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강위

색인 강위

강위(姜瑋, 1820년 5월 2일 ~ 1884년 4월 5일)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 개화 사상가, 시인이자 금석학자.

191 처지: 러시아, 동지사, 맹자, 미국, 민영익, 갑오개혁, 갑신정변, 박문국, 박규수, 박제가, 박정양, 박지원 (1737년), 박영교, 박영효, 강화도, 강화도 조약, 가나, 가평군, 가타카나, 베이징 시, 경력, 경기도, 경상도, 고증학, 본관, 과거, 과거제, 과천시, 공자, 공주, 병인양요, 병역, 병서, 변위, 변수, 변수 (1861년), 광교, 광주군, 봉황, 북청군, 권돈인, 권동진, 부산광역시, 기묘사화, 금석문, 금석학, 김병연, 김정희, 김정호, 김윤식, ..., 김택영, 김옥균, 김홍집, 김홍집 (1842년), 대구광역시, 대정현,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군수, 나가사키 시, 우정, 운요호 사건, 임오군란, 흥선대원군, 이동녕, 이동인, 이건창, 이규완, 이노우에 가쿠고로, 이조, 이언, 인목왕후, 인현왕후, 일본, 일본어, 의정부, 제주도, 전라, 정만조, 정병하, 정난교, 정음, 정제두, 정원용, 조사 시찰단, 조선, 조선 정조, 조선책략, 중국, 중국어, 중원구, 진주 강씨, 청계, 청계천, 청나라, 충청도, 측량, 판서, 유럽, 유길준, 유혁로, 유홍기 (1831년), 윤경순, 윤경완, 윤치호, 윤영렬, 윤웅렬, 위정척사, 위항, 상하이 시, 수신사, 영장, 영의정, 영어, 오경석, 오세창, 최한기, 어윤중, 양명학, 삼정이정청, 프랑스어, 선 (불교), 선공감, 성리학, 성남시, 서광범, 서울특별시, 서재창, 서재필, 토지, 토지대장, 소식 (북송), 톈진 시, 함경남도, 한글, 한글전용과 국한문혼용, 한자, 한제국 건국사, 한성부, 한성주보, 한성순보, 안경수, 안국선, 하응선, 아메리카, 신문, 신복모, 신중모, 신헌, 실증주의, 실학, 훈민정음, 후쿠자와 유키치, 홍대용, 황준헌, 황현, 황성신문, 10월, 12월, 12월 22일, 1820년, 1834년, 1844년, 1848년, 1850년, 1851년, 1854년, 1856년, 1860년, 1862년, 1864년, 1866년, 1870년, 1873년, 1874년, 1875년, 1876년, 1880년, 1882년, 1883년, 1884년, 1894년, 1978년, 1월 12일, 3월, 4월 5일, 5월, 5월 2일, 6월, 7월,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41 더) »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강위와 러시아 · 더보기 »

동지사

동지사.

새로운!!: 강위와 동지사 · 더보기 »

맹자

맹자(기원전 372년?~기원전 289년?)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 발전시킨 유학자이.

새로운!!: 강위와 맹자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강위와 미국 · 더보기 »

민영익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

새로운!!: 강위와 민영익 · 더보기 »

갑오개혁

군국기무처 갑오개혁(甲午改革)은 1894년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7월 6일(음력 윤5월 14일)까지 조선 정부에서 전개한 제도 개혁을 말. 10년 전 갑신정변의 실패 후 망명했던 개화파들이 청일전쟁에 승리한 일본의 위세를 업고 돌아와 추진한 일본식 개혁으로서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불. 내각의 변화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과 제2차 갑오개혁으로 세분하며, 이후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으로 이어.

새로운!!: 강위와 갑오개혁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강위와 갑신정변 · 더보기 »

박문국

박문국(博文局)은 한국 최초의 근대식 인쇄소.

새로운!!: 강위와 박문국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강위와 박규수 · 더보기 »

박제가

박제가 박제가(朴齊家, 1750년 11월 5일 ~ 1815년 4월 25일)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 외교관, 통역관,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강위와 박제가 · 더보기 »

박정양

박정양, 1888년 박정양(朴定陽, 1842년 2월 4일(1841년 음력 12월 24일) ~ 1905년 12월 15일(음력 11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 내각총리대신, 대한제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강위와 박정양 · 더보기 »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새로운!!: 강위와 박지원 (1737년) · 더보기 »

박영교

박영교(朴泳敎, 1849년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 혁신파 정객으로 자는 자명(子明), 본관은 반남, 시호는 충목이다. 박원양의 아들이자, 박영효의 형이다. 관직은 통정대부 승정원도승지에 이르렀다. 박규수, 유대치의 문인이다. 일찍부터 먼 친척이자 개화사상가인 재동 박규수의 문하에 출입하며 수학했고 이어 유대치의 문하에도 출입했다. 이어 동생인 박영효 역시 박규수와 유대치의 문하에 출입하게 하여 수학케 했다. 1881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1884년 동생 박영효, 김옥균, 홍영식 등과 모의하여 갑신정변을 일으키는데 가담, 승정원도승지가 되었으나 3일만에 왕비 민씨의 청나라 군대 요청으로 거사가 좌절되자 북관동묘까지 고종을 끝까지 호위하다가 청나라 군사들에게 홍영식과 함께 살해당했다. 사후 규장각제학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강위와 박영교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강위와 박영효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강위와 강화도 · 더보기 »

강화도 조약

조일수호조규를 묘사한 그림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또는 강화도 조약(江華島條約)은 1876년 2월 27일(고종 13년 음력 2월 3일) 조선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

새로운!!: 강위와 강화도 조약 · 더보기 »

가나

공화국(Republic of Ghana)은 서아프리카에 있는 대통령중심제 공화국이.

새로운!!: 강위와 가나 · 더보기 »

가평군

평군(加平郡)은 대한민국 경기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강위와 가평군 · 더보기 »

가타카나

()는 일본어에서 사용하는 음절 문자 중 하나이.

새로운!!: 강위와 가타카나 · 더보기 »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강위와 베이징 시 · 더보기 »

경력

경력(經歷)은 직업상으로 평생 일생에 거쳐 해온 일이나 경험을 말. 커리어(career).

새로운!!: 강위와 경력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강위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강위와 경상도 · 더보기 »

고증학

증학(考證學)은 중국 명말 청초에 문헌학, 언어학을 중심으로 객관적·실증적 태도를 견지하며 발전한 유학의 한 분파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강위와 고증학 · 더보기 »

본관

본관(本貫)은 시조(始祖)의 관향, 곧 고향을 뜻하며, 본적(本籍), 본(本), 관향(貫鄕)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강위와 본관 · 더보기 »

과거

바실리 막시모프, "모든 것은 과거이다." 과거(過去)는 현재를 기준으로 그 전의 시간이.

새로운!!: 강위와 과거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강위와 과거제 · 더보기 »

과천시

시(果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강위와 과천시 · 더보기 »

공자

공자() 또는 공부자(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 시조(始祖)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사상가교육자이고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불교 > 원시유교 > 공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

새로운!!: 강위와 공자 · 더보기 »

공주

공주(公主, Princess)는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제왕(帝王)의 딸, 즉 왕녀에게 주어진 작위 내지 칭호.

새로운!!: 강위와 공주 · 더보기 »

병인양요

병인양요(丙寅洋擾)는 1866년(고종 3년)에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인 병인박해를 구실로 삼아 외교적 보호(diplomatic protection)를 명분으로 하여 프랑스가 일으킨 전쟁이.

새로운!!: 강위와 병인양요 · 더보기 »

병역

병역(兵役) 또는 군역(軍役)은 정부의 군대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복무하는 일을 가리.

새로운!!: 강위와 병역 · 더보기 »

병서

병서(竝書)는 ‘나란히 쓴다’는 뜻으로, 훈민정음에서 설명하는 한글 겹낱자의 조합 원리이.

새로운!!: 강위와 병서 · 더보기 »

변위

변위와 이동 거리 변위(Displacement)는 물리학에서 나중 위치의 값에서 처음 위치의 값을 뺀 물리량 즉, 한 점의 최종 위치와 처음 위치(예: 움직이는 물체의 질량 중심) 간의 차이이.

새로운!!: 강위와 변위 · 더보기 »

변수

변수(變數)는 수학에서 쓰이는 수식에 따라서 변하는 값을 뜻. (예: x + 1.

새로운!!: 강위와 변수 · 더보기 »

변수 (1861년)

1883년 9월 미국에 파견된 조선의 보빙사절단원, 앞줄 왼쪽부터 부사 홍영식, 정사 민영익, 종사관 서광범, 미국인 로웰, 뒷줄 왼쪽부터 무관 현흥택 최경석, 수행원 유길준, 고영철, 변수 변수(邉燧, Byun Soo, 1861년 ~ 1891년 10월 22일)는 조선 말의 개화파 관료, 정치가, 개화운동가이자 외교관이며 미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강위와 변수 (1861년) · 더보기 »

광교

광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강위와 광교 · 더보기 »

광주군

광주군은 한국에 존재했던 군이.

새로운!!: 강위와 광주군 · 더보기 »

봉황

봉황 봉황(鳳凰)은 동아시아의 신화 및 전설에 나오는 상상의 동물이.

새로운!!: 강위와 봉황 · 더보기 »

북청군

북청군(北靑郡)은 함경남도 동부에 있는군이.

새로운!!: 강위와 북청군 · 더보기 »

권돈인

인(權敦仁, 1783년 ~ 185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헌종과 철종 때 영의정을.

새로운!!: 강위와 권돈인 · 더보기 »

권동진

이승만 귀국환영식에 참석(맨 오른쪽 테이블에 선 이가 권동진) 권동진(權東鎭, 1861년 12월 15일 ~ 1947년 3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강위와 권동진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강위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기묘사화

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

새로운!!: 강위와 기묘사화 · 더보기 »

금석문

광개토왕릉비 금석문(金石文) 혹은 금석문자(金石文字)는 철이나 청동 등의 금속성 재료나 석재에 새겨진 글이.

새로운!!: 강위와 금석문 · 더보기 »

금석학

영국 박물관의 로제타석. 금석학(金石學, Epigraphy), 비문학(碑文學), 금석 문학은 금석문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강위와 금석학 · 더보기 »

김병연

병연(金炳淵, 1807년(순조 7년) ~ 1863년(철종 14년))은 조선 후기의 풍자 시인이자 방랑 시인이.

새로운!!: 강위와 김병연 · 더보기 »

김정희

정희가 그린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

새로운!!: 강위와 김정희 · 더보기 »

김정호

정호(金正浩, ? ~ 1864년)는 조선 후기 대표적 지리학자이며 지도 제작자이.

새로운!!: 강위와 김정호 · 더보기 »

김윤식

윤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강위와 김윤식 · 더보기 »

김택영

택영(金澤榮, 1850년∼1927년)은 대한제국기의 문신·학자·시인이.

새로운!!: 강위와 김택영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강위와 김옥균 · 더보기 »

김홍집

홍집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강위와 김홍집 · 더보기 »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 위정척사파 계열 인사들도 중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급진 개화파로 몰렸고,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진압 후 우의정, 좌의정 등으로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친러파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김홍집(金弘集)이었으나, 청 고종(高宗) 건륭황제의 휘가 ‘홍력’(弘歷)이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김굉집(金宏集)으로 가운데 자(字)를 바꾸었다. 조선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그의 사위였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의 문인이다.

새로운!!: 강위와 김홍집 (1842년)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강위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정현

정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강위와 대정현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강위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강위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군수

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강위와 군수 · 더보기 »

나가사키 시

사키 역 부근의 시가지 나가사키 시()는 일본 규슈 북서쪽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강위와 나가사키 시 · 더보기 »

우정

우정(友情)은 친구 사이에 나누는 정신적 유대감을 말할 때 쓰이는 용어이.

새로운!!: 강위와 우정 · 더보기 »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雲揚號事件, 1875년 9월 20일(고종 12년, 음력 8월 21일) 또는 강화도 사건(江華島事件)은 통상조약 체결을 위해 일본 군함 운요호가 불법으로 강화도에 들어와 측량을 구실로 조선 정부의 동태를 살피다 조선 수비대와 전투를 벌인 사건이다.

새로운!!: 강위와 운요호 사건 · 더보기 »

임오군란

임오군란(壬午軍亂)은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연체된 봉급에 대해 정부가 불량쌀을 지급해 일어난 난이.

새로운!!: 강위와 임오군란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강위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동녕

이동녕(李東寧, 1869년 2월 17일 ~ 1940년 3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언론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였.

새로운!!: 강위와 이동녕 · 더보기 »

이동인

이동인(李東仁, 1849년? ~ 1881년 5월)은 조선 후기의 불교 승려이자 외교관, 개화 사상가이.

새로운!!: 강위와 이동인 · 더보기 »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새로운!!: 강위와 이건창 · 더보기 »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새로운!!: 강위와 이규완 · 더보기 »

이노우에 가쿠고로

이노우에 가쿠고로 이노우에 가쿠고로(井上 角五郎, 1860년 10월 30일(만엔 원년 10월 18일)~1939년(쇼와 13년) 9월 23일)는 일본의 사업가, 정치인이.

새로운!!: 강위와 이노우에 가쿠고로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강위와 이조 · 더보기 »

이언

이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강위와 이언 · 더보기 »

인목왕후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년 12월 15일/음력 11월 14일 ~ 1632년 8월 13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이.

새로운!!: 강위와 인목왕후 · 더보기 »

인현왕후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 閔氏, 1667년 5월 15일(음력 4월 23일) ~ 1701년 9월 16일(음력 8월 14일))는 조선 제19대 임금인 숙종의 2번째 왕후(王后)이.

새로운!!: 강위와 인현왕후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강위와 일본 · 더보기 »

일본어

일본어(「にっぽんご」를 표제어로 세우고 있는 국어사전은 일본국어대사전 등 소수에 그친다.)는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이.

새로운!!: 강위와 일본어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강위와 의정부 · 더보기 »

제주도

제주도(濟州島, Jeju-do)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하며, 한반도 남쪽 바다 건너에 있. 섬의 면적은 1833.2 km²인데 이는 대한민국 면적의 1.83%에 해당.

새로운!!: 강위와 제주도 · 더보기 »

전라

전라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강위와 전라 · 더보기 »

정만조

정만조(鄭萬朝, 1858년 ~ 1936년)는 조선 말기의 학자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 협조한 대표적인 유교 계열 인물이.

새로운!!: 강위와 정만조 · 더보기 »

정병하

정병하(鄭秉夏, 1849년 ~ 1896년 2월 11일)는 조선 말기의 관리이.

새로운!!: 강위와 정병하 · 더보기 »

정난교

정난교(鄭蘭敎, 1863년 1월 23일 ~ 1944년 12월 28일)는 조선 후기,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강위와 정난교 · 더보기 »

정음

정음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강위와 정음 · 더보기 »

정제두

정제두(鄭齊斗, 1649년∼1736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강위와 정제두 · 더보기 »

정원용

정원용(鄭元容, 1783년~1873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강위와 정원용 · 더보기 »

조사 시찰단

1882년 일본 유학 중의 유길준 윤치호 조사 시찰단(朝士視察團)은 1881년(고종 18년) 4월 10일부터 윤7월 2일까지 김홍집의 주장에 따라 수신사에 이어 일본 제국에 파견되었던 집단이.

새로운!!: 강위와 조사 시찰단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강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강위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책략

《조선책략》(朝鮮策略)은 일본 주재 청나라 공사관의 참사관으로 있던 청국인 황준헌(黃遵憲, 황쭌센)이 1880년경에 저술한 외교문제를 다룬 외교 방략서이.

새로운!!: 강위와 조선책략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강위와 중국 · 더보기 »

중국어

중국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16가지 정도의 언어변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어(ㄏㄢˋㄩˇ), 화어(ㄏㄨㄚˊㄩˇ), 중문(ㄓㄨㄥㄨㄣˊ)이라고도 한다. 세계 사용자가 가장 많은(약 13억 명) 언어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5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다.

새로운!!: 강위와 중국어 · 더보기 »

중원구

중원구(中院區)는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의 동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강위와 중원구 · 더보기 »

진주 강씨

주 강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강위와 진주 강씨 · 더보기 »

청계

청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강위와 청계 · 더보기 »

청계천

청계천(淸溪川)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내부에 있는 지방하천으로, 한강 수계에 속하며 중랑천의 지류이.

새로운!!: 강위와 청계천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강위와 청나라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강위와 충청도 · 더보기 »

측량

측량(測量)은 지표면에 있는 모든 점의 관계 위치를 결정하고, 어떤 부분의 위치, 형상, 면적을 측정하여 이것을 도시하는 기술을 말. 측량술은 고대 문명의 발달에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했으며, 5000년 이상의 매우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주로 토지의 면적을 재거나, 강물의 범람을 예측하고, 건축물의 건축을 위해 발달해 왔고 이는 곧 기하학, 천문학의 발전에 공헌하였.

새로운!!: 강위와 측량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새로운!!: 강위와 판서 · 더보기 »

유럽

리 받아들여지는 '''유럽'''의 정의:- 녹색은 지리적 유럽- 진한 파랑색은 문화적 유럽 (옅은 파랑색은 유럽 국가의 아시아 부분) 유럽() 또는 구주(한자: 歐洲), 구라파(한자: 歐羅巴)는 대륙 중 하나로, 우랄 산맥과 캅카스 산맥, 우랄 강, 카스피 해, 흑해와 에게 해의 물길을 분수령으로 하여 아시아와 구분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강위와 유럽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강위와 유길준 · 더보기 »

유혁로

유혁로(柳赫魯 / 柳赫老, 1851년 3월 9일 ~ 1945년 5월 15일)는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강위와 유혁로 · 더보기 »

유홍기 (1831년)

유홍기(劉鴻基, 1831년 ~ 1884년?)는 조선 말기의 개화사상가이자 학자이자 정치인이였.

새로운!!: 강위와 유홍기 (1831년) · 더보기 »

윤경순

윤경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강위와 윤경순 · 더보기 »

윤경완

윤경완(尹景完, 1860년 ~ 1885년 12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상인, 무신으로 갑신정변의 행동대원이었.

새로운!!: 강위와 윤경완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강위와 윤치호 · 더보기 »

윤영렬

윤영렬(尹英烈, 1854년 4월 15일 ~ 1939년 11월 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강위와 윤영렬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강위와 윤웅렬 · 더보기 »

위정척사

위정척사(衛正斥邪)는 조선 후기에 일어난 사회운동으로, 정학(正學)인 성리학과 정도(正道)인 성리학적 질서를 수호하고(위정), 성리학 이외의 모든 종교와 사상을 사학(邪學)으로 보아서 배격하는(척사) 운동이.

새로운!!: 강위와 위정척사 · 더보기 »

위항

위항(衛伉, 衛亢, ? ~ 기원전 91년)은 전한 중기의 제후로, 하동군 평양현(平陽縣) 사람이.

새로운!!: 강위와 위항 · 더보기 »

상하이 시

상하이()는 중국 본토 동부의 창강() 하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이.

새로운!!: 강위와 상하이 시 · 더보기 »

수신사

수신사(修信使)는 고종 때 1876년 이후 조선에서 일본 제국에 파견한 외교사절이.

새로운!!: 강위와 수신사 · 더보기 »

영장

영장(令狀)은 명령을 기록한 종이문서로, 특히 법원 또는 법관이 사람 또는 물건에 대하여 체포, 구금, 수색, 압수 명령 이나 허가를 내용으로 하여 발부하는 문서를 말. 대한민국헌법에서 체포·구속·압수 또는 수색을 할 때에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검사의 신청에 의하여 법관이 발부한 영장을 제시하여야.

새로운!!: 강위와 영장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강위와 영의정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강위와 영어 · 더보기 »

오경석

오경석(吳慶錫, 1831년(순조 31년) 3월 5일(음력 1월 21일) ~ 1879년(고종 16년) 10월 7일(음력 8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역관, 외교관이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강위와 오경석 · 더보기 »

오세창

청년 시절 오세창 오세창(吳世昌, 1864년 8월 6일(음력 7월 5일) ~ 1953년 4월 16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계몽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서화가,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화가이.

새로운!!: 강위와 오세창 · 더보기 »

최한기

(崔漢綺, 1803년 10월 26일 ~ 1879년 6월 21일)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

새로운!!: 강위와 최한기 · 더보기 »

어윤중

어윤중의 편지 서찰 어윤중(魚允中, 1848년 ~ 189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강위와 어윤중 · 더보기 »

양명학

왕수인 양명학(陽明學)은 중국 명나라의 철학자 왕수인(王守仁)의 호인 양명(陽明)에서 이름을 따서 붙인 유가 철학(儒家哲學)의 한 학파로 주관적 실천 철학에 속. 양명학이라는 명칭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퍼진 것으로, 그 이전에는 육왕학(陸王學) 또는 왕학(王學)이라 불. 육왕학(陸王學)은 육구연(陸九淵)의 학풍을 이어 왕수인이 대성한 유학(儒學)을 뜻하고, 왕학(王學)은 왕수인의 유학을 뜻. 심즉리(心卽理)치양지(致良知)지행합일(知行合一)은 양명학의 3강령이.

새로운!!: 강위와 양명학 · 더보기 »

삼정이정청

삼정이정청은 조선 철종 재위 시절 만들어진 개혁 기관이.

새로운!!: 강위와 삼정이정청 · 더보기 »

프랑스어

랑스어(le français 또는 la langue française)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강위와 프랑스어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강위와 선 (불교) · 더보기 »

선공감

선공감(繕工監)은 조선 시대에 토목(土木)과 영선(營繕)에 관한 일을 맡았던 기관으로, 공조에 속하는 기관이었.

새로운!!: 강위와 선공감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강위와 성리학 · 더보기 »

성남시

성남시(城南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강위와 성남시 · 더보기 »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새로운!!: 강위와 서광범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강위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재창

서재창(徐載昌, 1866년 10월 29일 ~ 1884년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군인, 정치인, 개화사상가로 서재필의 동생이.

새로운!!: 강위와 서재창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강위와 서재필 · 더보기 »

토지

토지(土地)는 부동산의 전형으로, 일정한 지면(地面)의 상하를 포함하는 것이다.

새로운!!: 강위와 토지 · 더보기 »

토지대장

장(土地臺帳)이란 토지의 소재지·지번·지목·지적 및 소유자의 주소·성명 등을 등록하는 공부를 말. 분류:재산법.

새로운!!: 강위와 토지대장 · 더보기 »

소식 (북송)

소식(蘇軾, 1037년~1101년 8월 24일(음력 7월 28일))은 중국 북송 시대의 시인이자 문장가, 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강위와 소식 (북송) · 더보기 »

톈진 시

(천진)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의 직할시이.

새로운!!: 강위와 톈진 시 · 더보기 »

함경남도

경남도(咸鏡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강위와 함경남도 · 더보기 »

한글

은 조선 제 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한 문자로,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

새로운!!: 강위와 한글 · 더보기 »

한글전용과 국한문혼용

전용 또는 한글만 쓰기는 한국어를 적을 때 한자를 쓰지 않고 한글만을 쓰는 것을 말. 한글 학회 같은 데서는 일상 생활에서 한자를 완전히 폐지하고, 한글만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 한글 전용을 주장할 때 한국어 순화(우리말 다듬기)를 함께 주장하는 경우도 많. 국한문혼용(國漢文混用) 또는 한자혼용(漢字混用)은 한국어를 문자로 표기할 때 한글과 한자를 섞어서 표기하는 방식을 말. 엄밀하게 말하면 한문은 사용하지 않으므로 국한자혼용(國漢字混用)이라 불러야 한다는 의견도 있.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에서 일상 생활에서 국한문혼용을 쓰자고 하는 한자 부활을 주장하고 있. 한자어를 한글로 표기하면서 한자를 함께 표기하는 것을 한자병기(漢字倂記)라고 하며, 국한문혼용과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한자병기를 국한문혼용의 한 경우로 보.

새로운!!: 강위와 한글전용과 국한문혼용 · 더보기 »

한자

자(漢字)는 표어 문자이며, 현재 한국, 중국, 일본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쓰이고 있.

새로운!!: 강위와 한자 · 더보기 »

한제국 건국사

《한제국 건국사》(韓帝國建國史)는 군사소설가 윤민혁이 쓴 작품이.

새로운!!: 강위와 한제국 건국사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강위와 한성부 · 더보기 »

한성주보

성주보(漢城周報)는 1886년에 간행된 신문이.

새로운!!: 강위와 한성주보 · 더보기 »

한성순보

창간자 박영효 《한성순보》(漢城旬報)는 조선 말기인 1883년 10월 31일(고종 20년 음력 10월 1일) 창설된 순간(旬刊) 신문으로, 한국인이 발행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신문이라하나 일종의 관보이.

새로운!!: 강위와 한성순보 · 더보기 »

안경수

안경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강위와 안경수 · 더보기 »

안국선

안국선(安國善, 1878년 12월 5일 ~ 1926년 7월 8일)은 구한말의 작가이.

새로운!!: 강위와 안국선 · 더보기 »

하응선

응선(河應善, ? ∼ 1884년 12월)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으로 갑신정변에 참여하였다가 정변 실패 후 홍영식, 박영교, 사관생도 7명과 함께 처형당.

새로운!!: 강위와 하응선 · 더보기 »

아메리카

18 세기의 아메리카 지도 CIA의 아메리카 지도 아메리카(음역어: 미주(美洲))는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를 함께 부르는 이름이.

새로운!!: 강위와 아메리카 · 더보기 »

신문

신문(新聞, Newspaper)은 대중에게 다양한 소식과 사건들을 전달해주는 정기 간행물의 한 종류이.

새로운!!: 강위와 신문 · 더보기 »

신복모

신복모(申福模, 1832년 ~ 1886년 12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무신, 군인이자 개화당원이.

새로운!!: 강위와 신복모 · 더보기 »

신중모

신중모(1833년 ~ 1884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강위와 신중모 · 더보기 »

신헌

신헌(申櫶, 1810년 ~ 1884년)은 조선 말의 무신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강위와 신헌 · 더보기 »

실증주의

실증주의(實證主義)는 감각 경험과 실증적 검증에 기반을 둔 것만이 확실한 지식이라고 보는 인식론적 관점이자 과학 철학이.

새로운!!: 강위와 실증주의 · 더보기 »

실학

실학(實學)은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조선 유학의 학풍을 말. 한편 실학에 반해 기존의 유학을 “성명의리지학”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강위와 실학 · 더보기 »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새로운!!: 강위와 훈민정음 · 더보기 »

후쿠자와 유키치

후쿠자와 유키치(1835년 1월 10일 ~ 1901년 2월 3일) 는 일본 개화기의 계몽사상가, 교육가, 저술가이.

새로운!!: 강위와 후쿠자와 유키치 · 더보기 »

홍대용

홍대용(洪大容, 1731년 5월 12일 ~ 1783년 11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과학 사상가이.

새로운!!: 강위와 홍대용 · 더보기 »

황준헌

황준헌 황준헌(황쭌셴,, 1848년 5월 29일 ~ 1905년 3월 28일) 은 중국 청나라의 외교관 겸 정치가이며, 하카계 출신이.

새로운!!: 강위와 황준헌 · 더보기 »

황현

황현(黃玹, 1855년 음력 12월 11일(양력 1856년 1월 18일) ~ 1910년 9월 7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선비로 시인, 문장가, 역사가, 우국지사이며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

새로운!!: 강위와 황현 · 더보기 »

황성신문

《황성신문》 창간호 황성신문(皇城新聞)은 남궁억, 나수연 등이 중심이 되어 1898년(광무(光武) 2년) 9월 5일 《대한황성신문》의 판권을 인수받아 창간한 일간 신문이.

새로운!!: 강위와 황성신문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강위와 10월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강위와 12월 · 더보기 »

12월 22일

12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6번째(윤년일 경우 35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강위와 12월 22일 · 더보기 »

1820년

182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강위와 1820년 · 더보기 »

1834년

183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834년 · 더보기 »

1844년

184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강위와 1844년 · 더보기 »

1848년

184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강위와 1848년 · 더보기 »

1850년

185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850년 · 더보기 »

1851년

185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851년 · 더보기 »

1854년

185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854년 · 더보기 »

1856년

185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강위와 1856년 · 더보기 »

1860년

186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강위와 1860년 · 더보기 »

1862년

186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862년 · 더보기 »

1864년

186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강위와 1864년 · 더보기 »

1866년

186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866년 · 더보기 »

1870년

187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870년 · 더보기 »

1873년

187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873년 · 더보기 »

1874년

187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874년 · 더보기 »

1875년

187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875년 · 더보기 »

1876년

187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강위와 1876년 · 더보기 »

1880년

188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강위와 1880년 · 더보기 »

1882년

188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882년 · 더보기 »

1883년

188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883년 · 더보기 »

1884년

188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강위와 1884년 · 더보기 »

1894년

189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894년 · 더보기 »

1978년

197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위와 1978년 · 더보기 »

1월 12일

1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번째(윤년일 경우도 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강위와 1월 12일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강위와 3월 · 더보기 »

4월 5일

4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5번째(윤년일 경우 9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강위와 4월 5일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강위와 5월 · 더보기 »

5월 2일

5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2번째(윤년일 경우 123번째), 뒤에서부터는 24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강위와 5월 2일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강위와 6월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강위와 7월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강위와 9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강 위, 고환 강위, 고환당, 고환당 강위, 추금, 추금 강위, 추금자, 추금자 강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