 도의 도의(道義: fl. 821)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도의 · 더보기 »

도윤

윤(道允, 798년 ~ 868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도윤 · 더보기 »

도헌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오교 구산와 도헌 · 더보기 »

동리산문

동리산문(桐裡山門) 또는 동리산파(桐裡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동리산문 · 더보기 »

명랑

명랑(明朗: fl. 668)은 7세기 경 신라의 승려로 자(字)는 국육(國育)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명랑 · 더보기 »

무염

무염(無染, 800년~888년 12월 23일(음력 11월 17일))은 신라 후기의 승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무염 · 더보기 »

문경시

문경시(聞慶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서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문경시 · 더보기 »

미륵보살

미륵보살(彌勒菩薩,,, 음역(音譯) 미륵彌勒, 의역(意譯) 자씨(慈氏)은 현재는 보살이지만 다음 세상에 부처로 나타날 것이라고 불교에서 믿고 있는 미래의 부처이다. 의역에 '慈(사랑 자)'라는 한자가 들어가는 이유는 미륵의 어원이 되는 산스크리트어 maitrī'가 'loving-kindness'라고 하는 뜻이기 때문이다. 불교교리에 따르면, 용화수 아래에서 고타마 붓다가 제도하지 못한 모든 중생을 제도할 부처로 수기를 받았다. 미륵보살 신앙 또는 미륵 신앙은 미륵보살이 이 세상에 미륵불(彌勒佛)로 출현하여 세상을 구원한다는 신앙이다.

새로운!!: 오교 구산와 미륵보살 · 더보기 »

백제의 불교

백제의 불교는 침류왕(枕流王) 1년(384)에 인도의 승려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동진(東晋)에서 백제로 들어옴으로써 최초로 전래되었.

새로운!!: 오교 구산와 백제의 불교 · 더보기 »

개성특급시

성특급시(開城特級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개성특급시 · 더보기 »

강릉시

강릉시의 로고 강릉시(江陵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중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강릉시 · 더보기 »

가지산

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오교 구산와 가지산 · 더보기 »

가지산문

산문(迦智山門) 또는 가지산파(迦智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가지산문 · 더보기 »

겸익

익(謙益: fl. 526)은 백제의 이름난 승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겸익 · 더보기 »

경덕왕

경덕왕(景德王, 723년 ~ 765년, 재위: 742년 ~ 765년)은 신라의 제35대 왕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경덕왕 · 더보기 »

범일

범일(梵日, 810년~889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범일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법상종 · 더보기 »

법성종

법성종(法性宗)은 일체 만유(萬有)는 같은 법성을 가졌고 모두 성불할 수 있다는 교의를 가진 불교 종파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법성종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숙종

숙종(肅宗, 1054년 9월 2일 (음력 7월 28일) ~ 1105년 11월 10일 (음력 10월 2일)은 고려 제15대 국왕(재위: 1095년 ~ 1105년)이다. 초명은 희(熙), 휘는 옹(顒), 자는 천상(天常), 시호는 문혜강정명효대왕(文惠康正明孝大王). 문종과 인예왕후 이씨의 아들로 순종과 선종의 동복아우이다.

새로운!!: 오교 구산와 고려 숙종 · 더보기 »

고려의 불교

불화 미륵하생경변상도 이 문서는 고려 시대의 불교를 설명.

새로운!!: 오교 구산와 고려의 불교 · 더보기 »

고구려의 불교

의 불교는 소수림왕(小獸林王).2년(372)에 전진(前秦)왕 부견(符堅)이 사신(使臣)과 함께 순도(順道)를 보내 불상과 불경(佛經)을 전한 것이 그 시초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고구려의 불교 · 더보기 »

곡성군

곡성군(谷城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곡성군 · 더보기 »

보덕

보덕(普德: fl. 650)은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재위 642-668) 때의 승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보덕 · 더보기 »

보령

보령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오교 구산와 보령 · 더보기 »

보림사

보림사(寶林寺)는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가지산 계곡(봉덕리 45번지)에 위치한 고찰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보림사 · 더보기 »

계율종

율종(戒律宗)은 신라의 자장율사에 의해 643년 선덕여왕 12년에 창시된 불교 종파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계율종 · 더보기 »

봉림사

봉림사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봉림사 · 더보기 »

봉림산문

봉림산문(鳳林山門) 또는 봉림산파(鳳林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봉림산문 · 더보기 »

봉암사

봉암사 전경(2015년 5월 25일 촬영) 봉암사는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봉암사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불교 · 더보기 »

불성

불성(佛性)은 '부처의 본성', '깨달음 그 자체의 성질', 또는 '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불성 · 더보기 »

분황사

분황사(芬皇寺)는,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분황사 · 더보기 »

부석사

부석사(浮石寺)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왕명을 받아 세운 화엄종 사찰로서,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중턱에 있.사회 I·문화재 > 문 화 재 > 중요 문화재 > 경상북도 > 부석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부석사는 특히 의상이 화엄의 큰 가르침을 베풀던 곳으로, 의상을 하고, 그가 창시한 화엄종을 "부석종"이라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 1372년(공민왕 21)에 주지가 된 원응국사(圓應國師)에 의해 많은 건물들이 다시 세워졌.

새로운!!: 오교 구산와 부석사 · 더보기 »

금산사

산사(金山寺)는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금산사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오교 구산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교종

종(敎宗)이란 부처의 교설 및 그것을 문자로 나타낸 경전을 바탕으로 하는 종지(宗旨)를 뜻하며, 불어종(佛語宗)이라고도 하고, 부처의 일심(一心)을 전하는 불심종(佛心宗)으로서의 선종(禪宗)의 입장에서 불교를 판별(判別)하여 교선2종(敎禪二宗)으로 나눈 데에서 비롯.

새로운!!: 오교 구산와 교종 · 더보기 »

교상판석

상판석(敎相判釋)은 중국 불교에서 유래한 불교 용어로, 수천 권에 달하는 불교 경전은 고타마 붓다가 일생 동안 행한 설법의 집대성이라고 보고 불교 경전을 설법의 형식방법순서내용교리에 따라 분류 및 체계화하고 가치판단을 행하는 것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학연구의 발달 > 교상판석,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교상판석은 교상(敎相)교판(敎判) 또는 판교(判敎).

새로운!!: 오교 구산와 교상판석 · 더보기 »

구산

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오교 구산와 구산 · 더보기 »

구산문

선종 구산(禪宗九山Nine Mountain Monasteries)은 남북국 시대의 신라 때부터 시작되어 고려 태조 때 완성된 불교 선종(禪宗)의 구산문(九山門)을 가리.

새로운!!: 오교 구산와 구산문 · 더보기 »

구산팔해

9산 가운데 하나이다. 9산8해(九山八海)는 불교의 우주론에서 하나의 우주 즉 1개의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1수미세계(一須彌世界)에서, 금륜(金輪) 즉 대지(大地) 위에 존재하는, 수미산(須彌山)을 포함한 아홉 대산(大山)과 그 산들을 둘러싼 여덟 대해(大海)를 말. 즉, 중앙에 제1산인 수미산(須彌山)이 있고 그 다음에 수미산을 둘러싸고 있는 제1해인 수미해(須彌海)가 있으며, 다시, 수미해를 둘러싸고 있는 제2산인 지쌍산(持雙山)이 있고 그 다음에 지쌍산을 둘러싸고 있는 제2해인 지쌍해(持雙海)가 있. 이런 식으로 8산(八山)과 8해(八海)가 있으며 마지막에 제9산인 철위산(鐵圍山)이 있. 9산(九山) 중 4보(四寶)와 7보(七寶)로 이루어진 제1산인 수미산과 쇠로 이루어진 제9산인 철위산을 제외한 일곱 산은 모두 보석인 금(金)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7금산(七金山)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구산팔해 · 더보기 »

남북국 시대

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698년는 1784년에 유득공에 의해 창조된 북부의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의 건국 이후 남부의 한반도에 있는 신라와 공존하던 시대를 일컫는 역사 용어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남북국 시대 · 더보기 »

남원시

원시청 남원시(南原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남원시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당나라 · 더보기 »

자장

자장(慈藏, 590년~658년)은 신라의 스님이었고, 율사(律師)로 알려져 있. 출가하기 전에는 진골 출신의 귀족이었으며, 성은 김(金), 속명은 선종(善宗)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자장 · 더보기 »

장흥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장흥 · 더보기 »

흥왕사

흥왕사(興王寺)는 고려 때 개경 근처에 있던 사찰로서 오늘날 존재하지 않.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귀족사회와 무인정권 > 귀족문화 > 흥왕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고려의 대표적 사찰들 중 하나로서 정치적인 집합소로 이용.

새로운!!: 오교 구산와 흥왕사 · 더보기 »

희양산문

희양산문(曦陽山門) 또는 희양산파(曦陽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희양산문 · 더보기 »

이엄

이엄(李嚴, ? ~ 234년)은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장수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이엄 · 더보기 »

의천

상화 의천(義天: 1055년 10월 30일(음력 9월 28일) ~ 1101년 10월 28일(음력 10월 5일))은 고려시대의 왕족 출신 승려, 작가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의천 · 더보기 »

의상 (신라)

의상(義湘, 625년 ~ 702년)은 고대 통일신라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고승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의상 (신라) · 더보기 »

점찰법회

점찰법회(占察法會)는 《점찰선악업보경(占察善惡業報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참회 중심의 법회로, 신라 시대에 원광법사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진표에 의해 융성하게 된 법회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점찰법회 · 더보기 »

절중

절중(折中, 826 ~ 900)은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절중 · 더보기 »

조계종

조계종(曹溪宗)은 한국 불교의 한 종파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조계종 · 더보기 »

진언종

언종(眞言宗)은 불교의 종파로, 신라의 승려인 혜통(惠通: fl. 7세기)을 종조로 하는 해동 진언종과 일본의 승려인 구카이(홍법 대사)에 의해서 9세기 초에 열린 일본의 진언종이 있.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혜통,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역사 > 삼국시대의 불교 > 밀교의 전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일본의 사상 > 불교사상 > 진언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신라의 승려인 명랑(明朗: fl. 668)은 진언종의 별파인 해동 신인종(神印宗)의 종조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진언종 · 더보기 »

진표

(眞表: fl. 752)는 신라 중기의 고승(高僧)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진표 · 더보기 »

지리산

리산(智異山)은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함양군, 산청군, 하동군과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남도 구례군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지리산 · 더보기 »

지눌

(知訥, 1158년~1210년 4월 22일(음력 3월 27일))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지눌 · 더보기 »

지엄

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오교 구산와 지엄 · 더보기 »

창원시

창원시청사 창원시(昌原市)는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남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창원시 · 더보기 »

체징

징(體澄, 804년~880년 5월 25일(음력 4월 13일))은 신라 후기의 선승(禪僧)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체징 · 더보기 »

천태종

종(天台宗TiantaiTendaiLotus School)은 《법화경》(法華經Lotus Sūtra)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천태종 · 더보기 »

유가사지론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K.0570, T.1579)은 불교 전통에 따르면 미륵보살이 강설한 것을 무착이 기록하여 성립된 논서로, 유식유가행파의 근본 논서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유식설

유식설(唯識說)은 인간의 현실존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법은 실유(實有)가 아니고, 그 실상(實相)은 공(空)이라고 본. 하지만, 무차별하고 한결같은 공의 차원에 의거하여 다양하지만 일정하게 질서있는 현실의 모든 차별상이 나타난다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

새로운!!: 오교 구산와 유식설 · 더보기 »

수미산문

수미산문(須彌山門) 또는 수미산파(須彌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수미산문 · 더보기 »

영주시

영주시(榮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영주시 · 더보기 »

영월군

영월군(寧越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영월군 · 더보기 »

오교 구산

오교 구산(五敎九山)은 신라 중기에 성립된 교종의 5교와 신라 말기와 고려 초에 성립된 선종의 9산을 통칭하여 부르는 낱말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오교 구산 · 더보기 »

오교 양종

오교 양종(五敎兩宗)은 고려(918-1392) 중기에서 조선(1392-1897) 초기에 걸친 중세와 근세 초기 한국의 불교 교파를 총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오교 양종 · 더보기 »

오교십종

오교십종(五敎十宗)은 불교를 5교(五敎: 다섯 가르침)와 10종(十宗: 열 가지 종파 또는 종지)으로 분류하고 판석한 화엄종(華嚴宗)의 교판(敎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오교십종 · 더보기 »

옷 옷 또는 의복(衣服), 의상(衣裳)은 사람이 몸 위에 입는, 천이나 가죽 등으로 된 물건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옷 · 더보기 »

혜능

혜능(慧能: 638~713)은 당나라(618~907) 시대의 선승이며 선종(禪宗)의 제6조이자 남종선(南宗禪)의 시조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혜능 · 더보기 »

혜철

혜철(惠哲: 785년~861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혜철 · 더보기 »

현욱

현욱(玄昱, 788 ~ 869)은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현욱 · 더보기 »

열반종

열반종(涅槃宗)은 대승 불교 경전인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을 강구하는 불교 학파 또는 종파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열반종 · 더보기 »

사자산문

사자산문(獅子山門) 또는 사자산파(獅子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사자산문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선 (불교) · 더보기 »

선덕왕

선덕왕(宣德王, ? ~ 785년, 재위: 780년 ~ 785년)은 신라의 제37대 왕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선덕왕 · 더보기 »

선법

선법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오교 구산와 선법 · 더보기 »

설악산

설악산(雪嶽山)은 강원도 강릉시,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고성군에 걸쳐 있는 해발고도 1,708미터의 산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설악산 · 더보기 »

성주사

성주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오교 구산와 성주사 · 더보기 »

성주산문

성주산문(聖住山門) 또는 성주산파(聖住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성주산문 · 더보기 »

송나라

송(宋, 960년 ~ 1279년)은 중국의 옛 왕조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송나라 · 더보기 »

해주시

주시(海州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황해남도청 소재지 그리고 황해남도의 유일한 시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해주시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오교 구산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오교 구산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불교

신라의 불교에 대한 전래 기록으로는, 제13대 미추왕(味鄒王) 2년(263)에 고구려의 승려아도(阿道)가 와서 불교를 전했다는 설, 19대 눌지왕(訥祗王: 재위 417∼458)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모례(毛禮)의 집에 머물러 불교를 선양했다는 설, 21대 소지왕(炤知王: 재위 479∼500) 때 승려 아도(我道)가 시자(侍者) 3인과 같이 모례(毛禮)의 집에 있다가 아도는 먼저 가고 시자들은 포교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어느 것이 맞는지 알 수 없. 이와 같이 불교의 전래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민승(民僧)이 들어와 공식외교를 통하지 않고 포교를 한 것이 고구려와 백제의 불교 와의 차이점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신라의 불교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오교 구산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신수

신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오교 구산와 신수 · 더보기 »

신행

신행(信行: 540~594)은 수나라(隋: 581~618) 때 말법사상에 입각한 새로운 불교 종파인 삼계교(三階敎)를 창종한 중국의 승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신행 · 더보기 »

실상사

실상사(實相寺)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실상사 · 더보기 »

실상산문

실상산문(實相山門) 또는 실상산파(實相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실상산문 · 더보기 »

심희

심희(審希, 856년 1월 21일(음력 855년 12월 10일)~ 923년 5월 12일(음력 4월 24일))는 신라 말기의 승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심희 · 더보기 »

원효

원효(元曉, 617년 ~ 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는 삼국시대와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가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원효 · 더보기 »

홍척

홍척(洪陟, ? ~ ?)은 신라 말기의 승려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홍척 · 더보기 »

화엄종

화엄종(華嚴宗)은 《화엄경(華嚴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화엄종 · 더보기 »

7세기

7세기는 601년부터 700년까지이.

새로운!!: 오교 구산와 7세기 · 더보기 »

8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오교 구산와 821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5교, 5교 9산, 5교9산, 5교종, 오교, 오교구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