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최만리

색인 최만리

만리(崔萬理, ? ~ 1445년 10월 23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자 철학자, 법학자이.

93 처지: 덕수 이씨, 문하시중, 문화방송, 박정희, 박팽년, 강원도, 경기도, 고려, 관찰사, 권태원, 불교, 부제학, 김문 (조선),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 대제학, 대한제국, 대왕 세종, 드라마, 장영실 (드라마), 임진왜란, 퐁당퐁당 Love, 이기 (1476년), 이대연, 이이, 이조, 이숭녕, 이성민 (배우), 일본, 정인지, 정창손, 조선, 조선 세종, 중화 양씨, 집현전, 지용수, 참판, 충주 지씨, 추증, 유교, 윤회 (조선), 생원, 영의정, 예빈시, 최경회, 최경창, 최규서, 최자 (고려), 최충, 최연, 최항, ..., 사육신, 성리학, 성삼문, 서울특별시, 해주 최씨, 한글, 한국방송공사, 안성시, 안신우, 하위지, 신도비, 신숙주, 신사임당, 훈민정음, 홍문관, 왕세자, SBS, 10월 23일, 12월, 1419년, 1427년, 1429년, 1437년, 1438년, 1439년, 1440년, 1443년, 1444년, 1445년, 1466년, 1505년, 1960년, 1962년, 1990년, 2008년, 2011년, 2015년, 2016년, 2월, 3월 25일, 3월 27일, 6월, 7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3 더) »

덕수 이씨

덕수 이씨(德水 李氏)는 황해북도 개풍군 덕수리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만리와 덕수 이씨 · 더보기 »

문하시중

문하시중(門下侍中)은 고려시대의 중서문하성의 최고 관리로 품계는 종1품이.

새로운!!: 최만리와 문하시중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새로운!!: 최만리와 문화방송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새로운!!: 최만리와 박정희 · 더보기 »

박팽년

박팽년(朴彭年, 1417년 ~ 145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겸 학자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최만리와 박팽년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최만리와 강원도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최만리와 경기도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최만리와 고려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최만리와 관찰사 · 더보기 »

권태원

원(權泰元, 1961년 3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최만리와 권태원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최만리와 불교 · 더보기 »

부제학

부제학(副提學)은 조선시대 정3품 당상관직이.

새로운!!: 최만리와 부제학 · 더보기 »

김문 (조선)

문(金汶, ? ~ 1448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최만리와 김문 (조선) · 더보기 »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는 2011년 10월 5일부터 2011년 12월 22일까지 SBS에서 방송된 24부작 대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최만리와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 · 더보기 »

대제학

제학(大提學)은 고려와 조선의 관직이.

새로운!!: 최만리와 대제학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최만리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왕 세종

《대왕 세종》(大王世宗)은 한국방송공사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최만리와 대왕 세종 · 더보기 »

드라마

마(Drama)는 작가의 개입이 없이 등장인물들의 대화 형식(행동 포함)으로 이루어진 예술 작품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최만리와 드라마 · 더보기 »

장영실 (드라마)

《장영실》은 KBS 1TV에서 2016년 1월 2일부터 2016년 3월 26일까지 방송된 한국방송공사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최만리와 장영실 (드라마)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최만리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퐁당퐁당 Love

《퐁당퐁당 Love》는 2015년 12월 13일부터 2015년 12월 20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창사 54주년 특집 드라마이.

새로운!!: 최만리와 퐁당퐁당 Love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최만리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대연

이대연(李大淵, 1964년 11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최만리와 이대연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최만리와 이이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최만리와 이조 · 더보기 »

이숭녕

이숭녕(李崇寧, 1908년 7월 5일 ~ 1994년 2월 2일)은 대한민국의 국어학자이.

새로운!!: 최만리와 이숭녕 · 더보기 »

이성민 (배우)

이성민(1968년 12월 4일 (음력 10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최만리와 이성민 (배우)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최만리와 일본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최만리와 정인지 · 더보기 »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새로운!!: 최만리와 정창손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최만리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최만리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중화 양씨

중화 양씨(中和 楊氏)는 평안남도 중화군을 본관으로 삼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만리와 중화 양씨 · 더보기 »

집현전

집현전(集賢殿)은 정이품아문으로, 고려 말 조선 초의 학문 연구 및 국왕의 자문 기관이자, 왕실 연구기관이.

새로운!!: 최만리와 집현전 · 더보기 »

지용수

용수(池龍壽, 1313년? ~ ?)는 고려 말기의 무신, 정치인이.

새로운!!: 최만리와 지용수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최만리와 참판 · 더보기 »

충주 지씨

충주 지씨(忠州 池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만리와 충주 지씨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최만리와 추증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최만리와 유교 · 더보기 »

윤회 (조선)

윤회(尹淮, 1380년 ∼ 1436년 3월 12일)는 고려말, 조선 전기의 유학자이자,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 철학자이.

새로운!!: 최만리와 윤회 (조선) · 더보기 »

생원

생원(生員).

새로운!!: 최만리와 생원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최만리와 영의정 · 더보기 »

예빈시

예빈시(禮賓寺)는 고려, 조선 시대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최만리와 예빈시 · 더보기 »

최경회

경회(崔慶會, 1532년 ~ 1593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이.

새로운!!: 최만리와 최경회 · 더보기 »

최경창

경창(崔慶昌, 1539년 ~ 1583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시인이.

새로운!!: 최만리와 최경창 · 더보기 »

최규서

서(崔奎瑞, 1650년 ~ 1735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최만리와 최규서 · 더보기 »

최자 (고려)

자(崔滋, 1188년 ~ 1260년)는 고려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 시인이.

새로운!!: 최만리와 최자 (고려) · 더보기 »

최충

충(崔沖, 984년 ~ 1068년 10월 13일(음력 9월 15일))은 고려 전기의 문신(文臣)이자 유학자이.

새로운!!: 최만리와 최충 · 더보기 »

최연

연은 다음과 같은 인물이 있.

새로운!!: 최만리와 최연 · 더보기 »

최항

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최만리와 최항 · 더보기 »

사육신

량진공원 의절사 사육신(死六臣)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최만리와 사육신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최만리와 성리학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최만리와 성삼문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최만리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해주 최씨

주 최씨(海州 崔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만리와 해주 최씨 · 더보기 »

한글

은 조선 제 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한 문자로,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

새로운!!: 최만리와 한글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최만리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안성시

안성시(安城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최남단에 있는 시이.

새로운!!: 최만리와 안성시 · 더보기 »

안신우

안신우(본명: 안성민, 1969년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최만리와 안신우 · 더보기 »

하위지

위지(河緯地, 1412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이며 조선 단종 때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최만리와 하위지 · 더보기 »

신도비

신도비(神道碑)는 사자(死者)의 묘로(墓路), 즉 신령의 길(신도:神道)인 무덤 남동쪽에 남쪽을 향하여 묘 앞에 사람의 삶을 기록하여 세운 비를 말.

새로운!!: 최만리와 신도비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최만리와 신숙주 · 더보기 »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 12월 5일(음력 10월 29일) ~ 1551년 6월 20일(음력 5월 17일)) 또는 신사임(申師任),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는 조선 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이었.

새로운!!: 최만리와 신사임당 · 더보기 »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새로운!!: 최만리와 훈민정음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최만리와 홍문관 · 더보기 »

왕세자

왕세자(王世子)는 왕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왕자를 일컫는 말이며, 부인은 왕세자빈(王世子嬪)이라 부른.

새로운!!: 최만리와 왕세자 · 더보기 »

SBS

SBS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방송.

새로운!!: 최만리와 SBS · 더보기 »

10월 23일

10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6번째(윤년일 경우 2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최만리와 10월 23일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최만리와 12월 · 더보기 »

14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만리와 1419년 · 더보기 »

14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만리와 1427년 · 더보기 »

142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만리와 1429년 · 더보기 »

14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만리와 1437년 · 더보기 »

143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만리와 1438년 · 더보기 »

143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만리와 1439년 · 더보기 »

14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만리와 1440년 · 더보기 »

14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만리와 1443년 · 더보기 »

144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만리와 1444년 · 더보기 »

14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만리와 1445년 · 더보기 »

14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만리와 1466년 · 더보기 »

15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만리와 1505년 · 더보기 »

1960년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최만리와 1960년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최만리와 1962년 · 더보기 »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의 다섯 주가 서독으로 편입되면서 41년간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되었다.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최만리와 1990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최만리와 2008년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최만리와 2011년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최만리와 2015년 · 더보기 »

2016년

20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최만리와 2016년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최만리와 2월 · 더보기 »

3월 25일

3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4번째(윤년일 경우 8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최만리와 3월 25일 · 더보기 »

3월 27일

3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6번째(윤년일 경우 8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최만리와 3월 27일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최만리와 6월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최만리와 7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강호산인 최만리, 공혜공, 공혜공 최만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