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23 처지: 류규, 만동묘, 만력제, 명나라, 무고의 옥, 문묘, 민정중, 민종도, 민유중, 민암, 백인걸, 갑술환국, 박세당, 박세채, 광양시, 권욱, 권상유, 기대승, 기호학파, 기사환국, 김만기, 김만중, 김장생, 김익훈, 김집 (1574년), 김창협, 김춘택, 김수흥, 김수항, 김석주, 대사헌, 남인, 노론, 우의정, 회니시비, 임진왜란, 임성주, 흥선대원군, 희빈 장씨, 이간, 이경석 (1595년), 이관명, 이단하, 이재 (1680년), 이이, 이조, 이황, 의정부, 정읍시, 정호,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3 더) »
류규
(柳規, 1400년 - 1473년 2월 10일)는 조선시대의 무신, 군인, 정치인이.
보다 권상하와 류규
만동묘
만동묘(萬東廟)는 조선시대 때 지어진 사당으로,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돕기 위하여 조선에 원군을 파병한 명 신종을 기리기 위해서1704년 숙종 30년 오늘날의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 에 지었.
보다 권상하와 만동묘
만력제
만력제(萬曆帝, 1563년 9월 4일 ~ 1620년 8월 18일)는 명나라의 제13대 황제이.
보다 권상하와 만력제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보다 권상하와 명나라
무고의 옥
무고의 옥(巫蠱-獄) 또는 신사옥사, 신사환국은 1701년(숙종 27) 희빈 장씨가 취선당에서 인현왕후를 저주했다고 알려진 사건이.
보다 권상하와 무고의 옥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보다 권상하와 문묘
민정중
민정중(閔鼎重, 1628년 ~ 16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보다 권상하와 민정중
민종도
민종도(1633 ~ 1693)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권상하와 민종도
민유중
민유중(閔維重, 1630년~168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척신, 정치인으로 인현왕후의 친정아버지, 곧 숙종의 장인이.
보다 권상하와 민유중
민암
민암(閔黯, 1636년 ~ 169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권상하와 민암
백인걸
휴암 백인걸 백인걸(白仁傑, 1497년 - 1579년 9월 29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사림파 정치인이며 성리학자, 작가이.
보다 권상하와 백인걸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이.
보다 권상하와 갑술환국
박세당
박세당(朴世堂, 1629년 음력 8월 10일~1703년 음력 8월 21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소론의 지도자 중 한사람이며 박태보의 아버지이.
보다 권상하와 박세당
박세채
박세채(朴世采, 1631년 ~ 1695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권상하와 박세채
광양시
광양시(光陽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보다 권상하와 광양시
권욱
욱(權郁, 1951년 8월 25일 ~, 경남 합천)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보다 권상하와 권욱
권상유
상유(權相游, 1656년 - 1724년)는 조선 시대 후기의 학자, 사상가, 문신이.
보다 권상하와 권상유
기대승
승(奇大升, 1527년~157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보다 권상하와 기대승
기호학파
호학파(畿湖學派)는 조선시대 이이의 학설을 따르는 주기적 경향의 성리학자들을 말하며 주. 주기론자들은 대부분 기호 지방(경기·충청 일원)에 거주했으므로 '기호학파'라고 부르게 되었.
보다 권상하와 기호학파
기사환국
사환국(己巳換局)은 조선 숙종 15년(1689년) 때 소의(昭儀) 장씨 소생의 아들 윤(昀)을 원자로 삼으려는 숙종에 반대한 송시열 등 서인이 이를 지지한 남인에게 패배하고, 정권이 서인에서 남인으로 바뀐 일이.
보다 권상하와 기사환국
김만기
만기는 다음 사람을 가리.
보다 권상하와 김만기
김만중
만중(金萬重, 1637년 ~ 1692년)은 조선 문신이자, 소설가이.
보다 권상하와 김만중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보다 권상하와 김장생
김익훈
익훈(金益勳, 1619년 ~ 1689년 3월 11일)은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
보다 권상하와 김익훈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김창협
창협(金昌協, 1651년(효종 2년) ~ 1708년(숙종 3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이.
보다 권상하와 김창협
김춘택
택 김춘택(金春澤, 1670년 ~ 171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외척, 작가이.
보다 권상하와 김춘택
김수흥
수흥(金壽興, 1626년-169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의정부우의정, 영의정을.
보다 권상하와 김수흥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보다 권상하와 김수항
김석주
석주(金錫冑, 1634년 ~ 1684년 9월 20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 권신, 작가이자 비상한 머리와 수완을 지닌 책사로서, 당시 명성왕후 김씨를 도와 정국을 주. 경신대출척이 그의 작품이.
보다 권상하와 김석주
대사헌
사헌(大司憲)은 도헌(都憲) 또는 대헌(大憲)이.
보다 권상하와 대사헌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보다 권상하와 남인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보다 권상하와 노론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보다 권상하와 우의정
회니시비
회니시비(懷尼是非)는 1681년(숙종 7년) 윤증과 송시열이 서로를 비방했던 사건이.
보다 권상하와 회니시비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보다 권상하와 임진왜란
임성주
임성주(任聖周, 1711년 ~ 1788년)는 조선 후기의 학자이.
보다 권상하와 임성주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보다 권상하와 흥선대원군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보다 권상하와 희빈 장씨
이간
이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권상하와 이간
이경석 (1595년)
이경석(李景奭, 1595년 12월 18일(음력 11월 18일) ~ 1671년 10월 26일(음력 9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성리학자이자 서예가로,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이.
이관명
이관명(1661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권상하와 이관명
이단하
이단하(李端夏, 1625년 ∼ 1689년) 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권상하와 이단하
이재 (1680년)
이재(李縡, 1680년~1746년)은 조선의 학자이.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보다 권상하와 이이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보다 권상하와 이조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보다 권상하와 이황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보다 권상하와 의정부
정읍시
정읍시(井邑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
보다 권상하와 정읍시
정호
정호(程顥, 1032년~1085년)는 중국 송나라 도학의 대표적인 학자의 한 사람이.
보다 권상하와 정호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보다 권상하와 조광조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보다 권상하와 조선
조선 경종
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은 조선의 제20대 임금이.
보다 권상하와 조선 경종
조선 단종
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
보다 권상하와 조선 단종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보다 권상하와 조선 효종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보다 권상하와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보다 권상하와 조선 영조
조식
조식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보다 권상하와 조식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보다 권상하와 좌의정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보다 권상하와 좌찬성
주희
주자 주희(朱熹, 1130년 ~ 1200년)는 중국 남송의 유학자로, 주자(朱子), 주부자(朱夫子), 주문공(朱文公) 송태사휘국문공(宋太師徽國文公)이라는 존칭이나 봉호로도 불린.
보다 권상하와 주희
진사
사에는 다음 뜻이 있.
보다 권상하와 진사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보다 권상하와 참판
청주시
청주시(淸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충청북도청 소재지이.
보다 권상하와 청주시
판윤
윤(判尹)은 조선의 정2품 관직으로 도읍 한성부(漢城府)의 기관장이.
보다 권상하와 판윤
유계 집합
위의 집합은 유계집합이지만, 아래는 유계가 아닌 집합 수학에서, 유계 집합(有界集合)은 유한한 영역을 가지는 집합이.
보다 권상하와 유계 집합
유학
유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권상하와 유학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보다 권상하와 윤증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보다 권상하와 윤휴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보다 권상하와 윤선도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보다 권상하와 윤선거
숭정제
숭정제(崇禎帝, 1611년 2월 6일 ~ 1644년 4월 25일)는 중국 명나라의 제16대 황제(재위: 1628년 ~ 1644년).
보다 권상하와 숭정제
영남 지방
영남 지방(嶺南地方)은 소백산맥 동남부에 위치한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보다 권상하와 영남 지방
온천
옐로스톤 국립 공원의 거대 온천. 매머드 온천. 온천(溫泉)은 화산활동 또는 높은 지열의 영향으로 데워진 지하수가 지표 위로 드러난 것을 말. 해수탕 (海水蕩)은 바닷물을 이용한 온천의 일종이.
보다 권상하와 온천
온양
온양은 다음을 부르는 말이.
보다 권상하와 온양
호락논쟁
호락논쟁(湖洛論爭)은 18세기 조선의 노론 당파 내부에서 발생한 논쟁이.
보다 권상하와 호락논쟁
예송
예송(禮訟) 또는 예송논쟁(禮訟論爭)은 예절에 관한 논란으로, 효종과 효종비 인선왕후에 대한 계모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기간을 둘러싸고 현종, 숙종대에 발생한 서인과 남인간의 논쟁이.
보다 권상하와 예송
어유구
어유구(魚有龜, 1675 ~ 1740)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으로 경종의 비 선의왕후의 친정아버지이.
보다 권상하와 어유구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보다 권상하와 허목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보다 권상하와 허적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보다 권상하와 사간원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보다 권상하와 사헌부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보다 권상하와 성리학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보다 권상하와 성균관
성수침
저서 청송서 필첩 성수침(成守琛, 1493년 ~ 1564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보다 권상하와 성수침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보다 권상하와 성혼
서경덕
서경덕(徐敬德, 1489년 3월 18일(음력 2월 17일)~1546년 8월 13일(음력 7월 7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서, 주기파(主氣派)의 거유이.
보다 권상하와 서경덕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보다 권상하와 서인
송갑조
송갑조 영정 송갑조(宋甲祚, 1574년 ∼ 1628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보다 권상하와 송갑조
송규렴
송규렴(宋奎濂, 1630년 ∼ 1709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권상하와 송규렴
송이창
송이창(宋爾昌, 1561년 ~ 162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
보다 권상하와 송이창
송익필
송익필(宋翼弼, 1534년 2월 10일 ∼ 1599년 8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유학자, 정치인이.
보다 권상하와 송익필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보다 권상하와 송준길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보다 권상하와 송시열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보다 권상하와 소론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보다 권상하와 한성부
한원진
원진의 초상화 한원진(韓元震, 1682년 ~ 1751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이.
보다 권상하와 한원진
안동 권씨
안동 권씨(安東 權氏)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권상하와 안동 권씨
안방준 (1573년)
안방준(安邦俊, 1573년 11월 20일 ~ 1654년 11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문신, 성리학자이.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보다 권상하와 시호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보다 권상하와 홍문관
홍계희
《조선인래조기(朝鮮人來朝記)》. 1748년 통신사가 파견되었을 당시 일본에서 기록한 책이다. “조선국왕 이금(영조) 朝鮮國王 李衿, 정사 홍계희(洪啓禧), 부사 남태기(南泰耆), 종사 조명채(曺命采)”의 이름이 보인다. 또한 부산에서 대마도를 거쳐 에도江戶에 이르는 통신사 노정을 보여주는 「사로승구도」를 그린 화원 이성린(李聖麟)의 이름도 찾아볼 수 있다.
보다 권상하와 홍계희
홍우원
홍우원(洪宇遠, 1605년 7월 29일 ∼ 1687년 7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며 남인 중진이었.
보다 권상하와 홍우원
1641년
164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권상하와 1641년
1659년
165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권상하와 1659년
1660년
166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권상하와 1660년
1668년
166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권상하와 1668년
1672년
167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권상하와 1672년
1674년
167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권상하와 1674년
1689년
168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권상하와 1689년
1694년
169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권상하와 1694년
1698년
169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권상하와 1698년
1701년
170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권상하와 1701년
1703년
170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권상하와 1703년
1704년
170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권상하와 1704년
1705년
170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권상하와 1705년
1712년
171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권상하와 1712년
1715년
171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권상하와 1715년
1717년
171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권상하와 1717년
1721년
172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권상하와 1721년
1724년
172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권상하와 1724년
1979년
197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권상하와 1979년
9월 2일
9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5번째(윤년일 경우 246번째) 날에 해당.
보다 권상하와 9월 2일
또한 수암 권상하, 한수재 권상하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