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민암

색인 민암

민암(閔黯, 1636년 ~ 169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36 처지: 도승지, 병조, 권대운, 김수항, 대제학, 대사헌, 우의정,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장희빈 (2002년 드라마), 장희재 (조선), 희빈 장씨, 이의징, 인현왕후의 남자, 의금부, 제학, 조선, 좌의정, 좌참찬, 판윤, 유명현, 영의정, 예문관, 예조, 여흥 민씨, 허적, 엄효섭, 송시열, 한인수, 한성부, 한성부판윤, KBS 2TV,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TvN, 1995년, 2002년, 2012년.

도승지

승지(都承旨)는 조선의 정3품 당상관직으로 도령(都令)으로도 불리었.

새로운!!: 민암와 도승지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민암와 병조 · 더보기 »

권대운

운(權大運, 1612년 ~ 16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민암와 권대운 · 더보기 »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새로운!!: 민암와 김수항 · 더보기 »

대제학

제학(大提學)은 고려와 조선의 관직이.

새로운!!: 민암와 대제학 · 더보기 »

대사헌

사헌(大司憲)은 도헌(都憲) 또는 대헌(大憲)이.

새로운!!: 민암와 대사헌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민암와 우의정 · 더보기 »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장희빈》은 SBS에서 1995년 2월 20일부터 9월 26일까지 매주 월, 화 밤에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민암와 장희빈 (1995년 드라마) · 더보기 »

장희빈 (2002년 드라마)

《장희빈》(張禧嬪)은 2002년 11월 6일부터 2003년 10월 23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민암와 장희빈 (2002년 드라마) · 더보기 »

장희재 (조선)

장희재(張希載, 1651년승정원일기 숙종 27년(1701년) 11월 2일 기록에 장희재의 나이가 51세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1651년 생임을 알 수 있다. ~ 1701년 10월 29일)는 조선 후기 무관이자 숙종의 척신으로 옥산부대빈 장씨의 동복 오빠이자 경종의 외삼촌이.

새로운!!: 민암와 장희재 (조선)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민암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이의징

이의징(李義徵, ? ~ 1695)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민암와 이의징 · 더보기 »

인현왕후의 남자

《인현왕후의 남자》는 2012년 4월 18일부터 2012년 6월 7일까지 tvN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민암와 인현왕후의 남자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민암와 의금부 · 더보기 »

제학

제학(提學)은 고려시대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예문관(藝文館) ·보문관(寶文館) ·우문관(右文館) ·진현관(進賢館)의 대제학(大提學) 아래 정3품 벼슬로, 1311년(충선왕 복위 3년) 사백(詞伯)을 고친 이름이.

새로운!!: 민암와 제학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민암와 조선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민암와 좌의정 · 더보기 »

좌참찬

좌참찬(左參贊)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관직이고, 정원은 1명이.

새로운!!: 민암와 좌참찬 · 더보기 »

판윤

윤(判尹)은 조선의 정2품 관직으로 도읍 한성부(漢城府)의 기관장이.

새로운!!: 민암와 판윤 · 더보기 »

유명현

유명현(1643년 ~ 170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민암와 유명현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민암와 영의정 · 더보기 »

예문관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민암와 예문관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민암와 예조 · 더보기 »

여흥 민씨

여흥 민씨(驪興 閔氏)는 경기도 여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민암와 여흥 민씨 · 더보기 »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민암와 허적 · 더보기 »

엄효섭

엄효섭(嚴孝燮, 1966년 10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민암와 엄효섭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민암와 송시열 · 더보기 »

한인수

인수(韓仁守, 1947년 7월 30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민암와 한인수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민암와 한성부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민암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KBS 2TV

KBS 2TV(정식명칭: KBS 제2텔레비전)는 한국방송공사에서 운영·방송되는 텔레비전 채널로서 KBS 1TV와 달리 엔터테인먼트·드라마·어린이 프로그램 등을 주로 방송.

새로운!!: 민암와 KBS 2TV · 더보기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주식회사 SBS()는 수도권 지역과 강원도 영서 일부, 충청남도 북부 일부, 충청북도 북부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상파 민영방송사이.

새로운!!: 민암와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 더보기 »

TvN

tvN (Total Variety Network)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허가된 CJ E&M 방송사업부문에서 운영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채널이.

새로운!!: 민암와 TvN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민암와 1995년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민암와 2002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민암와 2012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