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부사

색인 부사

부사.

86 처지: ADV, 끝말잇기, 동명사, 동사 (품사), 레알 (신조어), 로지반 문법,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파생법, 모용토욕혼, 민경혁, 민치구, 박진 (1560년), 박지원 (1737년), 박필균, 베트남어, 버마어, 고려 고종, 곽재우, 곽월, 부여궁, 기초 영어, 김담, 김효원, 김옥균, 김온순 (1812년), 대명사, 희빈 장씨, 이동 (왕족), 이경록 (1543년), 이봉의, 이기축, 이두황, 이재선, 이전 (1517년), 이윤용 (1854년), 이윤영 (1714년), 이탈리아어, 이순신 (1553년), 이수광, 이수형 (1435년), 이숙번, 이언적, 이서우 (1633년), 일본어 문법, 일본어 표기 체계, 은언군, 정창손, 정철, 지여해, 유길준, 윤계 (1583년), ..., 윤변 (인물), 윤임, 윤은필, 윤취동, 윤취지, 윤영렬, 윤호 (1424년), 윤세겸, 윤웅렬, 타밀어, 영문법, 영창대군, 영어, 오뚝이, 오응정, 형용동사, 형용사, 형태소, 최효원, 에스페란토 문법, 허목, 허정숙,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 삼척 죽서루, 성이성, 서일보, 서유녕, 한명회, 한극함, 한국어 문법, 한국어의 한자어, 아르카이캄 에스페란톰, 시제, 원균, 황희, ب.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6 더) »

ADV

ADV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부사와 ADV · 더보기 »

끝말잇기

임의 예 끝말잇기란 말놀이 중 하나이.

새로운!!: 부사와 끝말잇기 · 더보기 »

동명사

동명사는 언어학에서의 준동사의 일종으로, 인구어로 동사가 명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사용되게 되는 것. 그 때문에, 글 안에서 주어나 목적어가 될 수 있. 동사로서의 기능도 그대로 가지고 있고, 목적어, 보어, 부사구를 수반할 수 있어 명사구를 형성.

새로운!!: 부사와 동명사 · 더보기 »

동사 (품사)

동사(動詞, Verb) 또는 움직이는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품사이.

새로운!!: 부사와 동사 (품사) · 더보기 »

레알 (신조어)

알은 2009년 후반즈음, 대한민국의 네티즌들에게서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말이.

새로운!!: 부사와 레알 (신조어) · 더보기 »

로지반 문법

반은 술어논리를 토대로 한 인공어이.

새로운!!: 부사와 로지반 문법 · 더보기 »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파생법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파생법(말레이인도네시아語派生法) 간칭 마인어파생법(馬印語派生法)은 말레이인도네시아어에서 어근에 접사를 붙여 파생어를 만드는 방법이.

새로운!!: 부사와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파생법 · 더보기 »

모용토욕혼

모용토욕혼(慕容吐谷渾, 246년 ~ 317년, 재위: 283년 ~ 317년)은 모용섭귀의 장남으로, 모용외의 형이.

새로운!!: 부사와 모용토욕혼 · 더보기 »

민경혁

민경혁(閔景爀, 1746년 ~ 181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부사와 민경혁 · 더보기 »

민치구

민치구(閔致久, 1795년~1874년 12월 14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흥선대원군의 장인이며 여흥부대부인의 친정아버지이고, 고종, 이재면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부사와 민치구 · 더보기 »

박진 (1560년)

박진(朴晉, 1560년 8월 25일 ~ 1597년 3월)은 무신, 군인으로, 여러 전투에 참가해 공을 세워 벼슬을.

새로운!!: 부사와 박진 (1560년) · 더보기 »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새로운!!: 부사와 박지원 (1737년) · 더보기 »

박필균

박필균(朴弼均, 1685년 1월 1일 ∼ 1760년 8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여 노론의 맹작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부사와 박필균 · 더보기 »

베트남어

베트남어(tiếng Việt)는 베트남의 총 인구 중 약 87%를 차지하는 킨족의 모국어이자 베트남의 공용어이.

새로운!!: 부사와 베트남어 · 더보기 »

버마어

버마어(မြန်မာဘာသာ, IPA)는 미얀마의 공용어이.

새로운!!: 부사와 버마어 · 더보기 »

고려 고종

종(高宗, 1192년 2월 3일 (음력 1월 18일) ~ 1259년 7월 21일 (음력 6월 30일)은 고려 제23대 국왕(재위: 1213년 ~ 1259년)이다. 휘는 철(皞), 자는 천우(天祐), 묘호는 고종(高宗),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헌왕(忠憲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안효대왕(安孝大王)이다. 강종과 원덕태후(元德太后) 문화 류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妃)는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 류씨(柳氏)이다.

새로운!!: 부사와 고려 고종 · 더보기 »

곽재우

곽재우(郭再祐, 1552년 9월 16일(음력 8월 28일) ~ 1617년 5월 14일(음력 4월 10일))는 조선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으로 임진왜란에서 크게 활약한 의병장이.

새로운!!: 부사와 곽재우 · 더보기 »

곽월

곽월(郭越, 1518년 ~ 1586년 8월 6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부사와 곽월 · 더보기 »

부여궁

부여궁(扶餘躬, ? ~ ?)은 사료를 달리 해석하여 발생한 가공의 사람이.

새로운!!: 부사와 부여궁 · 더보기 »

기초 영어

영어(基礎英語) 또는 베이식 잉글리시()는 영국의 언어학자 찰스 케이 오그던이 국제보조어로 활용과 제2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을 목적으로 고안한, 영어를 기반으로 하는 제한자연어이.

새로운!!: 부사와 기초 영어 · 더보기 »

김담

(金淡, 1416년 ~ 1464년 7월 10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 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부사와 김담 · 더보기 »

김효원

저서 성암집의 일부 김효원(金孝元, 1542년 ~ 1590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문신이.

새로운!!: 부사와 김효원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부사와 김옥균 · 더보기 »

김온순 (1812년)

온순(金蘊淳, 1812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부사와 김온순 (1812년) · 더보기 »

대명사

명사(代名詞, pronoun)는 품사 중의 하나로 명사나 수사 등의 체언을 대신해서 쓰이는 품사이.

새로운!!: 부사와 대명사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부사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이동 (왕족)

원군 이동(咸原君 李銅, ? - ?)은 조선 전기의 왕족으로, 세종대왕 여섯째 아들 금성대군의 서자였.

새로운!!: 부사와 이동 (왕족) · 더보기 »

이경록 (1543년)

이경록(李慶祿, 1543년 ~ 1599년)은 조선의 왕족 출신 무신이자 군인이.

새로운!!: 부사와 이경록 (1543년) · 더보기 »

이봉의

이봉의(李鳳儀, 1839년 양력 3월 28일(음력 2월 14일) ~ 1919년 양력 3월 13일)는 조선말기의 무신, 관료이자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초명은 지겸(志謙), 자는 선익(善翼), 호는 송부(松阜)이.

새로운!!: 부사와 이봉의 · 더보기 »

이기축

이기축(李起築, 1589년 10월 7일 ~ 1645년 6월 6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이.

새로운!!: 부사와 이기축 · 더보기 »

이두황

이두황(李斗璜, 1858년 1월 11일 ~ 1916년 3월 9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화가, 서예가이고, 을미사변 관련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 화가, 작가이.

새로운!!: 부사와 이두황 · 더보기 »

이재선

완은군 이재선(完恩君 李載先, 1842년/1841년 8월 1일 ~ 1881년 10월 2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서자이자, 흥친왕 이재면과 고종의 서형이.

새로운!!: 부사와 이재선 · 더보기 »

이전 (1517년)

이전(李戩, 1517년 1월 21일 ~ ?)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으로 조선 중종, 명종, 선조 때의 장군이.

새로운!!: 부사와 이전 (1517년) · 더보기 »

이윤용 (1854년)

이윤용(李允用, 1854년 ~ 1939년 9월 8일)은 대한제국 및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한일 병합 과정에서 일본에 협력.

새로운!!: 부사와 이윤용 (1854년) · 더보기 »

이윤영 (1714년)

이윤영(李胤永, 1714년 ∼ 175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시인·문인·서화가이.

새로운!!: 부사와 이윤영 (1714년) · 더보기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주로 이탈리아에서 약 6천만 명 정도의 인구가 사용하는 로망스어군의 언어이.

새로운!!: 부사와 이탈리아어 · 더보기 »

이순신 (1553년)

이순신(李純信, 1553년 12월 27일 ~ 1611년 9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무장, 유학자이.

새로운!!: 부사와 이순신 (1553년) · 더보기 »

이수광

이수광(李睟光, 1563년 3월 14일(음력 2월 20일)~ 1629년 1월 19일(음력 1628년 12월 26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문신이자 성리학자, 실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부사와 이수광 · 더보기 »

이수형 (1435년)

이수형(李秀亨, 1435년 ~ 1528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새로운!!: 부사와 이수형 (1435년) · 더보기 »

이숙번

이숙번(李叔蕃, 1373년 ~ 1440년)은 고려 말기의 생원이고 조선 초기의 문관, 무관, 정치가이며 조선 태종 이방원의 측근이었.

새로운!!: 부사와 이숙번 · 더보기 »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부사와 이언적 · 더보기 »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새로운!!: 부사와 이서우 (1633년) · 더보기 »

일본어 문법

일본어의 문법은 일본어를 사용하는데 쓰이는 문법이.

새로운!!: 부사와 일본어 문법 · 더보기 »

일본어 표기 체계

현대 일본어의 표기 체계는 두 종류의 문자, 즉 표어문자인 한자(칸지)와 표음문자인 가나 문자를 조합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가나는 음절문자의 일종으로, 히라가나 및 가타카나로 구성되어 있다. 히라가나는 한자어가 아닌 일본 고유의 말(야마토코토바)이나 외래어가 고유의 말로 정착된 어휘, 또는 문법적인 구성요소를 표기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가타카나는 외국어 표현 및 명칭, 외래어(가이라이고), 의성어, 과학 용어, 여기에 강조를 표기하는데 사용된다. 일본어로 작성된 거의 모든 문장은 가나와 한자가 혼용되어 표기된다. 이 조합으로 인해, 또한 사용되는 한자의 양이 많은 관계로, 일본어의 표기 체계는 세계에서 사용되는 문자 체계 중 가장 복합한 체계로 언급되곤 한다.

새로운!!: 부사와 일본어 표기 체계 · 더보기 »

은언군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䄄, 1754년 5월 29일 ~ 1801년 6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영조의 손자이자 장조의 서장자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이.

새로운!!: 부사와 은언군 · 더보기 »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새로운!!: 부사와 정창손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새로운!!: 부사와 정철 · 더보기 »

지여해

여해(池汝海, 1591년 7월 12일 ~ 1636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부사와 지여해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부사와 유길준 · 더보기 »

윤계 (1583년)

윤계(尹棨, 1583년 ~ 1636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의병장이.

새로운!!: 부사와 윤계 (1583년) · 더보기 »

윤변 (인물)

윤변(尹忭, 1493년 - 1549년 7월 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부사와 윤변 (인물) · 더보기 »

윤임

윤임(尹任, 1487년 ~ 1545년 8월 30일)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인척.

새로운!!: 부사와 윤임 · 더보기 »

윤은필

윤은필(尹殷弼)은 조선의 문신으로 기묘 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이.

새로운!!: 부사와 윤은필 · 더보기 »

윤취동

윤취동(尹取東, 1798년 7월 18일 ~ 1863년 12월 2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효자, 문신으로 윤두수의 7대손이며 증조는 돈령부사 윤세겸(尹世謙)이고 조부는 낭청을 지내고 증 호조참의와 증 비서원승에 추증된 윤발(尹潑)이.

새로운!!: 부사와 윤취동 · 더보기 »

윤취지

윤취지(尹就之, 1583년 음력 윤 2월 24일 - 1644년 2월 18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부사와 윤취지 · 더보기 »

윤영렬

윤영렬(尹英烈, 1854년 4월 15일 ~ 1939년 11월 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부사와 윤영렬 · 더보기 »

윤호 (1424년)

윤호 묘비명 윤호(尹壕, 1424년 ~ 1496년 4월 9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성종의 장인이며 중종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부사와 윤호 (1424년) · 더보기 »

윤세겸

윤세겸(尹世謙, 1668년 6월 18일 - 1749년 9월 2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부사와 윤세겸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부사와 윤웅렬 · 더보기 »

타밀어

밀어(தமி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가장 오랫동안 살아남은 고전 언어 중 하나이며 현대에도 활발히 쓰이는 언어이.

새로운!!: 부사와 타밀어 · 더보기 »

영문법

영문법(英文法)은 영어를 구사하는데 사용되는 문법이.

새로운!!: 부사와 영문법 · 더보기 »

영창대군

영창대군(永昌大君, 1606년 4월 12일/음력 3월 6일 ~ 1614년 3월 19일/음력 2월 10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로, 조선 제14대 왕 선조와 그의 계비 인목왕후의 아들이.

새로운!!: 부사와 영창대군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부사와 영어 · 더보기 »

오뚝이

무로 만든 오뚝이 장난감 오뚝이는 아래쪽을 둥글고 무겁게 만들어,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만든 아이들 장난감을 말. 넘어져도 오뚝하게 계속해서 일어난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

새로운!!: 부사와 오뚝이 · 더보기 »

오응정

오응정(吳應鼎, 1548년 ~ 1597년 8월)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부사와 오응정 · 더보기 »

형용동사

형용동사 (形容動詞)는 이른바 학교 문법 등에서 이용되는 일본어의 품사 중 하나이.

새로운!!: 부사와 형용동사 · 더보기 »

형용사

형용사(形容詞, Adjective) 또는 그림씨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이.

새로운!!: 부사와 형용사 · 더보기 »

형태소

형태소(形態素)는 언어학에서 (일반적인 정의를 따르면) 일정한 의미가 있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로 발화체 내에서 따로 떼어낼 수 있는 것을 말. 즉, 더 분석하면 뜻이 없어지는 말의 단위이.

새로운!!: 부사와 형태소 · 더보기 »

최효원

효원(崔孝元, 1638년 2월 23일 ~ 1672년 8월 15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무신으로 숙빈 최씨의 친정아버지이자 영조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부사와 최효원 · 더보기 »

에스페란토 문법

에스페란토는 문법적 성(性)이 없고, 규칙적으로 동사가 변화하는 교착어이.

새로운!!: 부사와 에스페란토 문법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부사와 허목 · 더보기 »

허정숙

정숙(許貞淑, 1902년 7월 16일 ~ 1991년 6월 5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여성운동가, 사회주의자이.

새로운!!: 부사와 허정숙 · 더보기 »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

Edustudio) 출판사 판의 푼다멘토의 표지.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에스페란토의 기초)는 에스페란토를 공식적으로 정의하는 문서.

새로운!!: 부사와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 · 더보기 »

삼척 죽서루

삼척 죽서루(三陟 竹西樓)는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한 누각으로 보물 213호로 지정되었으며, 관동팔경 중의 하나이.

새로운!!: 부사와 삼척 죽서루 · 더보기 »

성이성

성이성(成以性, 1595년(선조 28년) ∼ 1664년(현종 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청백리이.

새로운!!: 부사와 성이성 · 더보기 »

서일보

서일보(徐日輔, 1734년 5월 4일 - 1804년 1월 3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부사와 서일보 · 더보기 »

서유녕

서유녕(徐有寧, 1733년 8월 3일 - 1789년 5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부사와 서유녕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부사와 한명회 · 더보기 »

한극함

극함(韓克諴, 생년 미상 ~ 1593년)은 조선 중기의 관리이.

새로운!!: 부사와 한극함 · 더보기 »

한국어 문법

국어 문법은 한국어의 형과 의미론을 서술.

새로운!!: 부사와 한국어 문법 · 더보기 »

한국어의 한자어

자어(漢字語)는 한국어 어휘 부류 중 하나로, 한국 한자음으로 발음되는 한자 계열 단어를 말.

새로운!!: 부사와 한국어의 한자어 · 더보기 »

아르카이캄 에스페란톰

아르카이캄 에스페란톰(Arcaicam Esperantom ← Arĥaika Esperanto, 또는 고(古) 에스페란토)은 마누얼 할벨릭(Manuel Halvelik; 본명:카미얼 판휠러 Kamiel Vanhulle)이 만든 인공어로 마치 에스페란토의 고어처럼 보이도록 만든 에스페란토 파생 언어이.

새로운!!: 부사와 아르카이캄 에스페란톰 · 더보기 »

시제

시제는 말 속에서 규정되는 언어학적인 시간을 나타내는 문법 범주이.

새로운!!: 부사와 시제 · 더보기 »

원균

원균(元均, 1540년 2월 12일 (음력 1월 5일) ~ 1597년 8월 27일 (음력 7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장수들 중의 한사람이.

새로운!!: 부사와 원균 · 더보기 »

황희

황희(黃喜, 1363년 3월 8일 (음력 2월 22일) ~ 1452년 2월 28일 (음력 2월 8일))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 재상이.

새로운!!: 부사와 황희 · 더보기 »

ب

(바)는 아랍 문자의 두 번째 글자로, 음가는 유성 양순 파열음 이. 페니키아 문자Beth에서 변화된 문자로 히브리 문자, 그리스 문자 Β, 로마자 B, 키릴 문자 Б에 대응하는 문자이.

새로운!!: 부사와 ب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